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김혜자 지음 / 오래된미래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를 쓸까 말까 고민 많이 했다. 어설픈 감상 몇 줄 나열할 바에야, 밑줄 긋기 리뷰로 내 마음에도 서재에도 남겨 놓는 것이 본질을 흐리지 않는 일이 되겠구나 싶었다. 하지만 이렇게 몇 자 적기로 한다.

 언젠가  일요일밤 시사 프로그램에서 외국인 노동자 인권 개선과 망명자들의 인권 개선을 위한 전단지를 돌리는 한 파키스탄인을 취재한 적이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전단지 조차 받으려 하지 않았다. 리포터가 그 사람들을 따라가 간단한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어들은 대개 이런 말을 했다. “우리 나라에도 아직 못 먹고 굶주리는 사람들이 많다, 나부터도 넉넉하지 못한 살림 형편이기도 하고. 그런즉, 우리 나라부터 잘 살고 나야, 다른 나라의 기아니 뭐니에 대해 눈을 돌릴 여유도 생길 것이 아닌가.”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을 그저 비난하고 싶어서 하는 말이 아니다. 그야 말로 속이 상해 그러는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는 인간의 머리에서 가슴까지의 거리라고 한다. 머리에서 가슴으로 이동하는 데 더러는 평생이 걸리기도 하는 것 같다.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우리 나라 사람들 중에 아직도 굶주림에 떠는 사람이 있다 해도, 지구의 한 켠에서는 3만 5천명의 아이들이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것, 단 하루만이 아니라,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날마다 3만 5천 명의 아이들이 죽어가는 것,2억 5천 명의 아이들이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것에는 견줄 수는 없을 것이다.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일단 나는, 불만 같지 않은 불만족스러움 몇 가닥을 뭔 투정이 그리도 많았는지, 나 자신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리었다. 또, 석유업자 몇 명의 배를 채우기 위해 전쟁을 일으키고 미사일을 쏘아 대는 무리들, 그리하여 수백만 명의 난민을 발생시키는 상황들, 양심 없고 비인간적인 정치 세력들의 야욕을 채우기 위해 아무것도 모르는 수많은 아이들이 총알받이가 되어 쓰러져가고 있는 상황들... 설상가상으로 이것을 방송과 신문들은 해외 단신으로만 내보내고, 무의미한 토크쇼로 말도 안 되는 오락거리로 황금 시간대를 채우고 사람들을 점점 저속하게 만들면서 정작 우리가 귀기울여야 할 이야기는 사람들이 다 잠든 시간에 내보내야만 하는 상황들... 그 모든 상황들을 그저 원망스러웠다.  나 개인의 무력함을 이렇게 외부의 탓으로 돌려 본다.

생각의 차이, 종교의 차이, 능력의 차이, 피부의 차이는 필요하다. 그건 다양성의 차원이다. 하지만, 먹을 것과 입을 것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그것은 나눠 가져야 한다.

아메리카 인디언들 사회에서는 먹을 것을 훔쳐가는 것은 죄가 아니었다고 한다. 오히려 누군가를 먹을 것이 없게 만든 그 사회가 잘못이라 여겼다고... 최소한 굶어 죽지만은 않게 해야 한다고, 일단은 그 사회라는 것이 비단 난민을 속출시킨 정부만 지칭하는 말일까.

한 여인이 있었다. 세상에서 일어나는 온갖 전쟁과 가난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보면서 그녀는 신에게 항의했다.

“왜 당신은 이 사람들을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건가요?

그러자 신이 그녀에게 말했다.

“그래서 내가 널 보내지 않았는가?”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05-06-09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는 인간의 머리에서 가슴까지의 거리라고 한다. >
이제야 알았어요. 제 삶의 가장 먼 거리를...사물의 본질을 알았으니 이제 좁힐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책은 연예인이 썼다는 면에서 좀 부정적이었는데, 올라오는 리뷰들을 보니까 괜찮은것 같네요.
PS)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사슴도 그 거리 때문에 그리 먼곳만 본 모양입니다.^^ - 노천명 대변인 -

미네르바 2005-06-09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읽으면서 눈물 흘렸던 기억이 나요. 전 리뷰는 쓰지 않았지만 그냥, 가슴이 먹먹해져 왔던 기억은 여전히 나네요. <그래서 내가 널 보내지 않았는가?> 이 글이 다시 저를 때리는군요. 난 지금 뭘하고 있지?? 하면서요

내가없는 이 안 2005-06-10 0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긴 그런 원망도 하지 않는 이들이 대다수죠. 그러니 원망하는 자는 그런 되물음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봐야 할까요?

icaru 2005-06-10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잉크냄새 님... 모든 것은 거리 문제일까요~ 저 책은 김혜자가 오래도록 틈틈히 써서 완성한 것이라 하더라고요...그리고....10년 동안의 책에 대한 인세가 모두 아이들을 위해 쓰인다고 하고요... 꼭 권하고 싶은데 ^^

미네르바 님... 마음을 편안하게 두고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었던 게...분명하죠... 음...예에...저도 그랬어요...

이 안 님... 원망만 하고 행동이 없으면.... 아니함만 못할텐데.... 그래서... 저 걱정입니다... 음..

비로그인 2005-06-10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어떤 의구심 같은 것이 들었어요. 김회장님댁 안방마님이 양촌리를 떠나 아프리카 아이를 끌어안고 눈물짓는 모습을 보니까 저거저거, 혹시 무쉰 행사치레같은 거 아니냐, 단순한 홍보성 영상물 같은 걸거야, 라고 생각했었거덩요. 저 자신도 내부에서 검은 것에 대한 편견같은 것이 세습되어 있나봅니다. 파리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피부색 다른 아이들을 과연 자기 자식처럼, 돌볼 수 있을까, 라는 매우 인종차별적인 의구심 같은 거 말입니다. 저, 나쁜 사람 맞는 거죠?

kleinsusun 2005-06-10 1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많죠.
"우리나라에도 굶어 죽는 사람들 많다."
"우리도 이렇게 어려운데 북한에 비료는 왜 보내냐?"
또 제인구달 같은 동물 보호자들에게는
" 사람도 학대 받는데 사치다. 사람 먼저 구해라."
이렇게 말하면서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어려우니 너네도 어려워라?
국민소득 2만불 시대가 되면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작은 여유가 생길 수 있을까요???


비로그인 2005-06-10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고, 클라인수선님의 말씀을 들으니 쫍니다. 무, 물론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니깐요. 정말이라니깐요. 그러니까,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연예인에 대한 반감같은 건데 혜자 아줌만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준 분이라니깐요, 녜녜..

icaru 2005-06-10 18: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하하....복돌언냐... 클라인 수선 님은 제 글에 인터뷰어들이 하는 말... 말하는 거랑게.. 복돌언니가 한 말 말고시롱~!!! ㅋㅋㅋ

icaru 2005-06-10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복돌언냐 알고 있다고요...네네 고롭요!
수선 님...저 책에서는 애완견 키울 돈 얼마면 굶어죽는 아이들을 먹일 수 있다는 말을 읽을 때...제가 또...복순이 생각 땜에... !

중요한 것은 행동이지요! 맞아요... !

icaru 2005-06-10 1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돌언냐...글죠...저도 처음엔 뭐, 그런 건 줄 알았었어요...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요~~
언냐 근데 그 블로그에서 사진을 볼 수없어 당최 눈이 심심해갖고 어디 원!!!

플레져 2005-06-10 1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이 보내셨는데도 소임을 못하고 있어 민망하다는......... =3 =3 =3 =3

2005-06-10 2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sayonara 2005-06-12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의 가까운 이웃부터 먼저 도와보라고 쉽게 이야기하는 사람들, 아프리카 아이들의 몇 달치 밥값이 될 수 있는 가격의 음식을 (자칭 미식가라면서) 쉽게 넘기는 사람들...
누가 옳고 그르다고 판단해야만 할 일은 아니겠지요. 하지만 세상이 어찌도 이렇게 비논리적이고 무감각한지 생각하면 아쉽습니다.

icaru 2005-06-13 16: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라게 말이죠...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