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회에는 늦잠을 자서 시험을 보지 못했어요.

새벽부터 일어나서 설치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시험 시간이 다 되어서야 일어나서 시험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죠.

이번 시험에도 그와 비슷한 해프닝이 있었으니, 간만에 밤에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 지하철까지 타고 조금 헤매기도 하여 시험장에 도착했더니 표지판도 붙어 있지 않고 사람도 한산해서 무슨 시험이 이래 하고 불평을 했죠. 그런데 아무리 봐도 시험장이 없는 거에요. 그것이 지난 주 일요일의 일이었죠.

아침 9시 30분까지 시험장에 도착한다는 것은 제게는 매우 어려운 일. 아침 9시, 10시 대학강좌를 청강하고자 마음을 먹었으나 한번도 듣지 못했던 것과 같죠. 이번에도 9시에 일어나서 택시를 타서야 시험장에 도착할 수 있었어요.

한국어인증시험은 그 전에도 3차례 정도 보았는데, 문제의 질로 따지면 이번에 보았던 KBS가 확실히 나았던 것 같아요. 한국어능력시험을 반영하는 곳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이유가 있더군요.

국어인증시험은 독해와 이해 등 언어생활의 고전적이고 수능적인 유형에 한정된 반면에, 한국어능력시험은 문학에서 다양한 그림, 사회현상, 전문가의 논문 등 활용한 지문에서도 넓은 스펙트럼을 보였습니다. 인증시험에 비해 많은 인력이 투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겠더군요.

그러면서도 인증시험에서는 다소 소극적으로 출제한 '어문/어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배려를 하고 있어요. 듣기 100문제 중 30문제를 할애했지만, '언어문화'나 기타 지문 안에서도 어법 문제가 자주 등장해서 40문제는 '어법'에 할애했습니다. 한국어 능력의 기본은 어법이라는 것을 잘 인식하고 있는 듯했습니다.

게다가 다음 카페 'KBS한국어능력시험을 준비하자'에서 받은 3문제 미션을 제대로 베껴 왔어요. 나중에 수업이 개설될 수도 있는데, 복원한 시험문제를 공유해서 좋은 자료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시험 접수비도 인증시험이 비싼 것 같던데, 이번 기회에 '인증시험'과 인연을 끊을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평소에 적지 않은 텍스트를 읽은 것이 독해에 조금 도움은 되었지만, '어법'에 대해서는 오만하게도 신경을 쓰지 못한 것 같습니다. 정확한 어법을 사용해서 다른 사람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신경써서' 살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것이 교양이 되어 나의 문장 안에 자연스럽게 녹아날 때 나는 한국어의 master가 될 수 있겠죠. 암튼 유익한 일요일입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5-14 15: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하십니다~

하늘바람 2006-05-14 15: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승주나무님 정말 대단하시군요

stella.K 2006-05-14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시험도 만만찮은가봐요. 전 시험이라면 딱 질색...그래도 나름대로 의미있었겠네요. 수고하셨네요.^^

승주나무 2006-05-14 1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담뽀뽀 님//논술의 지존이 되고 싶은 생각은 없어요. 그냥 '지존'이 되고 싶은 거지요^^;
물만두님//하늘바람님//와! 님들이 더 대단하십니다.
스텔라 누님//만만찮은 시험이에요. KBS 들어가려면 꼭 봐야 하죠. 그래서 그런지 아나운서 닮은 분들이 많이 보시더라구요. 시험을 교란하는^^ㅋㅋ

이매지 2006-05-14 2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KBS한국어능력시험쪽이 더 가격이 싼가요?
전 고등학교 때 인증시험만 봤었는데 만만찮더라구요.

승주나무 2006-05-14 2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국어인증시험은 24,000원
한국어능력시험은 18,000원입니다.
국어인증시험이 돈은 더 아깝더군요^^;;;

마늘빵 2006-05-14 2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정말 열심히 이십니다. 대단한 열정입니다.

승주나무 2006-05-16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 님//아닙니다, 일상이지요(퍼퍼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