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일포 2
모옌 지음, 박명애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2권이다. 1권에 이어서 뤄샤오통이 스님에게 하는 이야기와 현재의 이야기가 교차하고 있다. 그런데 1권보다 더 이해하기 힘들다. 도대체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가 허구인지, 어디서 믿을 만한 이야기가 시작되는지 알기가 힘들다.

 

분명 뤄샤오통이 어른들을 비판하고 있는 듯한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뤄샤오통을 믿을 수가 없다. 믿을 수 없는 화자, 그를 통해 당시 어른들의 모습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화자의 말을 믿을 수가 없다는 얘기가 되는데... 그렇게 되면 소설을 이해하기가 더 힘들어진다.

 

이 소설에서 주로 나오는 것은 돈과 성이다. 금력과 성에 대한 집착. 이는 물질만능주의 사회를 대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뤄샤오통이 고기에 집착하는 것도 역시 이 두가지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육욕의 향연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하나는 고기를 먹는 뤄샤오통의 모습에서, 다른 하나는 수많은 여자들을 거느리는 란씨를 통해서 보게 된다.

 

그렇지만 뤄샤오통은 고기를 끊는다. 그리고 그는 스님이 되려고 한다. 이는 그가 육욕에서, 권력에서, 돈에서 거리를 두려는 것이다.

 

이런 뤄샤오통의 모습은 현대화된 중국이 물질만능주의로 흘러갔으며, 그것이 문제가 있다는 쪽으로도 해석이 된다. 

 

그러나 이것으로 국한시켜서는 안 된다. 작가가 사회의 모습을 소설 속에 담기도 하지만, 자신만의 새로운 세계를 소설 속에서 창조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환상과 사실의 넘나듦이 너무 심해서 제목인 사십일포를 사십일개의 이야기, 사십일개의 과장한 이야기로 받아들이게 된다.

 

어린 시절 지녔던 환상을 이야기를 통해서 펼쳐내고 있다는 생각. 아이들은 사실과 환상을 교묘하게 섞어서 이야기를 한다.

 

사실 거짓을 말하려는 의도가 없이도 아이들은 사실에 허구를 섞어서 이야기를 한다. 아이들의 이야기 속에서는 허구와 사실은 하나로 엮여서 그 자체로 진실이 된다.

 

이 소설 속 화자가 어린 시절 이야기를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미 20대에 접어들고 과거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화자가 성숙했다고 여기기가 힘들다.

 

그래서 화자인 뤄샤오통은 자신이 겪었던 과거의 일들을 환상과 사실을 섞어서 진실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런 진실 속에는 현대화를 추구하던 중국의 모습, 중국 인민들의 모습이 잘 담겨 있기도 하다.

 

언제까지 이런 물질만능, 육욕을 추구하는 생활을 할 수는 없다. 작가인 모옌은 이런 뤄샤오통의 이야기를 통해서 현대 중국인이 추구해야 할 것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려고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한다.

 

고기, 성, 돈, 권력을 추구하는 그런 것들에 41발의 대포를 쏘아대는 뤄샤오통, 그가 쏜 대포는 이런 삶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경고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