챈틀 뒤퐁은 제주도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116/pimg_7903431032049801.jpg)
'챈틀 뒤퐁'은 패리쉬 섬에 다리를 놓기 위해 도시에 사는 남자 '스카우트'를 이용한다. 그 과정에서 스카우트에게 어마어마한 호감을 느끼게 되는데, 그건 남자도 마찬가지. 그러나 스카우트는 도시에 약혼녀가 있는 상황. 서로 엄청 끌리면서도 '이러면 안돼'가 그들 사이에 있다. 정확히는 챈틀 뒤퐁에게. 그를 안고 싶지만, 그는 약혼녀가 있지... 하고 그에게로 끌리는 자신을 애써 막아보려 하는 것.
그렇게 욕망에 시달리는 낮과 밤을 보내다가, 그들은 섬의 문화 때문에 함께 화산이 폭발할지 모르는 곳으로 가게 된다. 챈틀 뒤퐁과 스카우트는 그 곳에 함께 가서 화산의 움직임을 마주한다. 그 곳에 함께하게 되는 것. 위험한 순간, 그 곳에서 그 일을 그들은 함께 겪게 되는데, 그 위험한 순간을 겪고 나서 스카우트는 챈틀 뒤퐁에게 말한다.
"그 순간 이후로 뭔가 달라진 것 같아."
그 마음은 호감에서 사랑으로 변한 것일 수도 있고, 그들 사이가 좀 더 특별하게 엮였다는 것일 수도 있다. 그 사건은 인생에서 다시 경험하지 못할만큼 큰 일이었고, 그것은 그로 하여금 또 그녀로 하여금 그 순간을 함께 겪어낸 그들을 서로에게 특별하게 만들어준 것이다.
어제 집에서 혼술을 하면서 채널을 돌리다가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를 보게됐다. 마침 호주의 가족이 한국에 와 설악산에 함께 가는 장면이었다. 나는 강원도에 여러차례 갔어도 설악산을 등반한 적은 없었는데, 화면에 보이는 설악산은 정말이지 근사했다. 와, 저기가 저렇게 근사한 곳이구나! 그래서 사람들이 설악산, 설악산 하는구나. 사람들이 그토록 많이 꾸준하게 설악산을 찾는 데는 다 이유가 있구나 싶은 거다.
호주에 살면서 낮은 산, 작은 산들만 보다가 이렇게 크고 웅장한 산을 본다는 것은, 호주 가족에게 매우 특별한 경험이었다. 다같이 정상에 올라 눈앞에 펼쳐진 광경을 넋을 잃고 바라보며 잠깐의 침묵이 찾아드는 그 시간이 이상하게 벅찼다. 저거 너무 좋지, 특별한 공간에 함께 있다는 거, 그것 만으로 특별한 경험이지. 그들은 올라갈 때 연신 아름답다고, 굉장하다고 감탄했고, 올라가고 나서는 한동안 말을 잃을 정도로 풍경에 반해버렸다. 그래,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같은 걸 경험하는 것 역시 못지않게 중요하다. 그건 그 자체로 대단한 거야!
여행의 마지막에 그들은 여행이 어땠는지를 얘기하는데, 그 중에 한 명이 이런 말을 했다.
"내 인생의 정점을 찍은 것 같아."
물론, 그렇게 말한 그 가족 구성원은 아직 젊고, 앞으로 살아갈 날이 훨씬 많을 것이기에, 인생의 정점이라 불러도 될 순간은 앞으로 여러차례 더 오게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생을 살아오며 '이것이 내 인생의 정점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이지, 얼마나 근사한가! 내가 지금 경험한 바로 이것, 이시간, 이 순간, 이 사람이 내 인생의 정점이라는 걸 들여다보고 생각하고 말할 수 있다는 것. 이것은 그 자체로 인생의 정점을 누리기에 충분한 자격을 갖춘 게 아닌가 말이다.
챈틀 뒤퐁과 스카우트가 경험한 것도 바로 그것일 거란 생각을 했다. 인생의 정점, 그 순간에 그들이 함께 있었다는 것. 시간이 흘러 돌이켜 보았을 때, '그 때가 내 인생의 정점이었지'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좋은가! 어쩌면 챈틀 뒤퐁에게 인생의 정점은, 잃었다고 생각한 그가 다시 자신의 인생으로 뚜벅뚜벅 걸어온 때일지도 모르지만, 그런 시간을 갖고 있다는 것, 그것이 내 과거에 있었다는 것은, 앞으로 내가 더한 인생의 정점으로 갱신한다 하더라도 너무 근사한 일이잖아.
나는 내 인생의 정점에 대해 생각했다. 정점을 찍었다고 하면 그 다음은 내리막길인가, 를 물어볼 때, 어쩌면 많은 사람들이 '정점을 찍었더니 내려가더라고..' 라고 반응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면, 나는? 나는 정점이 있었는가, 그리고 그 후에 내려왔는가? 를 내게 물었다.
나는 내 인생의 정점이 삼십대 후반이었다고 생각한다. 쭉쭉 올라가더니 확 정점을 찍어서, 와, 내 인생의 정점이다! 라고 생각하게 되었어. 그후에 내리막길로 착실히 내려왔냐 하면,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는 내 인생의 정점을 찍었고, 어쩌면 앞으로 또 내 인생의 정점을 갱신하게 될 수도 있겠지만, 정점을 찍은 후에 나는
내.려.오.지.않.았.다.
나는 여전히 그 정점의 연결선상에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나는 지금 내 인생이 자못 만족스럽다. 물론 순간순간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고 싶어, 이것만으로는 부족해'라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리막을 향해 내딛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나의 노력이 만든 것이었다. 내가 그러지 않으려고 버티고 또 버텨냈기에 가능했다. 작년 5월즈음 부터 내 컨디션은 바닥으로 떨어졌고, 의욕이 없고, 우울하고, 그래서 삶이 진창속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것 같아서, 나는 그걸 내가 인지하고 자꾸 끌어올리려 애썼다. 이렇게 해볼까, 이건 어떨까, 아니 그렇게 하진 말자, 하면서 자꾸 바닥으로 떨어지려는 나를, 내가 붙잡아 끌어 올렸다. 그래서 나는 여전히 내 인생의 정점, 그 연장선상에 머물고 있다. 나는 내 성격으로 보건데, 그리고 그간 내가 살아온 삶의 모습으로 보건데, 이제 바닥으로 가지는 않을 것 같다. 순간순간 우울하고 불행하다는 생각에 빠질 수 있겠지만, 그 때마다 나는 나를 끌어올릴 수 있는 사람이니까.
인생의 정점을 찍는 데는 나의 운이 작용하는 걸 수도 있겠고, 분명히 그 운이라는 것도 영향을 미치겠지만, 그러나 내가 행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챈틀 뒤퐁과 스카우트가 화산에 올랐던 것처럼, 호주 가족이 설악산에 갔던 것처럼, 내가 무언가를 스스로 해야, 바로 그 정점에 이를 수 있는 것.
인생의 정점은 너무 좋고, 내가 그걸 인지한다는 것도 축복이지만, 그렇다고 내가 이대로 내 삶이 끝날 때까지 정점속에서 살고 싶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점의 연장선상에 있다가 결국에는 안정적으로 편안히 살고 싶다. 조용히, 나직하게 살면서, '아아, 그 때가 내 인생의 정점이었지'하고 돌이켜볼 수 있다면 좋겠다.
누군가와 그 정점에 대해 이야기나눌 수 있다면 더 좋겠고.
"기억나? 그 때가 내 인생의 정점이었잖아. 그리고 거기에 당신이 함께였지."
같은 거 말하며 조용히 늙어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 인생은 참으로 복된 인생이 아닌가. 인생의 정점을 향해 가고 유지하는 것은 지나치게 치열할 수도 있고, 그 치열함은 언제까지고 유지할 수 없다. 사람에게 에너지란 고갈되기 마련이라. 결국은 안정적으로 살아가고 싶어. 그것이 바닥으로 향해 가지는 않으면서.
'서민'의 책 『밥보다 일기』를 읽다가, 이 책을 알게되어 오늘 아침부터 읽기 시작했다. '화이트'가 흰색이고 '래빗'이 토끼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화이트 래빗이 흰토끼인줄은 이 책을 보고 알았다. 나는 이거 그냥 흰, 토끼 이렇게 생각했는데, 흰토끼였어... 나에겐 언어감각도 부족한가... 제기랄.....
그렇게 책을 읽으려다가 첫 장 시작도 전에 이런 페이지가 똭- 나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116/pimg_7903431032049806.jpg)
자 보이는가, 저 『레 미제라블』에 대한 설명이!
저기에 써있는대로, 주변에 레 미제라블 소설 전권을 정독했다는 사람은 거의 없다. 장발장도 알고 레 미제라블도 알고 영화도 보고 그래서 내용도 알겠지만, 그 책 전권을 완독한 사람은 거의 없는 게 사실. 그런데 누가 다 읽었게?
나다.
바로 내가 그랬다!
내가 이 책을 펭귄에서 나온 다섯권짜리로 다 읽었다.
게다가 마지막 5권을 읽으면서는 눈물 콧물 흘렸다.
내가, 이 내가, 다 읽은 바로 그 사람, 레 미제라블 소설 전권을 정독한 그 몇 안되는 바로 그 사람이다.
이 내가,
내가!!!
뭐, 그렇다는 거다.
이만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