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년 동안 핀 꽃 - 최초의 지역 축제 ‘춘향제’를 만든 최봉선
김양오 지음, 곽정우 그림 / 빈빈책방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남원에서 이백삼을 만난 최봉선.

일제강점기에서 최봉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어느 덧 남원에 온지 몇 년

쉬기생이 된 봉선은

어린 예비 기상을 잘도 챙겨준다.

그리고 이런저런 얘기를 듣는 봉선의 귀에 들여오는 소리.

만세를 부르며 죽어간 남원 사람들의 항거정신에 숙연해진 봉선.

최봉선은 춘향의 항거정신을 본받을 수 있는 상징물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만들어진 춘향제. 지역축제가 된 춘향제.

 

 

널벙바위 옆에서는 허리가 잔뜩 구부러지고 가녀린 무궁화 한 그루가 이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었다. 90년 전 간신히 살아남은 남원 권번 무궁화였다. - p.156

 






 

2.

 

이 책은 춘향제를 최초로 만든 최봉선의 이야기로 이야기는 그리 길지 않다. 최봉선이 어떻게 해서 춘향제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 전기형식이면서 이야기형식으로 간단하게 그려져 있다. 그래서 위인전에서 흔히 느낄 수 있는 긴긴 지루함은 없다. 다만, 너무 짧아서 최봉선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들을 수 없어 그 점이 좀 아쉬운 점이다. 그리고 느껴지는 위의 마지막 그림이 나를 압도시켰다. 숙연해진 무궁화와 한판 싸움. 그것들 같았다. 처량하지만, 처량하지 않은, 그러면서, 뭔가 앞으로 나아가는 듯한 느낌의 그림. 그 그림의 어딘가에서 삶은 계속되고 있지 않을까.

 

 

 

3.

 

춘향제를 보다가 종교와 충돌하는 부분이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춘향제에서 사당을 지어 제사를 드리는 부분이다. 나는 이 부분에서 하나의 의문점이 있다. 죽은 사람에게 절을 하는 것이 귀신에게 절하는 것일까 하는 생각. 죽은 사람의 영혼에게 절을 하는 것이 죄가 되는 것일까 하는 생각. 사람은 죽어서 과연 귀신이 되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을 터인데 하는 생각. 죽은 사람의 영혼이 잘 되길 비는 것이 과연, 나쁜 일일까 하는 생각. 이런저런 생각들을 하다 보니, 문득 목사님을 찾아가고 싶었는데, 그렇지 못하는 이 현실이 너무 괴롭기도 하다.

 

과연, 춘향제를 지내면서 얻은 이 상념들. 나는 이 글을 보시는 목사님에게 답 좀 달라고 말하고 싶다. 제사를 지내도 되는 건가요, 안 되는 건가요?

 

- 빈빈책방에서 도서를 증정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