덮지 못한 출석부
박일환 지음 / 나라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사'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참 어렵다. 한때 의식화 교사를 뽑지 않겠다는 의지로, 지금의 블랙리스트와는 좀 다르지만 교사 채용 시험에 교사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고 한다.

 

교사는 노동자인가, 성직자인가, 전문가인가? 지금에 와서는 헛웃음을 불러일으키는 질문이겠지만 당시에 교사를 뽑는 정권 입장에서는 상당히 의미있는 질문이었나 보다.

 

노동자라고 하면 의식화 교사가 될 것이고, 성직자라고 하면 무한한 희생을 하는 교사가 될 것이고, 전문가라고 하면 자신의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교사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는지... 하여튼, 교사를 이렇게 어느 한 분야로 축소할 수가 있을까 싶다.

 

교사는 모두여야 하고, 또 하나여야 한다. 즉, 교사는 모든 직업을 가진 사람처럼 행동해야 하고, 그렇지만 교사라는 것을 늘 잊지 않아야 하는 존재다. 이게 바로 '교사'다.

 

그래서 교사라는 직업에는 늘 학생이 함께 한다.  학생이 없는 교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교사에게 학생은 하나가 아닌 전부다. 그렇지만 교사에게 학생은 자신을 늘 괴롭히는 존재다. 어떻게 해야 학생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만드는.

 

학생으로 인해 괴롭지 않은 교사, 과연 그런 교사가 있을까? 교사의 일상은 학생으로부터 시작해서 학생으로 끝난다. 그래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교사와 학생 사이를 가로막는 장벽이 너무도 많다.

 

교사와 학생 사이에 쌓여 있는 장벽, 그 장벽을 하나하나 허물어가야 교사와 학생이 마주 서게 된다. 마주 선 다음 손을 잡게 된다. 손을 잡고 함께 가게 된다. 서로 마음을 열게 된다. 그때부터 교사와 학생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하나가 된다.

 

참 이상적인 얘기다. 이렇게까지 교사와 학생 사이에 놓인 장벽들을 부순 사람이 있을까? 있겠지. 그러니 스승이라는 말이 아직 살아있고 교사라는 말보다는 선생이라는 말을 더 자주 쓰겠지.

 

이런 교사의 모습을 이 시집에서 볼 수 있다. 4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집을 읽다보면 학생과 하나가 되려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 있는 장벽을 부수려고 하는 교사를 만나게 된다. 이런 교사가 있어 학생들이 웃을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전에 낸 청소년시집 '학교는 입이 크다'에서 시적 화자가 청소년들이었다면, 이 시집에서 화자는 '교사'다. '교육 시집'이라고 한다.

 

'교사'의 관점에서 시인이 학교를 그만두기까지 느꼈던 일들이 시에 잘 나타나 있다. 하여 우리나라 교육현실의 막막함을 시를 통해서 만날 수 있고, 그럼에도 그 속에서도 자신들의 살 길을 찾아 나가는 학생들의 모습도 만날 수 있다. 그렇게 자신을 잃지 않으려는 학생들을 따스한 눈으로 바라봐 주는 교사의 모습도 만날 수 있고, 이런 현실에서 무력한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는 교사의 모습도 만날 수 있다.

 

한편 한편의 시를 따로 읽어도 좋지만 전체적으로 읽으면 학생을 이해하고 그들과 함께 하려는 교사의 모습이 자연스레 떠오르게 된다. 그래서 시를 읽으며 어두운 우리 교육현실 속에서도 밝은 희망을 발견할 수가 있다.

 

단 한 줄 그 짧음 속에 들어 있는 촌철살인 시... 이게 지금 우리나라 교육의 현주소다. 그런데, 이 현주소를 이제는 옮겨야 하는데...

 

한석봉과 어머니

 

나는 노래방에서 탬버린을 칠 테니 너는 학원에 다니거라!

 

박일환, 덮지 못한 출석부. 나라말. 2017년. 90쪽.

 

아마 다 알 것이다.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이런 현실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런 현대판 한석봉들, 그들이 학원만 다닐까? 아니다. 그들도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해 준비를 한다. 이들에게는 살아있는 꿈틀거림이 있다. 교사-시인은(본인은 시인-교사가 되었어야 한다(154쪽)고 말하고 있긴 하지만) 이런 학생들을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경칩

 

교실마다 뛰쳐나오고 싶은 개구리들이

뒷다리에 잔뜩 힘을 모으고 있다.

 

박일환, 덮지 못한 출석부. 나라말. 2017년. 94쪽.

 

겨울이 아무리 추워도 봄은 온다. 땅이 꽁꽁 얼어 있어도 그 땅을 헤치고 개구리들은 뛰쳐 나온다. 우리 학생들도 그렇다. 그런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교사, 시인이다.

 

이제 교사-시인은 학교를 그만두었다. 시 '경칩'에서 학생들이 '뒷다리에 잔뜩 힘을 모으고 있'듯이, 시인은 이제 학교라는 틀을 벗어나 사회라는 곳에 뛰어들어 힘차게 달릴 수 있도록 '뒷다리에  잔뜩 힘을 모으고' 뛰어오르고 있다. 사회라는 땅 위로. 

 

그래서 이제 교사-시인은 시인-교사가 될 것이다. 교사가 꼭 학교에만 있으라는 법은 없으니 말이다. 시를 통해 청소년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어떤 길을 보여주는 그런 시인으로서 새로운 만남을 이어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