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를 리뷰해주세요.
-
-
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 - 고미숙의 유쾌한 임꺽정 읽기
고미숙 지음 / 사계절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제목과 내용이 상당히 일치한다. '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 여기서의 길 위는 고정되지 않은 흐름의 역동적인 장(場)이며, 거기에서 당대 사회에 빗겨난 사람들이 주인공으로 활동하는 모습들이 펼쳐진다(물론 주류 인물들도 함께 공존하지만, 시선의 중점은 역시 임꺽정 같은 비주류 인물들이다). 애매한 자리지만, 그 결정되지 않는 위치에서 더욱 자유로운 활력이 솟구친다. 그러니 엄숙함이 아니라 생의 흥겨움, 향연이 아니겠는가?
저자 고미숙은 지식인이다. 지식인의 종류?도 많은 법인데, 이 책은 물론이거니와 다른 책에서도 알 수 있지만, 고미숙은 지식을 유동적인 텍스트로 배출하는 능력이 있다. 유동적이기에 대중들에게 잘 유통된다. 자신만의 독자적인 소화 패턴이 있고, 그것을 맛깔스럽게 재생산한다. 이 책, 임꺽정도 마찬가지로 임꺽정과 임꺽정의 저자 홍명희는 고미숙에 의해 새로운 길을 만난다.
조선시대 짚신 자국이 어지러운 흙길이 현대 도심 언저리, 금이 간 아스팔트 혹은 시멘트 길로 바뀐다. 이 책에서 길은 중요하며, 그 길 위에서 사람들은 만나고, 뭉치고, 증식한다. 즉 길은 물리적인 장소이면서, 심적 접촉의 공간이기도 하다.
새롭게 포장한 길 위에서 임꺽정을 새롭게 변주하기!가 이 책의 모토가 아닐까? 그러므로 이 책은 정통적인 해석과는 사뭇 다르다. 세련되고 무겁지 않은 주제로 예전의 임꺽정이라는 텍스트를 끌어올린다. 그러니 감각적인 재치와 가끔 기발한 지적 조합을 볼 수 있지만, 임꺽정 본래의 뿌리에서 나는 그 짙고 무거운 향은 사라지는 감이 있다.
그리고 저자가 너무 자기 기분에 도취해서 비판적인 눈을 반쯤 감은 흔적도 눈에 띈다. 가령 4장 '사랑과 성'을 보자. 저자는 임꺽정에 나오는 인물들의 연애, 사랑의 방식을 칭송한다. 야생적이며, 잔머리 굴리지 않는 즉흥성! 그런 점이 있기야 하지만, 그것은 그들의 상황상(도망가는 자들!)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고 본다. 그리고 좀 더 거리를 두고 본다면, 이들의 연애가 과정이 형식적이지 않지만, 결국 결혼이라는 형식을 너무도 당연히 받아들임을 볼 수 있다. 그럴 바에는 요새 찾을 수 있는 만남의 행태, 눈이 맞아 바로 정을 통하고, 동거에 들어가는.., 결혼의 형식마저도 벗어난 그러한 만남은 어떠한가?
이 책에서 나는 6장, 사상-매트릭스 혹은 '사주명리학'을 가장 흥미롭게 보았다. 조선의 주류와 비주류 인물들이 어떤 특별한 규칙 없이 등장하고, 서로 엮이고, 거기에서 흘러나오는 신선한 지식들은 향기롭다. 동양의 진정한 인간-우주학이라 불릴만한 역(易)의 다양한 변종들! 이것이 가장 세속적으로 흐를 때, 사주학이 되지 않는가! 하여튼, 이 사주학에서조차, 동양학의 전체적이고 연기적인 사고방식이 고스란히 들어난다. 그리고 공부의 스케일이 크지 않은가? 그 큰 만큼 사이비로 넘어가는 위험도 많지만 말이다.
그리고 또 하나, 저자가 날카롭게 지적했듯이, 임꺽정이 결국 미완으로 남은 이유도 매우 그럴싸하다. 그 이유가 원작자 홍명희가 책을 완성하기 어려운 불가피한 상황이라서가 아니라, 그의 비연속적인 운의 작용, 결국 원작자 자신이 임꺽정에 흐르는 사주명리학의 기운에 포섭되는 것이 아닌가? 텍스트의 힘, 그 영향권에 저자도 예외가 없는 법!
자칫 과거의 습기 먹은 흙냄새가 날 거 같은 임꺽정이, 이렇게 세련되고 감각적으로 성큼 다가온다는 건 즐거운 일이다. 그러나 더 치열하고 뭔가 꿰뚷을 듯한 통증, 즐거운 통증이 약하지 않았나싶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정말 반길 만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