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처의 교회에서는 신부가 성모상에 두 개의 커다란 남근적 가슴과 매우 거대한 페니스가 달려있는 것을 발견하고 경악한다. 성모는 시각적으로 거대한 남근을 자랑하는 파주주와 연결된다. -p.79
오늘 출근길 지하철 안에서 이 책의 <엑소시스트> 부분을 재미있게 읽으며 책장을 넘기는데 '파주주'란 단어가 보인다.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일단 체크해두고 넘어가면서, 다음에 또 나오면 찾아봐야지 생각했다. 그런데 다음장을 넘기자 바로 위의 문장이 나온다. 아니, 파주주가 또.. 그렇다면 이 단어의 뜻을 알고 가는게 책 내용의 이해를 돕는 길이렸다. 그래서 나는 핸드폰을 꺼내 검색을 해보고 잊지 않기 위해 책장 위에 메모를 해두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8/pimg_7903431033347140.jpg)
파주주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악마란다. 아, 그러니까 악마를 말하는 거였구나. 그렇게 메모를 해두고는 본문을 읽고 다음 장으로 넘어가기 위해 책장을 넘기다가 나는 이것을 발견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8/pimg_7903431033347141.jpg)
앗. 파주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그러니까 나는 처음 이 책을 읽을 때에도 파주주를 몰라서 찾아보았고 잊지 않으려고 메모까지 해두었던 거다. 그런데 재독하면서 '아니, 파주주는 대체 뭐야?' 또 생각하고 또 검색하고 또 잊지 말아야지 메모를 했던 것. 파주주 뭐지? → 검색해보자 → 잊지 말자 이 세단계를 한 번 거쳐놓고 완전 새까맣게 잊었던거다. 오, 신이시여.. 저는 책을 왜 읽나요? 아무것도 기억을 못하는데.. 왜 읽나요? 찾아본 기억도 진짜 전혀 안나는데 저건 왜 저렇게 당당하게 적혀있나요? 왜죠?
나는 오늘 나에게 부끄럽기 짝이 없었다고 한다...
그나저나 <엑소시스트> 부분 너무 재미있게 읽고 있는데 자꾸 '이자' 라는 단어가 나온다. 문맥상 이 이자는 예금을 맡겨두고 거기에 붙어나가는 금전적 이익이 아니고, 문맥상 이 이자는 this person 도 아니고, 문맥상 이 이자는 '이제'의 사투리도 아닌데, 그렇다면 도대체 다른 무슨 이자가 있단 말인가.. 찾아보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8/pimg_7903431033347147.jpg)
엑소시스트는 내가 너무나 무섭게 보았던 영화인데 나 역시도 바바라 크리드가 지적한것처럼 이 영화를 그저 악마를 무찌르는 내용 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바바라 크리드는 이 영화는 어머니와 딸의 관계를 다룬다고 얘기한다. 영화 감독이 그렇게까지 생각하고 만들었을까, 나는 역시 또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는데, 바바라 크리드가 언급한것처럼 영화속 악마의 목소리를 낸 성우가 여성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모든건 사람들의 무의식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걸까? 그러니까 '감독이 그걸 알고 만들지 않았는데 바바라 크리드가 지나치게 깊게 생각하는 건 아닐까' 했다가 그 생각이 꼬리를 물면, '그러나 감독도 자신 안에 있는 그런 무의식을 악마의 모습과 소녀에 빙의되는 것으로 발현한 건 아닐까' 이렇게 되는거다.
그러니까 나의 경우, 내가 나를 중심에 두고 생각한다는 걸 인지하지 못한 채로 항상 글을 써왔더랬다. 책을 읽고 갑자기 연관되는 일을 떠올린다던지 그 책에 대한 감상을 적는다든지 할 때, '나에게 내가 중요하다를 이 글에 드러내겠다', 라는 마인드로 글을 쓴 적은 한 번도 없었던 거다. 그런데 어느 날 한 서평가가 내 책에 대한 리뷰를 하면서 이 사람의 글에는 '나'가 중심이다, 라는 뉘앙스로 얘길해서 그때 아?! 이렇게 됐던거다. 그러니까 내가 무언가를 의식하고 쓰는 경우가 아니라도, 읽는 이에게는 그것이 드러나기도 한다는 것. 왜, 어떤 소설을 읽으면서 그 줄거리와 별개로 그 작가가 그 책에 담고 있는 노골적이지 않은 생각이나 태도 같은게 보여서 되게 좋거나 되게 싫을 때가 있지 않나. 엑소시스트는 바바라 크리드에게 그렇게 보였던 영화가 아닐까 싶은 거다. 아무튼 나는 엑소시스트 진짜 세상 무섭고 다시 볼 생각 전혀 없지만 엑소시스트에 관련된 글을 읽는 건 너무 재미있다.
다른 얘긴데, 요가에는 '우르드바 다누라 아사나' 라는 게 있다. '아사나'는 보통 영어로는 pose, 우리말로 번역하면 '자세'가 되는데, 우르드바 다누라 아사나는 우리말로는 거꾸로 활자세 가 되겠다. 위를 향한 활자세나. 그 자세가 어떤 거냐면, 이거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8/pimg_7903431033347152.jpg)
내가 번번이 도전할 때마다 실패하는, 머리가 들어올려지지 않아 언제나 실패하는 자세인데 이 자세에 대해 생각할때면 어김없이 엑소시스트 생각이 난다.
아마 엑소시스트 영화를 본 사람들이라면 알겠지만, 거기에 이런 장면이 나오는거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8/pimg_7903431033347153.jpg)
으.. 무서워..... 넘나 무섭다..... 으.........무서워 ㅠㅠ
리건의 빙의/반란의 한 이유는 어머니와의 친밀한 이자 관계에 갇혀 있고 싶다는 그녀의 욕망인 것으로 보인다. 리건의 부모는 이혼했다. 리건은 자기 생각에 어머니가 결혼하고 싶어 할 것 같은 버크에 대한 질투의 감정을 표현한다. 악마에 빙의된 후에 리건은 버크를 죽여 버린다. 그녀는 버크를 자신의 방 창문 밖으로 던져서 높은 게단에서 굴러 떨어지게 한다. 그는 계단의 끝에서 목이 뒤로 돌아간 채 발견된다. 그는 말 그대로 '다른 곳을 보도록' 강요당한 것이다. -p.85
으 무섭다.. 이 책
영적 타락의 주제가 <엑소시스트>의 핵심 소재이긴 하다. 그러나 이 소재는 영화에서 드러나는 여성괴물성과 몸을 통해 기괴함을 표출하는 여성을 통제할 수 없는 남성들의 무능에 대한 탐구에 비하면 부차적인 문제이다. -p.76
되게 무섭고 어려운데 그런데 이 책 읽는 거 너무 재미있다. 모르는 단어 나오면 또 이건 뭐여.. 하기도 하고 또 어떤 생각들에 대해서 '정말 그렇다고?' 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이 이미 숱하게 보고 생각하고 연구해온 글을 읽는게 너무 재미있다. 계속 읽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