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이런, 또 걸려 들겠군, 하게 될 때가 있다. 그러니까 오늘 아침처럼. 방금전에 펼쳐 본 [한겨레21]을 보면서 공정무역 초콜릿을 구매하는 것이 정말로 아이의 노동착취를 막는데 도움이 될까, 사람들이 모두 공정무역 초콜릿을 구매한다면 세상이 좀 더 살기 좋아지는걸까, 그렇다면 아이들은 초콜릿이 아닌 다른것으로 어떻게든 돈을 벌어야 되는건 아닐까, 어떻게든 그들이 먹고 살아야 하는 다른 대안이 필요한건 아닐까, 하고 책장을 넘기다가, 오오, 이이체의 시집과 거기에 대한 리뷰가 실린 면을 펼치게 됐다.

















아직 리뷰를 읽기 전, 제발 이것이 신형철의 글이 아니기를 바랐다. 일단 맨 끝을 보니 '문학평론가'라고 적혀있었다. 아아, 그렇다면 맨 위, 거기에 신형철의 문학 사용법이라고 나와 있을지도 모르는데, 그렇다면 나는 끝장인데, 아 그러면 끝장인데, 하는 생각이 들어버린 것이다. 그냥 넘겨버릴까? 아니야 그럼 내내 궁금할거야 올려다보자, 하고 아주 짧은 순간 갈등을 한 뒤에 확인해 보니 아아, 그곳에는 적혀 있었다. 이렇게.


신형철의 문학 사용법


그렇다면 나는 빠져나올 수가 없다. 이 글을 읽지 않아도 나는 이 시집을 장바구니에 넣을것이다. 신형철이, 신형철이, 무려, 시집에 대해 말한다면, 아아, 거기에서 벗어날 순 없다. 시집에 대해, 시에 대해 말하는 신형철은 소설에 대해 말하는 신형철보다 더 애정이 넘치니까. 그리고 신형철의 글을 읽었다. 그가 인용한 시의 일부들은 그러나 내 마음에 와 닿질 않았다. 아, 이이체는 내가 원하는 시를 쓰는 것 같지는 않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도 나는 병신같이 이이체를 장바구니에 넣는다. 신형철이 이렇게 말해서.


이이체는 가끔, 다시는 똑같이 쓸 수 없을 것 같은 문장들로, 아무렇게나 진실에 도달한다. (한겨레21, 제896호, p.89)















나는 이이체를 읽을 수 없을 것 같은데-왜 이 젊은이는 이토록 절망하는가!- '사고' 싶어지고 말았다. 제기랄. 몽쉘통통을 먹으면서 고민 좀 해봐야겠다. 



음....나도 시를 쓸까. 그렇지만 .... 시를 쓴다고 신형철이 다 봐주는 것도 아니고, 설사 봐준다고 해도 좋은 글을 쓸만한 느낌을 내 시가 준다는 보장도 없고...................회사를 때려치고 본격적으로 시를 써볼까............................




정신차리자.


댓글(2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2-02-03 1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일단 공정무역이라는 말로 아이들의 노동착취는 절대 반대하는 입장이에요. 사실 기업이 공정무역을 하려고 맘만 먹는다면, 어린이들이 일하는 곳하고는 계약을 맺지 않겠다고 하면 되지 않을까요. 7,8살난 아이들이 고사리같은 손으로 딴 열매를 공정무역이라는 이름으로 먹는다는 것은 좀 그렇다라구요. 그게 커피든, 초코렛이든 그 터전에 아이들이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서. 속상해요.

다락방 2012-02-03 10:19   좋아요 0 | URL
아, 기억의집님. 제가 오해하시게 글을 쓴것 같아요. 보통의 초콜릿은 어린이들의 노동을 착취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공정무역 초콜릿을 먹자, 이런 취지의 광고였어요. 정확히 인용해보자면,

[iCOOP생협에서 선보이는 초콜릿은 콜롬비아社가 아동노동없이 생산한 카카오이며 공정무역 원칙으로 직거래를 통해 들여온 초콜릿이다.(한겨레 21, p.95)]

그러니까 자기네 초콜릿은 아동노동없이 만들어졌다는거죠. 그래서 이 초콜릿을 먹으면 아동노동이 조금 줄어들까, 저는 그런 생각을 했던거에요. 그러니 이 초콜릿을 먹는것이 그렇지 않은 초콜릿을 먹는것보다 조금 나을수 있겠지만, 가난한 나라에서는 아이들이 어떻게든 생산현장에 투입되지 않을까, 싶었던거죠. 그렇다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그들이 살아갈만한 다른 대안이 필요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했던거에요.


2012-02-04 15: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2-06 12: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2-03 10: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2-03 10: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Forgettable. 2012-02-03 1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팔에는 관광객에게 물을 팔기 위해 8살 난 여자애가 매일 아침 엄청나게 많은 양의 생수병을 지고 산길을 올라요.
그 아이가 버는 돈은 그래봐야 푼돈이죠.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 물을 사는 걸까? 아니면 애초에 이런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물을 사질 말아야 할까?
그 아이는 먹고 살아야 하는데..

다락방 2012-02-03 10:45   좋아요 0 | URL
네, 내 말이 그 말이에요. 아동노동으로 만들어진 상품을 사지 않는쪽이 아이들에게 정말 더 나은건지, 그것에 대한 확신이 서질 않아요. 아동착취에 반대하고 아이들에게 노동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은하되, 그러나 아이들의 삶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면 그 주장은 어떤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있는걸까. 어떤 대안을 마련해줘서 아동노동없이도 그 아이들이 살아갈 수 있게 해주어야 하는게 아닐까. 그러기 위해서는 뭘 어떻게 해야하는걸까. 아이들을 노동에서 빼내와서 잘 살수 있게 하는게 아니라면, 나는 아이들이 만든걸 사는것이 더 아이들을 돕는걸까. 불매하는것이 아이들의 삶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치는걸까? 전 잘 모르겠어요.

레와 2012-02-03 17:01   좋아요 0 | URL
여기 댓글도 추천! ^^

다락방 2012-02-03 17:24   좋아요 0 | URL
러시아 손님들은 잘 접대하고 왔어요, 레와님? ㅎㅎ

레와 2012-02-06 16:20   좋아요 0 | URL
전날 과음으로 부대찌게 대신 그들은 갈비찜과 갈비탕을 먹고, 그옆에서 저는 된장찌게를 먹었어요. ㅎ

웽스북스 2012-02-03 1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감하죠. 일이 필요한 아이들이니까 일을 하는 걸텐데. 그 아이들이 일을 하지 않는다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까, 라는 문제에 대한 고민이 당연히 동반되어야 하는 문제인 것 같고, 아동 노동 관련 문제라면... 아동 노동을 착취해 만들지 않은 공정 무역 초콜릿을 먹는 건 자기 위로이지 대안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직거래를 통해서 들여온다는 건, 생산자에게 어느 정도는 정당한 대가가 지불된다는 이야기이니, 해당 나라의 산업에 조금 더 도움이 될테고, 그런 것들은 구조적으로 조금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그치만 외국에서는 공정무역 한다는 사장님들이 더 땅땅거리면서 사는 경우도 꽤 있어서. 흠. 어려운 문제죠.

걍 전 맛있으면 먹습니다. ㅋ 공정무역 초콜릿인 디바인은 정말 맛있거든요. ㅋㅋ

다락방 2012-02-03 12:05   좋아요 0 | URL
네, 제가 생각하는게 그거에요. 그래서 공정무역 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다고 해서 그것을 무조건적으로 구입하게 되지는 않더라구요. 어떻게든 조금씩 더 도움이 되기는 하겠지만, 그게 대안으로 이어질 것인가. 웬디양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공정무역 초콜릿을 먹는 건 자기 위로이지 대안은 아닌 것 같아요.

웬디양님, 세상엔 왜이렇게 어려운 일이 많은거죠? 선뜻 결정하지 못할 일들 말이에요. 하아. 아, 그리고 저는 초콜릿을 살 것도 아닌데 그냥 광고 보고 생각해본 거에요. 하하하하..살것도 아니면서;;

레와 2012-02-03 17:01   좋아요 0 | URL
댓글에도 추천기능이 있으면 좋겠어요. ^^

카스피 2012-02-03 1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정무역과 아동착취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몰라도 제가 아는 공정무역은 이른바 글로벌 대기업을 끼지않고 산지 농민과 직접 연결하여 공정 무역제품을 사는 분들에겐 글로벌 대기업에서 사는 가격보다 다소 싸거나 혹은 이 취지를 이해하는 분들이라면 다소 비싸게 구매하여 산지 농민들에게 좀더 나은 금액을 보장해 주자는 것이 원 취지인줄 알고있습니다.

다락방 2012-02-03 13:06   좋아요 0 | URL
네, 저도 카스피님이 말씀하신대로 알고있습니다.

당고 2012-02-03 1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다락방 님은 소설을 더 잘 쓸 거 같긴 하지만, 신형철의 눈에 들려면 역시 시를..... 쿨럭;
아무튼 또 낚이셨군요 ㅋㅋㅋㅋㅋㅋ 강태공이네요, 그 사람!

다락방 2012-02-03 13:28   좋아요 0 | URL
음...당고님.....그럼..........소설을 쓰고 주인공을 시인으로 해서 소설 속에 자작시를 포함할까요? 그게 더 나을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진 2012-02-03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이이체를 기어이 사고야 말았어요. 이이체는 전부터 관심있게 봐왔었는데 사려고 마음먹으니까 한수철님께서도 이이체가 꽤 마음에 드신다고 하시길래 그냥 저질러 버렸지요. 사실 제겐 어렵긴 하겠지만요...

다락방 2012-02-03 13:49   좋아요 0 | URL
앗 그래요? 전 신형철을 좋아하지만 신형철이 말하는 작품들까지 좋아하는 건 아니어서 지금 갈등하고 난감한상태에요. 신형철한테 반해서 시집 몇권 샀었는데 그때마다 시집에 실망을 해가지고.. ㅎㅎ
이이체는 신형철이 인용한 부분들을 보면 지독하게 절망적이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잘 읽을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어쩌지.. 흐음..

이진 2012-02-03 14:03   좋아요 0 | URL
맞아요, 그 말이 딱 맞는거 같아요 지독하게 절망적.
읽기 힘들답니다... 후후

다락방 2012-02-03 14:05   좋아요 0 | URL
앗. 어쩐지 갑자기 또 사고싶어지네. 이건 뭘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