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싱글맨
크리스토퍼 이셔우드 지음, 조동섭 옮김 / 그책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에게 죽음을 가르친다는 것은 어렵다. 어제까지 즐겁게 놀던 친구, 다정했던 조부모, 지금이라도 만나서 즐겁게 웃을 수 있을 것 같은 사람을 다시는 만날 수 없다는 것을 어떻게 납득시킬 수 있을까. 그것이 어려운 이유는 누구도 자신이 소중하게 여겼던 사람을 영원히 잃고 말았다는 사실을 납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나이는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사람은 몇 살이 되어도 친한 사람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한다.
그것은 누군가의 죽음은 그 사람의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에게 나누어 주었던 자신의 영혼의 조각이 소멸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전혀 면식이 없는 사람의 죽음은 그나마 수월하게 받아들여진다. 같은 나이나 비슷한 처지라서 자신도 그렇게 되면 어떻게 하나 하는 생각만 없다면 그저 안 됐다는 한 마디와 흘러 가버린다. 반면 친한 사람의 죽음은 팔을 잘라낸 것과도 같다. 팔이 잘려나간 경우 그 자리에는 아무 것도 없는데도 팔의 고통을 느끼거나 간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왕왕 있다고 한다.
그 사람에게 주었던 영혼의 소멸과 함께 돌아오는 날카로운 고통, 공허감, 그리움 그것이 이 책 <싱글맨>에서 주로 담겨 있는 감성이다. 1960년대 미국에서 영국인인 조지는 자신의 동반자를 잃어버린다. 그의 이름은 짐, 두 사람은 동성애자였다. 조지는 짐의 죽음과 조지의 죽음이 함께였던 것처럼 느낀다. 좁은 집, 타국에서 누구보다 마음을 터놓고 언제까지나 함께 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던 연인을 잃은 남자는 자신의 정체성에까지 의문을 느낄 만큼 공허에 사로잡혀 있다.
그는 자신이 했을 법한 행동을 하며 움직이고 반응하지만 그 사이 사이에 슬픔이 스며든다. 두 사람이 지나가려면 몸을 움츠리고 부딪치다시피 지나가야 하는 계단, 같은 시간을 보내던 거실, 모든 것은 그대로인데 오직 그의 연인인 짐만이 그 자리에 없다. 58세의 영국 남자 조지는 일상 속에 있으나 일상을 무감각하게 흘려보내고 삶이 계속되고 있지만 더없이 공허하고 고통스러운 시간을 견딘다.
가장 끔찍한 것은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사람을 잃었는데도 세상은 아무 것도 변화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옆집 아이들은 계속 그가 심술궃은 늙은이 역할을 하기를 기대하면서 다리를 건너오고 옆집 부부는 동성애자인 그에게 묘한 태도를 보인다. 오랜 친구인 샬럿은 자기 연민과 책임감 사이를 오가면서 그에게 추파를 던지기까지 하는 것이다. 삶은 계속되고 있지만 그는 누구와도 진정한 관계를 꿈꾸지 못하고 강의를 하러 가는 도로 위에서 염증을 느끼거나 동성애를 혐오하는 자들에 대한 경멸과 분노, 대학 안에서 아무 걱정 없는 젊은이들을 볼 때 그 찬란함에 눈이 멀 지경이었다.
이 책 <싱글맨>에서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슬픔에 빠진 남자의 단 하루를 그리고 있다. 독특한 점이라면 주인공이 동성애자이고 당시 시대가 1960년대라 동성애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팽배했다는 점, 슬픔에 빠진 한 남자의 일상에서 흐르는 감정을 미세하게 포착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사실 편안한 책은 아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극도의 정신적 불안을 느끼고 있는 남자의 감정을 따라가는 터라 책의 분위기도 그에 따라 요동을 친다. 하지만 누구나 언젠가 자신이 소중하게 여겼던 누군가를 잃는 경험을 하는 터라 공감이 가는 부분도 많이 있었다. 미세한 감정의 결을 잘 살린 단 하루, 여운이 오래 남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