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해양 생태계 및 국제관계
김기태 지음 / 희담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도의 해양 생태계 및 국제관계

 

전창수 지음

 

독도는 우리나라로선 정말 끝내주는 자연의 섬이다. 사람들이 좀처럼 살 수 없는 조그만 섬인 것이 가장 큰 이유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독도는 생물들이 많이 산다. 사람이 많이 없기에, 생물들이 많이 사는 게 정상적이고, 마찬가지로 물고기들도 많을 것이다.

이런 썰이 있기도 하다. 일본에서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하는 것은 일본의 수산물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사실인지 아닌지는 나는 모른다. 하여튼, 이런 썰이 있는 것을 보면, 독도의 해양자원은 정말 풍부한 것은 분명하다.

우리가 독도를 지켜야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수산물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독도의 자연을 보존하기 위해서다. 독도가 우리 땅인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독도의 생물들이 행복하다는 것이다, 행복한 독도의 자연과 독도의 생물들을 마구잡이로 잡아서 생물들을 불행하게 하고, 생물들을 독도에서 몰아내지 않기 위해서다.

 

결국, 독도를 지키는 문제는 자연보존의 문제나 마찬가지다. 만약, 독도에서 생물들이 자유롭게 살아가지 못한다면, 독도에 있는 수많은 생물들은 독도를 떠날 것이고, 결국엔, 독도는 폐허가 되어버릴 것이다. 그렇게 되어버리는 쓸쓸한 독도를 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독도는 우리가 지켜야 할 소중한 자연이고 소중한 섬이다. 그걸 명심해야 한다.

 

, 이 책은 독도의 해양 생태계와 국제관계에 대해서 설명된 책이다. 그걸로 끝이다. 나는 이 책을 의미있게 보았다. 이상이다.

- 희담에서 도서를 증정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