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처럼 죽고 싶다
김별아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다 큰 성인이 되어서 나는 웃어른에게 기억에 남을 두 번의 꾸지람을 들은 적이 있다. 두 번 모두 그 꾸지람의 형식은 이랬다.


“아무리 책을 많이 읽으면 뭐하니, 너는 ***인데....”


아무래도 내가 그 분 앞에서 책 읽는 액션을 무리하게 취한 거 같다.


요즘 그런 생각을 한다. 서평쓰기를 위한 책읽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었나, 책은 나에게 있어 휴식이자, 즐거움이자 삶 자체인데, 리뷰를 쓰려고 하면 머릿속 생각과 쓰는 행위는 어쩐지 각각 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헬렌 니어링과 스코트 니어링의 공저 <조화로운 삶>을 읽었다. ‘조화로운 삶을 사는 데 기본이 될 만한 최소한의 가치 몇 가지.


단순한 생활

긴장과 불안에서 벗어남

무엇이든지 쓸모 있는 일을 할 기회

그리고 조화롭게 살아갈 기회


좋은 말이다. 그런데, 단지 좋은 말일 뿐이다. 단지 내겐 그렇다.


그러나 정작 오래 남는 구절은 ‘건물이 제 구실을 잘 하려면 배수가 가장 중요하다.’이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음 이 에세이는 실수와 상처가 두렵지 않은(나의 20대와는 다르구나. 나는 상처받고 실수하는 것에 얼마나 겁을 집어먹었던가...) 가열찬 20대를 보낸 소설가 김별아가 그의 나이 30대 초반이 되어서, 자신이 더 이상 강력하거나 자신만만하거나 아름답지 않음을 느끼며 쓰는 에세이이다. 그것을 스스로 인정하기 힘들어 한다. “이번 생은 조졌어! 라는 황지우의 시 한 구절을 떠올리며.... 김별아는 절망 한가운데 있는 듯 하다. 더더군다나 업고(業苦)로 글쓰기를 행하며 살게 되었으니, 글쓰기란 결국 끝없이 절망을 자각하며 사는 일에 다름 아니다. (음, 김별아를 누군가 토닥여 줘야 할 것 같다. 아니, 독자들에게 위무받고 스스로를 위무하기 위해 이런 에세이를 썼을지도 모른다. 이런 쓰러지는 포즈하고는.....! )


그런데 신기하지. 이런 걸 또 투사라고 한다지. ‘그도저도 여의치 않다면, 지금처럼 흔들리고 방황하는 채 나이를 먹어 여전히 팔리지도 않는 소설을 잡고 씨름하고 있을 것이다.’, ‘미용실에서 머리를 말거나 감겨 주는 나를 상상한다. 그러면 나는 훨씬 유쾌하고 자신 있게 단 한 번뿐인 인생을 즐기며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와 같은 회한의 말들에 나는 공감하고 있다.


‘참는 것보다 도망치는 편이 낫다’며 삶의 비겁을 위로하는 김별아의 모습에서 책을 읽고 되도않는 괴발새발 리뷰 따위는 쓰지 않겠다고 하는 것보다는 날림공사라도 하나 급조해 리뷰로 남기는 게 낫지 하며 위로하는 나를 본다. 

 

소설가들이 산문집을 내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해서라 누군가 그랬지.

그 말 속에 산문집을 문학 속에는 끼워 주고 싶어하지 않는, 깎아보려는 태도가 담겼을 게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시나 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과는 다른 산문의 맛은 ‘고백체로 내지르는 직설 어법’에 있다는 것이다. 나는 또 인심 좋게 돈을 벌려고 산문집을 내는 소설가의 주머니를 좀 불려 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을 해본다. 뭐, 전적으로 좋다는 것은 아니다. 이 에세이집의 어느 구절에선가 나는 ‘이건 펄프 낭비인걸’ 하기도 했으니까는.....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우맘 2005-01-04 0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문집을 낸 사람이 정말이지 아주아주 근사한 사람이 아니고서는...산문집은 읽을만해지기가 쉽질 않죠. '그냥 괜찮은 사람' 정도라도 안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허접리뷰라니, 천부당 만부당의 말씀!

hanicare 2005-01-04 0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쓰러지는 포즈하구는...이건 이 리뷰를 읽고 내가 쓰러지면서 내뱉는 신음으로 여겨주시길. 책 자체보다 복순이 언니님의 리뷰가 볼만할 거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icaru 2005-01-04 0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우맘 님...하기는요...스티븐킹이나 폴오스터가 낸 비문학 관련 책들도 당장에 사볼까 말까인데요~ 그나저나 진/우맘 님...그림책 내셔도 되겠더라고요~ 우아..놀라고 왔어요...



하니케어 님...그렇잖아도...저요 지금... 딱 쓰러졌음 좋겠다 하고 있어요... 간만에 리뷰 쓴다고 컴터 앞에 주구장창 앉아 있다가...두시가 넘어 잠자리에 들어서 그런가봐요... 에고고 골이마구땡기네요...

비로그인 2005-01-04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문에 편견이 있었어요. 괜시리 눈에 힘 한 번 주고 뽀다구나 잡고서 인생 운운하는 건 줄 알았거든요. 근데 조지 오웰의 '코끼리를 쏘다'라는 산문집을 잼나게 읽고서는 산문에 대한 편견이 사라지더라구요. 근데 골이 땡기셔서 어째요..사정 얘기하시고 좀 누워계시면 안 되나..눈을 좀 붙이시던지..에고..워쩐대요..

icaru 2005-01-04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지 오웰의 코끼리를 쏘다~ 라...



음 저장들어갑니다~~




icaru 2005-01-04 0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돌언니..히궁...넘 걱정않으셔두 되요.. 제가 과장의 명수자나요..! 골땡기는거는 잠깐씩 앉아 졸아주면...대충 기냥 쇼부볼 듯 해요...

로드무비 2005-01-04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순이 언니님, 전 이런(?) 리뷰가 좋당게요.^^

kleinsusun 2005-01-04 1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펄프 낭비!!!

아침에 주차장에 가면 "안마 출장 서비스", " 화끈한..." 뭐 이런 명함들이 차에 막 꽂혀 있쟎아요. 이런 명함들을 차에서 털어내면서 생각했어요.

여자 차에는 붙이지 말지. 종이 아깝게...ㅋㅋ

허접한 책을 쓰는것도 찌라시와 같이 펄프를 낭비하는 일이죠.

복순언니의 직설적인 표현, 맘에 들어요.


2005-01-04 18: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호밀밭 2005-01-04 19: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리뷰예요. 소설가들의 산문집, 저도 몇 권을 책상에 두었는데 그 사람들이 어떤 사람인가를 들여다보는 데는 소설보다 산문이 좋다고 생각해요. 순서대로 읽지 않고 그냥 가운데를 펼치고 읽어도 되는 것도 마음에 들고요. 사실 그동안 산문을 많이 접하지 못했지만요. 저도 님의 직설적이면서 시원시원한 표현이 좋아요. 님의 새해 첫 리뷰 정리가 잘 되고 잘 읽히네요.

내가없는 이 안 2005-01-04 1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마음에 와닿는 리뷰를 쓰셨구랴, 복순이언니님! 게다가 가끔 작가들이 내놓는 속보이는 에세이를 사보는 걸로 소설가의 주머니를 불려주겠다고도 인심을 쓰시니, 역시 인간성 좋은 사람은 달라요. ^^

icaru 2005-01-04 2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 님/ 님..로드무비님인가 복돌이언니님인가 혼동했당께요..^^

kleinsusun 님/ 안마출장서비스 ㅋㅋㅋ 하긴요....저는 저 위에서..이 책이 펄프낭비인 부분도 있었다 해 놓고는...에구 그럴거까지야..또그런답니다... 암턴..요랬다조랬다...한다니깐요...



속삭이신 님...우아!! 하성란과 김별아 둘다요? 둘의 첫만남에서 김별아가 했다는 말..헉...이에요 ㅋㅋ 김별아는 참... 강한 눈빛의 소유자인듯합니다.... 사진으로가 아니라 맨얼굴로 마주하고 있음 그 여자에게 속내을 읽혀버리기 십상이겠단 생각도 들었어요... 실제로도 카리스마 있을까요...김별아의 소설 개인적 체험을 구해다 놓았는데...흐.... 재미로 읽긴 어려울 듯 보이네요...휘리릭 넘겨보니까요...



호밀밭 님/ 정말 산문집이 작가를 더 잘 볼 수 있게 한다는 말 맞는 거 같아요. 산문집으로 만난 김별아는 아주 열정인 사람이지만 생에 대해서는 많이 비관적이라, 한편으로는 안타깝끼도 하대요~ 근데...제 표현이 시원시원했다고요...히이..정말 아이러니죠...생활 속에서의 저는 뭔말을 할 때 적당한 말을 고르느라... 우물쭈물하다가 한템포 늦게 입을 떼는 그런 스탈인데...



이안 님/ 으하하... 산문집을 사는 인심을 쓸 때는... 제 주머니가 넉넉해지는 아주 짧은 순간만이랍니다 ^^


2005-01-04 22: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루살이 2005-01-05 1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건물이 제 구실하는데는 배수가 중요하다.

사람이 건강하게 살려면 배설이 중요하다.

그래서 글을 쓴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건강한 똥은 냄새가 없듯 건강한 글도 구린내를 풍기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기에 구린내 없는 글이라면 그것의 건강성을 본받고싶어진다. 복순언니의 리뷰도 구린내가 없는 것 같다. 그리고 김별아라는 작가.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아직 순탄치 않은듯 싶다. 차라리 머리를 말거나 감겨주는... 이라고 생각하는건 지금의 내가 차라리 ...을 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많이 닮아 있다. 인생을 조졌어 하면서도 도망치지 않고 참는 것은 언젠가 배가 부르리라는 환상때문이지 않을까? (아직도 배가 고픈 히딩크가 여전히 축구 감독을 하듯이 말이죠^^)

icaru 2005-01-07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살이 님의 코멘트 보고...일순 긴장했더랩니다... ^^

픽팍 2005-03-20 1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산문진 굉장히 좋아하는 터라 많은 분들이 산문집을 탐탁지 않게 여기신다는 사실이 내심 놀랍네요 ㅋ요즘 김별아님의 미실인가?암튼 그 책 뜨는 것 같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