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랭보의 마지막 날 (문고본) ㅣ 마음산 문고
이자벨 랭보 지음, 백선희 옮김 / 마음산책 / 2018년 1월
평점 :
아르튀르 랭보. 그는 내게 글자의 색을 알아보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어쩌다 음운에 색깔이 있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단 말을 들었고, 랭보의 '모음'이라는 시에서 각 모음에 색깔을 그가 입혔음을 발견했다.
특이하다고 해야 하나,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해야 하나? 그리고 그가 일찍 죽었다는 사실만 알고 있었다. 그게 다였다. 프랑스 상징주의 시는 나하고는 거리가 너무 멀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이상 정도 되지 않을까 하는, 시도 그렇지만 행동도 기이한, 일찍 죽은 점에서 비교될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그의 마지막 모습을 기록한 책이 나와서 읽게 되었다. 암으로 다리를 절단하고, 그 암이 온몸으로 퍼져 극심한 고통 속에서 죽어가야 했다는 사실을.
죽음의 순간, 사람들은 솔직해진다고 한다. 천재로 알려진 작가가 마지막에 보이는 솔직한 모습에 대한 궁금증도 이 책을 읽게 하는 데 한몫했다.
동생 이자벨 랭보가 쓴 책인데... 이자벨 랭보가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와 랭보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랭보가 죽기 전에 했던 마지막 여행에 대한 짧은 글들을 모아 놓은 책이다.
처절한 고통 속에서 죽음을 바라보고 있는 랭보를 간호하는 이자벨. 이자벨이 본 랭보. 랭보가 이자벨에게 했다는 말이 마음을 울린다.
"난 땅속으로 갈 테고, 넌 태양 속을 걷겠지." (50쪽)
너무도 젊은 나이에 유명한 시인이 되고, 곧 시를 포기하고 - 그는 프랑스에서 문학으로 성공할 가능성을 보았지만 청춘기의 작품을 계속 이어가지 않은 걸 흡족해 했다. 왜냐하면 "졸작이었으니까."(98쪽), 병에 걸려 다리를 절단하고, 온몸에 퍼진 암 때문에 고통 속에 괴로워하다 세상을 뜬다.
그가 살았을 때 낸 시집이 별로 많지 않고 젊은 시절에 쓴 작품 이외에는 별다른 작품도 없다. 우리나라 이상이나 나도향, 김유정 등이 20대에 삶을 마감한 것에 비하면 조금 더 오래 살았다고 할 수 있지만, 작품 활동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너무도 조숙한 천재였던가. 그러므로 세상과 화합할 수가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여기저기 방랑생활을 했다는데, 나중에는 무기 판매상까지 했다니, 그런 삶에 대해서는 인정할 수 없지만 그가 세상에 정착하기는 힘들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 실려 있는 '랭보의 마지막 여행'은 그가 치료를 받으러 로슈에서 마르세유로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글이다.
통증으로 옴짝달싹 못하는 랭보가 어찌어찌 마르세유로 가는 과정, 그것이 바로 랭보의 마지막 여행이었다.
평생을 자유롭게 살고자 했던 사람이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되고, 죽음에 이르러서야 간신히 기차를 타고 통증과 함께 하는 여행. 그 과정을 함께 하는 동생 이자벨의 마음이 잘 전달되고 있는 글이다.
어쩌면 랭보의 삶은 그 자신의 시집 제목처럼 '지옥에서 보낸 한 철'일지도 모른다.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바로 지옥 자체였을 터이니. 꼭 죽음에 이르는 과정이 아니더라도 그에게 삶은 지옥이었을 지도 모른다. 그렇기때문에 여기저기 방랑생활을 했을 테고.
랭보에 관심이 있는 사람, 랭보의 마지막 순간을 기록한 이 책을 읽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