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 빈치 코드 1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이창식 번역 감수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뻘건책 다빈치 코드를 드디어....읽었다.
천사와 악마를 읽고 나서 읽은 터라, 어떤 패턴 같은 게 보여서 개인적으로 온전한 재미를 못 느끼며 읽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사실은 * * 의 * * 이었다거나, 맨 처음에 피살된 소니에르가 실은 * * 의 * * 이었다는 것 등이 그닥 신선하지가 않았다.......
댄 브라운의 작품 이제 두 번째 것을 읽고, 이렇게 물려버린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아무래도 이 작품에 내심 기대를 하고 있었기 때문인가보다.
그림이나 예술 작품 속에서 기호학적으로 사건의 실마리를 얻어가는 것도 전작 ‘천사와 악마’와 비슷하고, 하여튼 로버트 랭던만 그대로고, 또다른 여주인공 비토리아가 소피로 대체된 것. 막판에 여러 가지 사건들을 다 해결하고 이제는 비토리아가 아니라 소피와 막판에 남녀 끈끈한 애정이 생겨나리라 예상되며 끝나는 것. ----> 영화로 만들기 위해 쓰여진 작품이라는 냄새를 강하게 풍기는 것들이 뭐 이것 뿐일까.
주변 친구들은 이 책이 아주 재밌었다고 이야기하니, 친구들과는 “맞아, 재밌더라.” 해놓고, 이렇게 알라딘 서재에 와서는 그런데....나의 진짜 느낌은 좀 김빠진다는 거야 라고 호박씨를 까고 있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 소설을 에코의 장미의 이름이나 매튜 펄의 <단테클럽>과 비교하면서 이 책이 인문학적 접근에 치우치지 않고, 대중 문화적 아이콘을 차용해 글을 썼다고 했는데, 이 소설의 지향점이 이렇게 대중적인 재미를 지향한다는 것에 대해선 아무런 유감이 없다. <단테 클럽>은 재미가 난해함을 압도하지 못하리라는 그래서 나에게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계산에 읽을 생각도 안 했지만, <다빈치 코드>는 어렵지 않다고 해서 책을 얼른 집어들었지 않았나... 대중적 코드라는 점에서는 유감이 아니라, 감사를 해야지 싶다. 나의 유감은 이 책의 스타일이 <천사와 악마>와 반복되었다는 점, 그리고 그것만 못하다는 점에서 좀 김이 새는 것일거다.
약간 흥미로웠던 것.
이 소설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열두 개 이상의 비밀단체들이 아직도 고대의 성 의식을 행하며 이를 통해 고대의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는 것의 예를 톰크루즈의 영화 <아이즈 와이드 셧>의 예를 통해 들고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