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냄새가 난다

처음에 냄새가 난다

다음에 느껴진다.

다음에 느껴진다.

다음에 보이기 시작한다.

다음에 보이기 시작한다.

냄새가 나기 시작했다.

냄새가 나기 시작했어.

 

- 보노보노 명언집 중에서 - 


 처음에 느껴지는 느낌, 그 느낌을 무시할 수가 없다.

 때로는 그 느낌이, 어떤 순간을 바꾸어 놓기도 하니까.

 그 느낌을 제대로 파악하고, 그 느낌에 나의 온몸의 감각을 활용하다 보면

 비로소 길이 보이기 시작한다.

 내가 보노보노에 대한 명상을 하기로 결심한 계기도 그렇다.

 처음엔, 아무렇지 않게, 별 생각없이 리뷰를 썼다.

 그런데, 그 리뷰의 잔상이 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

보노보노 리뷰 맛보기

.

<1>

"나중에 곤란해지면 나중에 곤란해하면 되잖아-너부리" -  상권 "P.22"

이것이 뭐가 명언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도 있고, 이것은 정말 명언이라며 유레카를 외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너부리의 이 말은 현재에 충실하라는 카르페디엠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나중에 곤란해지면 그때는 꼭 해결방법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그때 해결하면 됩니다. 나중에 곤란해질 것을 미리 대비해, 미리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지요. 아무런 걱정이 없을 것 같은 마음으로, 그렇게 살아야 비로소 행복은 나의 것이 되지 않을까요. 곤란해질 나중은 그때 걱정합시다.

<2>

누나라는 게 어떤 존재인지 나는 조금 알고 있다

늘 곁에 있으면서 때때로 모르는 얼굴을 하는 사람이야. - 포로리

- 상권 " P.174"

어떤 사람에게 지나치게 관심을 가지게 되면, 우리는 그 사람을 본능적으로 경계하게 되고 심하면 거부감을 느끼게 되어 있습니다. 사람에게는 아무리 친한 사이라도 적당한 거리가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서로를 존중하고 지킬 수 있는 현명한 길이기 때문입니다. 늘 곁에 있으면서 때때로 모르는 얼굴을 하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그런 사람 아니겠습니까. 누나 같은 존재. 그런 존재가 우리 삶에 반드시 있을 거라 믿습니다. 그 사람이 바로 저를 가장 존중해주는 사람이 아닐까요.

<3>

포로리야, 부서진다 해도 정말 없어지는 건 없지 않을까? - 보노보노

- 상권 " P.186"

우리 삶에서 없어지는 게 과연 있을까요. 지나가는 시간 역시 사라지는 게 아니라 흘러가는 것이겠지요. 시간이 부서져서 그 시간들이 과거의 기억 속으로 사라진하 해도 그 시간은 온전히 지금의 나로, 그리고 새로운 의미로 생겨나 나를 새롭게 만드니까요. 세상에 정말 없어지는 건 없을 거 같지 않나요?

 

(전문보기 : http://blog.yes24.com/document/11033510)

-------------------------------------------------------------------------------

 그래서, 아예 보노보노에 대한 단상들을 올리기로 마음먹었다.

 냄새가 나더니, 비로소 보이기 시작한다.

 때로는 감추기도 해야 하는데, 그렇게 감추어진 것들이

 결국은 내 안에서 사라져 버린다면 아무 의미없을 것 같아

 나는 술술 냄새를 풍기기로 한다.

 이 글도 블로그에 써서, 언제가는 투고를 할 거다.

이 글도라는 말에 눈치채셨겠지만,

이미 다른 글은 투고를 한 글이 있다.

(어떤 글인지는 밝히지 않겠다)

그러나 책으로 나오게 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나의 글은 여전히 부족한 게 많고

나의 기획력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술술 냄새를 풍기다 보면

다음에는 보이기 시작할 거다.

나의 길들이

.냄새가 나기 시작할까.

그런 날이 올까.

오늘도 블로그에다 술술 냄새를 풍겨본다.

보노보노 명언 명상을 계속 올릴 생각이다.

다른 글을 못 올릴올 때, 아마도 이 글을 올릴 거 같다.

보노보노의 아기자기한 냄새를 맡아보길 바라면서.

(몇 편까지 올릴 거라는 얘기는 못하곘다. 보노보노 시리즈는 너무 많거덩!)

 

- 나는 알라딘도 예스24도 잘 되길 바라고, 잘 될 거라 믿는다.

  어쩔 수 없이 경쟁해야겠지만, 그 경쟁 속에서도 상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를 생각한다.

  가장 좋은 길은 책을 읽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는 길.

  나는 그런 날이 올 거라 믿는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