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스승의 날, 모처럼 선후배가 함께 선생님을 뵙기로 했다고 며칠 전에 후배로부터 연락을 받기는 했지만, 지방에 있다는 핑계 더하기 평일 저녁 시간이라 아이 때문에 어렵다는 구실 등을 붙혀 참석이 어렵겠다는 답변을 이미 해놓았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동기로부터 또 전화. 나와 이 친구는 우리 실험실 1기이다.
혼자 가기 뭐하니 같이 가잔다. 그러면서 하는 말, 올해가 실험실 생긴지 20주년이란다. 꺅~~ 내가 그 실험실 1기인데, 바로 그 실험실이 올해로 20주년을 맞는다는 말이다.
언제 시간이 이렇게 흘렀나. 20년이 무슨 애 이름도 아니고. 20년이 이렇게 흐를수 있단 말인가. 20년이란 세월이 이렇게 갑자기 선고처럼 들릴 수 있단 말인가.
그말 듣고 또 나의 감성 전선에 교란이 일어났나. 아직까지 잠을 안자고 앉아있다.

그나 저나 선생님, 20년 전 선생님 참 멋지셨어요.잠시 자리 비웠다 돌아와보면 제 책상에 선생님께서 내리신 커피가 제 컵에 담겨 놓여있었지요...
오늘은 못가뵈었지만, 조만간 제 아이 손잡고 한번 찾아뵐께요.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eylontea 2008-05-16 1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년.. 어릴 때는 내 나이 스무살이 언제 될까 싶었는데, 이젠 뒤로 지나간 세월을 10년, 20년 이런 식으로 세다보면 언제 그 시간들이 다 지나갔나 싶어요.

hnine 2008-05-16 13:30   좋아요 0 | URL
저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시간이란 원래 하루 단위로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10년, 20년 단위로 느껴지는 것인가봅니다. 우린 그냥 오늘을 열심히 살면 되는거겠죠? ^^

세실 2008-05-17 0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년 전. 전 파릇파릇 대학생 때군요. 까마득해요. 직장경력이 18년째......
조만간 은사님 뵌 이야기 들려주세요....

hnine 2008-05-17 09:14   좋아요 0 | URL
사진으로 보는 세실님은 지금도 파릇파릇해보이세요. 외모도 그렇지만 파릇파릇한 심성도 갖고 계신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세실 2008-05-17 14: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호 님의 칭찬에 부끄 부끄^*^ 감사합니다.
제가 실은 좀 까칠한 성격. ㅎㅎ
 
 전출처 : 알라딘도서팀님의 "2008년 4월 내맘대로 좋은책 - 책의날 특집 이벤트"

책에 대한 10문 10답

1.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깔끔하게 한 줄이면 더 좋고, 길게는 두 줄 정도까지요.

43세, 한 아이의 엄마이자 한 남자의 아내.

 2. 일 년에 몇 권 정도 책을 읽으세요?

세어보지 않았지만 6~70권 정도 되지 않을까. 많이 읽는 것이 뭐 그리 의미가 있나. 한 권을 읽어도 내 마음이 움직일 때가 있고, 열 권을 읽으면서도 건성으로 읽힐 때가 있다.

3. 지금까지 읽은 책 중에서 (어떤 의미에서건) 가장 충격적이었던 책은?

스캇펙의 '거짓의 사람들': 충격적이라기 보다 매우 인상적이었음.
서형숙의 '엄마학교':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하나 한참 고민중에 읽었던 책이라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아마 다른 때 읽었더라면 그렇지 않을수도 있었을까. 

4. 읽는 도중 3번 이상 웃었다, 라는 책이 있습니까?

책 읽으면서 잘 안 웃는다. 심각하게 읽는 경향이 있어서.

5. 자신과 닮았다고 생각하는, 또는 닮고 싶은 책 속 인물은 누구인가요?

닮았다고 생각한 인물은 없었던 것 같고, 닮고 싶은 책 속 인물은 <문제아>의 징코프. 그런 낙천성과 순수함으로 이 세상을 살아가고 싶다.

6. 이 작가의 책만큼은 챙겨 읽는다, 누구일까요?

특별히 없다. 오히려 새로운 작가의 작품들에 더 관심이 갈 때가 많다.

7. 남에게 선물로 줬던 책 중 기억에 남는 것이 있나요?

중학교때 좋아하던 미술선생님께 드렸던 철학자 김형석 님의 에세이. 지금은 제목도 생각 안나는데, 미술선생님께 잘 보일려고 일부러 어려워 보이는 책을 고르느라고 얼마나 고민했던지 지금 생각하면 참 우습다.

8. 소장하고 있는 책 중 가장 고가의 책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세계만물그림사전.

 

 

 

9. '책은 나의 oo(이)다'. oo는?

'책은 나의 책이다.' 책은 그저 책일 뿐이다.

10. 이번 달에 읽은 책 중 '내맘대로 좋은 책'은 어떤 것일까요?

도리스 레싱의 <런던 스케치>. 이 작가의 책으로 처음 읽는데,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책장이 빨리 넘어간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8-05-05 2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페이퍼를 진지한 얼굴로 읽었어요. 우린 띠동갑이군요. ^^

hnine 2008-05-06 05:34   좋아요 0 | URL
나이를 이렇게 단번에 밝히다니, 저도 참...ㅋㅋ
띠동갑 마노아님, 더 반가와요 ^^

비로그인 2008-05-06 1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문제아>리뷰를 읽었다는 사실이 웬지 이 페이퍼를 더 자세히 알게 해주는 느낌이에요.

hnine 2008-05-06 23:04   좋아요 0 | URL
정말 끌어안아주고 싶은 주인공이었어요.

세실 2008-05-07 2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호 간단 명료합니다. 공중그네 읽으셨나요? 흐. 전 그거 읽으면서 많이 웃었습니다.
나이가 그러셨군요. 짐작은 했습니다. 저랑 2살 차이^*^

hnine 2008-05-08 06:56   좋아요 0 | URL
제 나이, 예...그런데 뭐, 생물학적인 나이가 중요한가요. ^^
마음은 20대랍니다 ㅋㅋ

미미달 2008-05-12 0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런던스케치, 도리스레싱 노벨문학상 받기 훨씬 전에 읽었는데
처음 단편 빼고 뒤로 갈수록 이해하기 힘들어서 마구 혹평했던 기억이 나네요.
결국 저의 이해력과 무지함 탓이겠지만요 ㅠㅠ

hnine 2008-05-12 08:26   좋아요 0 | URL
그럴 수도 있었겠어요. 한가지 상황이나 사물을 현미경으로 꿰뚫는 듯하게 자세히 묘사하는 부분들을 이 책에서 자주 맞닥뜨리게 되는데 그런 부분들에 감정이입이 되다보니 페이지가 빨리 넘어갔던 것 같아요.
저도, 이해하기 힘든 책을 억지로 끝까지 읽는 타입은 아니랍니다 ^^
 

난 아직도 이런게 재미있는 아줌마 ^^

----------------------------------------

A형 10월
대체로 금전이나 재물에 크게 집착하거나 욕심이 많지는 않은 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요행심(僥倖心)이나 투기심(投
機心)과 사행심(射倖心)이 강(强)한 편이다. 정(情)이 많은 편에 속하는
데 다정다감(多情多感)하기도 하고 대부분은과격(過激)한 사람은 적으
며 온화한 성품의 소유자가 많다. 애정(愛情)과 관련해서는 이성(異性)
에게 배신당하기 쉬운 암시가 짙다고 하겠고, 남에게 아쉬운 소리를 한
다거나 머리를 숙이고 굽히는 것을싫어하는 경향이 심한데 남이 어려움
을 호소하면 마음이 내키지 않더라도 절대로 딱잘라 거절하지를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측면에서 판단해 보면 처세술이 다소 미숙한 탓일 수
도 있으니 특별히 노력해야만 할 것이다. 여성스러운 암시와 이해하기
힘든 별난 자존심은 강한 편이고 동시에 예기치 못한 때에 가끔씩 공격
적 성향을 나타내는 수가 있어서 사람들을 황당하게 만들기도 하는
데 '엉뚱한 면'이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냥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것을잊지 않는 편이라 할 수 있다. 대체
로 신용이 있는 편이므로 자중하고 자신을 낮추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
아야 할 것이다. 다만 진취적인 기상은 좀 부족하다고 할 수가 있는데
그것은 조그마한 기득권이나 작은 행복이나마 잃고 싶지않고 그나마 지
키고 싶어하는 소극적인 천성(天性) 혹은 여성적인 현실 만족적인성향
때문이다. 조금은 도전적인 삶의 태도가 필요하므로 적극적인 사고방식
을 배양(培養)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8-04-21 19: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08-04-21 21:24   좋아요 0 | URL
남 속을 타들어가게 하는 것보다 차라리 내 속이 타들어가는 게 낫지 않나 싶네요. 흐리지만 분위기 있는 날씨였지요? 저는 이제 아이 재우러 갑니다. 좋은 저녁 되세요.

하늘바람 2008-04-22 0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과 저는 비슷한 점이 많네요

hnine 2008-04-22 05:52   좋아요 0 | URL
그렇지요? ^^

미설 2008-04-22 0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왠지 아주 잘 맞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hnine 2008-04-22 05:53   좋아요 0 | URL
저도 읽어본 중에 제가 생각하는 저와 잘 맞는다고 생각해서 퍼왔어요.
미설님도 그러시구나~~ ^^
그런데, 이렇게 일찍 일어나셨어요?

세실 2008-04-22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호 요행심, 투기심, 사행심? 요건 안 맞으실듯^*^
상냥, 예의바름 맞으십니다.(지금까지 옆에서 지켜봤잖아요~)
저도 요런거 좋아해요.

hnine 2008-04-22 17:16   좋아요 0 | URL
ㅋㅋ 세실님, 제가 '의외로' 그런 면도 있어요 ^^
 

공부를 잘 해야 하는 이유: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라고 생각한다면 이런 글을 쓰지도 않았으리라. 하지만 공부를 잘 해야 하는 이유는 있다. 최근 출판된 장회익 교수의 '공부도둑'이라는 책 소개를 읽으면서도 느꼈지만, 공부란 살아가는 방식, 일종의 살아가는 태도란 말이다. 늘 뭔가를 배우려는 자세, 이것은 나의 부족함을 인식하는 겸손과 자기 성찰이 바탕이 된 것일테니까.

학생으로서 공부를 열심히 하는 동안 얻어지는 것은 좋은 성적보다도, 스스로 목표를 세울 수 있는 능력, 자신의 일을 제대로 해내려고 기울이는 노력, 그리고서 얻을수 있는 성취감과 보람 같은 것이 아닐까.  나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내가 당장 하고 싶은 일을 잠시 보류할 수도 있어야 한다는 것, 결과가 때로 성취감이 아닌 좌절감으로 돌아올지라도 그 상황을 극복하고 나아갈 수 있게 하는 것. 그것은 살아가면서 아주 중요한 가르침이라고 생각된다.

공부를 못해도 되는 이유:

공부를 잘 하는 사람에게 물어보자. 지금 행복한지를. 공부를 잘 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보다 더 행복한 삶을 살게 된다고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대학생들을 볼때, 다른 이들의 부러움을 사는 소위 명문 대학에 다니고 있으면서도 어딘지 자신감 없고 주눅들어 있는 학생들이 있는가하면, 그저 그렇다는 대학에 다니고 있으면서도 당당하고 앞을 똑바로 바라보며 사는 학생들이 있다. 혹 어떤 장벽에 부딪혔을 때, 비틀거리다가 결국은 일어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게 하는 사람들은 꼭 공부 잘하는 사람들은 아닌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100의 노력을 기울인다고 100의 결과를 얻는 것도 아니고,  좋은 대학, 좋은 직장에 들어갔다고 해서, 그만큼 더 행복하고 만족스런 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삶을 보는 자세, 즉 attitude.
넓은 시야를 가지고, 나를 위해서만 살지 않으며, 비관적이지 않을 수 있는 소소한 자기 철학이라도 가지고 사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이제 무엇이 되고 싶다는 소망을 버립니다. 잘 보이고 싶고, 인정받고 싶어 하는 눈물겨운 욕구를 지켜봅니다. 칭찬과 위안을 받으려는 애타는 마음을 바라봅니다. 그동안 나는 끊임없이 구걸함으로써 타인을 속이고 나 자신을 속이고 있었습니다.
조용히 들여다보면, 나는 욕망의 덩어리였습니다. 가장과 꾸밈, 거짓된 모습의 연속이었습니다. 아무도 나의 욕구를 채워줄 수 없습니다. 이러한 욕망으로 가슴 아파하고 두려워하는 나를 지켜봅니다. 그리고 걸핏하면 다른 사람을 탓하고 비난하는 나를 바라봅니다. 이것은 스스로를 책임지지 않으려는 비겁한 행위였습니다.
이제부터는 다른 사람의 잘못을 볼 때, 그를 고치려는 마음 대신 나 자신을 살피겠습니다. 다른 사람의 잘못과 실수를 나의 잘못과 실수로 받아들이렵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맑은 거울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아무것도 원하지 않습니다. 누구의 도움도 바라지 않습니다. 지금 있는 그대로 나 자신을 사랑합니다. 더 이상 무엇이 될 필요가 없습니다. 지금 여기가 나의 목표이며 전부입니다.
있는 그대로, 나 자신만으로 충분합니다. 지금 이대로 좋습니다. 내가 그냥 여기 있다는 사실이 하나의 신비입니다. 나는 내 존재만으로도 기뻐서 눈물납니다.

-- 오늘 읽은 책 중에서 한 쪽을 전부 베껴 적다. 자주 읽어보고 싶은 마음에. --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08-04-10 2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있는 그대로 나 자신을 사랑하라는 말.... 좋은데요.
아직 내 존재만으로도 기뻐서 눈물이 나지는 않아요. 좀 더 나를 사랑해야 할듯. ㅎㅎ

hnine 2008-04-12 00:01   좋아요 0 | URL
눈물이 날 정도는, 어떤 특별한 경험이 있어야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 정도는 아니라도, 나 자신을 사랑하는 일은 필요할 것 같지요.

하늘바람 2008-04-11 0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네요 님.
저도 어느 순간 제가 제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것같아 평소 주문처럼 하려고 비밀번호앞자리에 love를 넣었어요.그거 아주 중요한것 같더라고요

hnine 2008-04-12 00:05   좋아요 0 | URL
와, 좋은 방법이네요.
사랑한다는 것은 인정한다는 것. 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이것도 역시 욕심을 많이 내려놓아야 가능한 것 같아요.

마노아 2008-04-11 1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제목은 뭐예요? 뭉클했어요!

hnine 2008-04-12 00:05   좋아요 0 | URL
리뷰에 올렸는데 <마음공부>라는 책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