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반양장) ㅣ 반올림 1
이경혜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엄밀히 말하면 중학생 대상 소설이다. 올챙이 시절을 기억 못한다고, 중학 시절이 지난지가 한참이라, 그 나이의 감성을 잊은지 오래지 싶다. 그러다가도, 사실... 이 책이 사고로 인한 ‘죽음에’ 대해 말하고 있음을 생각할 때, ‘죽음’ 받아들임은 나이를 불문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슬몃 한다. 이것은 내가 중학생 대상의 책을 읽은 하나의 핑계이지만, 한편으로는 ‘다른 이’의 죽음을 목도하고, 내가 앞으로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이 생의 본질적인 이야기 앞에선 연령 대상이 누구를 했던 간에 그 앞에 납작 엎드리고 보는 심정이 되는 것에 대한 고백이다.
"사람들은 쉽게 말한다. 마음 속에 품고 잊지 않으면 그 사람은 죽은 게 아니라고, 우리 마음 속에 살아 있는 거라고......웃기는 소리다. 마음을 달래느라 만들어 낸 수많은 거짓 위로 중에서도 가장 짜증나는 말이다. 차라리 재준이가 완벽하게 사라졌다는 사실을 내가 받아들여야 하는 게 아닐까. 그리고 나 또한 언젠가는 그렇게 씻은 듯이 사라질 거라는 사실을......"
죽은 친구의 빈 자리를 느끼며 크게 허망해하는 그와 가장 깊은 우정을 나눈 친구 유미의 탄식이다.
나와 가까웠던 어느 분이 돌아가셨을 때, 내게 처음 든 생각은 ‘믿기지 않는다’ 였다.
그 사람이 이제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실감’이 안 난다는 것, 지병이 있으셔서 그 전부터 죽음을 예견하였지만 막상 저 세상으로 가셨을 때는 ‘가셨다’는 게 믿기지 않았다.
유미도 그랬다. 유미는 “고양이고, 금붕어고, 뱀이고, 코끼리고 모두 모아다가 각자 잘하는 걸 더 잘하게 하는 게 아니라 그 모든 동물들을 똑같이 만들게 하는 ” 학교 교육에 대해 갑갑함을 느끼는 친구이다.
이혼한 엄마, 새아빠, 그리고 새아빠와 엄마 사이에서 태어난 젖먹이 동생 그리고 유미, 이렇게 네 식구, 유미는 세상에 대해 조금 불만이고 조숙한 친구이다. ‘그렇게 자라다가 술집 여자가 될 거라고’ 귀를 뚫은 것에 대해 막말을 하며 다그치는 선생님께, 유미는 ‘그럼, 선생님도 술집 나가세요?“ 라고, 선생님께 대거리를 하는 통에 단번 전학온 학교에서 찍히고 만다. 전학 오기 전 학교에선 친구도 많았는데 이 학교에선 친구들도 접근을 안 한다. 하지만 유일하게 유미에게 먼저 다가온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가 재준이다. 소심하면서도 자상한 재준이와 공부도 같이 하고, 실연(각각 서로 다른 여학생과 남학생을 짝사랑하고 있음.)의 아픔 또한 서로 위로해 준다.
이런 유미가 재준이의 죽음을 통해서 철이 들었다고 생각되는 지점은 바로, 재준이가 혼자 많이 많이 좋아했던 소희라는 친구에 대한 유미의 감정이 바뀌던 지점에서였다. 유미는 ‘소희’가 청순가련한 외모로 남자 아이들의 마음을 잔뜩 흔들어놓으면서 그걸 실컷 즐기는 여우 같은 아이라고 마득치 않게 생각해 왔었지만, 재준이가 소희가 오토바이를 잘 타는 남자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잘 타지도 못하는 오토바이에 속력을 내다가 그만 죽음을 맞게 되었다는 사실을 재준이의 일기장을 통해서 알게 된다. 어떻게 보면 소희가 재준이의 죽음에 원인을 제공했다고 몰아부칠 수도 있는데 하지만, 재준이 살아 생전의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끼게 해 준 소희에게 고마움을 느끼며, 재준이가 얼마나 소희를 좋아했는지 이해하기에 결국 미워할 수는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 지점이 바로 유미가 세상과 소통하고 화해를 하는 계기가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