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지난 4주간 월요일 저녁마다 ‘와일드 번치: 뉴 아메리칸 시네마’라는 행사를 했다. 50-60년대에 새로운 흐름을 창안했다 하여 주목받았던 미국 영화를 상영하고 영화평론가가 나와서 해설하는 행사인데, 그동안 게으름 피우느라 가지 않다가, 어젯밤에 마지막 상영작인 <이지 라이더>를 보러 갔다. <이지 라이더>는 전부터 궁금했던 영화인데, 이 기회 아니면 언제 다시 볼지 모르기 때문이다.
전에는 햇빛 가득한 영화를 보면 더워 보였는데, 지금은 따뜻하단 생각이 든다.
(영화관의 냉방이 서늘해서 그러나? -_-)

가득한 햇빛, 마른 땅과 하늘의 건조한 맑음이 따뜻하고,
피터 폰다의 차갑지 않은 무표정이 따뜻하고,
데니스 호퍼가 폭력적이지 않은 자유를 보여주어 안심이 되었다.
지금은 네모난 몸집에 심술궂어 보이는 잭 니콜슨 아저씨,
젊을 땐 이렇게 쌈박했단 말이지!

(이 사진은 다른 영화에 나온 장면인 모양...)
그런데 고요하기만 한 하늘과 땅에서,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는 이들에게, 그들은 왜 총을 쏠까. 가만두지 않을까. 영화 속 제임스(잭 니콜슨)의 말대로라면, “너(데니스 호퍼)는 자유 그 자체이기 때문이야. 사람들은 늘 자유를 말하지만, 너를 보면 자신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걸 알게 되거든.” 코카인과 마리화나가 자유를 상징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다만 황무지의 공동체, 과연 싹이 날까 싶은 마른 땅에 씨앗을 뿌리고 양식을 얻음과 나눔에 감사 기도를 올리던 사람들만이 이들을 안아주었다. 그것이 미국의 희망인가? 마른 땅, 과연 싹이 날지 의심스러운 곳에 그래도 끊임없이 뿌려대는 씨앗이.
저녁 8시에 영화 상영이 시작해 9시 40분에 끝났다. 영화평론가의 해설을 들을까 하다가, 그냥 집으로 왔다.
이지 라이더 Easy Rider | 감독 데니스 호퍼 Dennis Hopper | 출연 피터 폰다 Peter Fonda, 데니스 호퍼, 잭 니콜슨 Jack Nicholson | 1969 | 94분 | 미국 | 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