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밖의 한국 - 전 세계가 놀란 한국식 모순 경영의 힘
유건재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뜻밖의 한국한국식 모순경영의 힘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한국식 모순 경영이란 쉽게 이야기해 서로 반대되는 개념을 잘 융합한 경영이라 할 수 있다. 즉 말은 모순 경영이지만, 이 책의 핵심은 조화에 있다.

 

 

2.

 

그럼 먼저 한국식 모순경영의 네가지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는 주체적 개인으로 이뤄진 우리’, 이 말을 쉽게 설명하면 집단주의와의 개인주의 조화라고 할 수 있다. , 우리에게는 공동체의식이라는 것이 있다. 그래서, 우리 나라에 무슨 일이 일어난다면, 똘똘 뭉친다. 그러면서도, 개인의 자유를 존중한다. , 집단주의가 있지만 그 집단주의에 개인을 속박시키지 않는다. 이 점이 미국과 일본과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은 집단주의 문화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일본은 개인보다는 집단을 우선시사한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식 모순경영에서는 집단도 개인도 어느 것도 소홀히 하지 않으며, 둘이 공존하며 살아간다.

 

두 번째는 열림과 닫힘의 유연한 공존이다. 우리의 과거에는 쇄국주의가 우리 민족의 발목을 잡았다. 그래서, 우리는 개방적인 국가가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마냥 우리 것을 내어주지는 않는다. 우리의 것을 지켜가며,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인다. 우리 것을 버리고, 외국의 문물을 무조건 받아들이라고 한다면, 우리의 민족은 분명 크게 반발할 것이다. 열림과 닫힘의 유연한 공존이다.

 

세 번째는 뒷심 있는 빨리빨리. 우리나라 사람은 빨리빨리를 많이 외친다. 물론, 느림의 미학에서 그 관점은 좋지 않게 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 빨리빨 리가 여유 있는 빨리빨리라면? 마음의 여유로움에서 나오는 빨리라면, 우리에겐 분명 뒤에 가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힘이 생길 것이다. 빨리빨리 모든 걸 해놓고 여유 있게 기다릴 줄 아는 지혜. 그 지혜는 어쩌면, 우리 나라 사람에게서만 발견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성의 창조적 융합. 우리나라 사람은 생각보다 다양하다. 성격도 다양하고, 직업도 다양하다. 한 곳에 몰려 있는 직업군이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때로,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직업을 얻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얻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그렇게 해서 원하는 일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한다. 때로는 포용력 있는 사람이 있고, 때로는 창조적인 사람이 있다. 때로는 성실함이 무기인 사람이 있고, 어떤 경우에는 활달력 있는 사람이 장점인 사람도 있다. 다양한 직업군이 가능하기에, 우리나라의 산업은 다양한 일꾼들을 필요로 한다.

 

 

3. 뜻밖의 한국은 이렇게 모순경영의 힘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게 무엇인가,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렇게 해서, 한국식 모순경영의 힘이 우리나라를 얼마나 발전시켰는가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그렇게 함으로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앞으로의 산업발전 방향에 대한 팁도 얻을 수 있다.

 

 

4. 어쩌면, 우리나라 모순경영의 힘은 세계의 기업들이 벤치마킹해야 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글쎼. 그것도 나라마다 각자의 개성이 있는 거겠지. 우리나라의 모든 부분에서 모순경영의 힘이 스며든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그 힘이 우리를 나아가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모순경영의 힘의 핵심은 사람과 사람이 조화롭게 어우러지고, 산업과 산업이 조화롭게 어우러지고, 그러면서 어느 것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는, 모두가 소중하다는 전제 아래 이룰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그 조화의 세상에 사람들이 정말로 살 만한 세상을 꿈꾸는 나만의 이유는 아닐 것이다. 오늘, 조화 너머로 새 삶이 자라나고, 그 자라난 새 삶이 또 다시 좋은 세상을 꿈꾼다면, 세상의 미래는 정말로 정말로.

 

- 21세기북스에서 도서를 증정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