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능지처참 - 중국의 잔혹성과 서구의 시선 ㅣ 동아시아와 그 너머 1
티모시 브룩 지음, 박소현 옮김 / 너머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우리 말 욕에는 죽음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육시를 할 놈, 찢어죽일 놈 등등... 이런 욕이 나올만한 상황이면 참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극한의 욕을 하는 셈인데...
육시(戮屍)를 보통 토막내 죽인다고 알고 있는데, 한자어의 뜻에 따르면 죽은 사람의 시체를 꺼내어 다시 토막내는 것이 육시라고 한다. 그냥 부관참시라고 하는 말로 더 잘 알려져 있다고 하면 된다.
여기에 능지처참할 놈이라는 욕도 있는데, 찢어죽인다는 말과 통한다고 보면 된다. 사람의 신체를 훼손하는 징벌. 인간에게 가할 수 있는 가장 극한의 징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능지처참을 영어로 번역하면 'Death by a Thousand Cuts'라고 한단다. 천조각을 낸 죽음이란 뜻인데, 그야말로 사람의 몸을 산산조각내는 형벌이라는 뜻이다.
이 능지처참을 서구인들은 중국인의 야만을 드러내는 형벌로 파악을 했다고 한다. 동양적인 잔인함, 비문명화의 모습으로 판단을 했다고 하는데...
그래서 아마추어 사진사가 능지처참하는 광경을 사진으로 남겼고, 이를 무슨 대단한 증거인양 중국의 야만을 상징하는 것으로 계속 이야기해 왔다고 하는데...
이 책은 이런 서구인의 시각을 교정하려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능지처참과 같은 형벌이 중국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고, 서양에서도 이런 형벌은 존재했다. 다만, 백여 년 먼저 폐지되었을 뿐인데...
중국이 조금 늦게 폐지가 되었지만, 이런 형벌이 자주 있었던 것은 아니고, 법령에 능지라는 형벌이 명시된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 1900년대 초반에 폐지가 되었고.
게다가 사람의 몸을 조각내 죽인다고 하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고통을 받게 하는 것이라 생각하기 쉬운데, 이 책에 의하면 세 번째 절단에 주로 목숨을 끊는다고 해서, 신체적인 고통이 그리 오래 지속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럼에도 이 형벌이 지속된 이유는 어떤 이유가 있을텐데... 그 이유를 몸에 대한 중국인의 사고에서 찾고 있다. 온전한 신체라야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즉 몸과 정신이 분리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중국의 문화에서 신체를 훼손하는 것은 정신마저도 조각내는 것으로 생각했으니, 단순히 죽인다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몸을 절단하는 것은 너무도 심한 형벌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는 것.
그러니 이 형벌을 통해 신하나 백성들을 경계하고자 했던 군주들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는 것. 하지만 중국은 이런 심한 형벌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인(仁)의 정치를 추구하는 나라였다는 것. 백성들에게 인을 베푸는 것이 군주의 역할이었음을 망각하면 안 된다는 것을 이 책에서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특별히 중국의 잔혹함이 이런 형벌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 왜곡된 서구인의 시각에서 이런 형벌이 부각되었을 뿐이고, 이런 지독한 형벌이 있었지만, 기본적으로는 관용이 형벌 적용의 원칙이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서 이 책은 한 발 더 나아간다. 이렇게 처참한 형벌이 존재한다고 해도 범죄는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 태평성세에는 이런 가혹한 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이런 형벌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저자들은 사형제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 과연 사형제 존속이 범죄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는가?
이 책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대답이 나온다. 오히려 엄혹한 법률보다는 관용과 용서가 넘치는 사회에서 범죄가 더 줄어든다. 사형제를 폐지하는 것이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이 생각할 수 있는 답이라는 것.
과거 중국의 잔혹한 형벌에서 지금의 사형제도에 대한 생각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 그리고 어느 문화의 관점에서 다른 문화를 재단하는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 그것이 이 책을 쓴 목적이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