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N(시사인) 제925호 : 2025.06.10
시사IN 편집국 지음 / 참언론(잡지) / 2025년 5월
평점 :
품절


'흑'과 '적'의 불편한 동거, 우여곡절 끝 시작된 독일의 새 정부


프랑크푸르트.김인건 통신원


5월6일 기민당의 프리드리히 메르츠가 독일 총리로 취임했다. 하지만 시작이 좋지 않았다. 메르츠 총리는 독일 연방공화국 역사상 처음으로 연방의회의 1차 총리 신임투표에서 과반을 얻지 못했다. 연방 의원 총 630명 중 메르츠에게 찬성표를 던진 사람은 310명이었다. 과반에 6표가 모자랐다. 모두가 충격에 휩싸였다. 내각제 국가인 독일에서는 총리와 정부를 구성하기 전 연정 협상을 진행한다. 의회 인준을 위해서는 과반 의석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총리 인준 투표는 연정 협상이 완료된 이후, 새 정부 출범 날짜에 맞춰 진행되기 때문에 절차상의 요식행위에 가깝다.

이번 연정에 참여하게 된 기민당·기사당 연합과 사민당의 의석수를 합치면 328석이다. 따라서 여당 의원 모두가 총리 인준에 찬성표를 던진다면 메르츠 총리의 취임에는 문제가 없어야 했다. 하지만 1차 투표에서 내부 이탈표가 발생했다. 1차 투표의 충격 이후 의회는 일시 중단되었고, 각 정당의 주요 정치인 사이에 대화가 시작되었다. 내부 이탈 표 문제를 해결해야 했을 뿐 아니라, 총리 인준을 위한 2차 투표에서는 의회 3분의 2 이상 동의가 필요했다.

당일 2차 투표를 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였지만, 녹색당과 좌파당이 빠르게 2차 투표에 동의했다. 극우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을 제외한 모든 정당이 2차 투표에 동의한 것이다. 좌파당 원내대표인 하이디 라이히네크는 2차 투표에 찬성하며 자신들은 민주적인 원내 교섭단체와 늘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발언했다. 하지만 첫 번째 투표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한 것은 새로운 연정의 과오라고 말했다. 녹색당 또한 재투표에는 동의했지만, 그렇다고 새로운 정부의 정책에 찬성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기민당·기사당 연합과 사민당의 주요 정치인들은 같은 당 동료 의원에게 새로운 정부 출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총리 인준 찬성을 독려했다. 결국 2차 투표에서 325명이 찬성표를 던졌고, 메르츠가 총리로 임명되었다.

--------------

1) 연방 의원 총 630명이고

2) 과반은 316명(절반은 315명이나 과반은 절반을 넘어야 하므로 316명)

3) 2차투표는 과반이 아니라 3분의2 이상 동의를 얻어야 하므로 의원 420명이 찬성해야 함 

4) 어떻게 고작 325명으로 2차에서 인준된 거지??? 

ㄱ) 내 문해력이 틀린 건지 

ㄴ) 김인건 통신원이 글을 틀리게 쓰고 시사인 편집부도 김통신원 실수를 못 보고 넘긴 건지?

ㄱ)일까 ㄴ)일까?

----------------------

이 기사가 날 헷갈리게 한 거 빼고 시사인925호는 언제나처럼 좋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25-06-18 14: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알기로는 독일 총리 투표에서는 과반수 확보가 필요하며, 재투표 결과 과반수인 315표를 넘어서 메르츠 총리가 임명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차 투표에서 의회 3분의 2 이상 동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은 말씀처럼 편집부의 확인이 필요한 것 같네요. 심술님 덕분에 기사를 읽을 때 미처 발견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알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심술 2025-06-18 14:22   좋아요 1 | URL
바쁘실 텐데 와 주셔서 고맙습니다.

아무리 봐도 이상해서 편집부에 이메일을 보냈는데 아직 연락이 없네요.

좋은 하루 되시길.

심술 2025-06-25 17: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로 23분 전인 2025.6.25.수요일 16:59에 시사인이 보낸 이메일 옮긴다
--------------------
안녕하세요 심술 독자님.

시사IN 편집소통팀의 김연희 기자입니다.
메일 확인이 많이 늦어서 양해 구합니다.

김인건 통신원께 해당 부분 확인해보았는데요,
˝총리 인준을 위한 2차 투표에서는 의회 3분의 2 이상 동의가 필요했다˝ 부분이 잘못되었더라고요.
˝총리 인준을 위한 2차 투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의회 3분의 2 이상 동의가 필요˝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합니다.

확인해보니, 김인건 통신원이 보내주신 초고에는 제대로 들어가있었는데 윤문하는 교열 작업 중에 잘못 수정이되었더라고요.
저희도 모르고 있었는데 정 독자님 덕분에 알게 되었어요.
꼼꼼하게 읽으시고 메일까지 주셔서 감사합니다.

온라인 기사는 바로잡도록 하겠습니다.

심술 독자님도 건강하게 여름 나시길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김연희 드림
 

나도 이 양반 책 나름 읽었는데.


첫 만남이 새천년 무렵 뉴질랜드에서 읽은 헬렌 레인이 영어로 옮긴 <Aunt Julia and the Scriptwriter> 였고

그 뒤로 팬 돼서 찾아 읽은 책이 <In Praise of the Stepmother>, <The Feast of the Goat>랑 <The Other Side of Paradise> 였다.


2010년 한국 돌아와서 첨 읽은 바르가쓰 요싸 작품은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그 해는 고인이 '언제가 문제일 뿐 받는 건 기정사실'이라던 노벨문학상 받은 해이기도 하다.

그 뒤로 순서대로 <새엄마 찬양>, <리고베르토씨의 비밀노트>, <나쁜 소녀의 짓궂음>, <궁둥이>, <The War of the End of the World>, <켈트의 꿈>, <Conversation in the Cathedral>, <미라플로레스에서 생긴 일,황보석,1990,사민서각> 을 읽으며 나도 늙어 갔다.

그러고 보니 <미라플로레스에서 생긴 일> 읽은 건 바로 지난 달이네. 고인과 함께 라틴아메리카 문학 거장으로 꼽히는 그러나 둘 사이는 나빴던 가르씨아-마르께쓰 <Love in the Time of Cholera>랑 함께 읽었지.


<In Praise of the Stepmother>, <궁둥이> 랑 <새엄마 찬양> 은 같은 작품이고

<Aunt Julia and the Scriptwriter>, <미라플로레스에서 생긴 일> 이랑 <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 도 같은 작품이다.


라틴문학 두 거장 사이가 첨부터 나빴던 건 아니고 처음에는 좋았다가 바르가쓰 요싸 둘째 아내가 가르씨아-마르께쓰 부부에게 '남편 바람기 어째야 하냐?' 묻자 '이혼을 생각해 보라' 해서 바르가쓰 요싸가 가르씨아-마르께쓰 '줘팬' 일이랑 꾸바 까쓰뜨로 정부에 대한 생각 다른 것 등으로 사이 나빠졌다가 가르씨아-마르께쓰 말년에 치매 앓을 때 바르가쓰 요싸가 일방적으로 화해한 것으로 안다. 우리나라 DJ, YS 가 함께하다가 갈라져서 서로 본체만체 으르렁거리다 DJ 죽기 며칠 전에 YS가 병원 찾아서 뒤늦고 일방적인 화해 한 거랑 비슷하다.


몰랐는데 한겨레 임인택 기자 기사 읽다 보니 나랑 생일이 같네. 3월28일.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192284.html

기사에 가르씨아-마르께쓰 이후 18년 만에 노벨문학상 탔다고 나오는데 28년이 맞다.


음, 유명인 부고 소식 들을 때마다 하지만 늘 어기는 다짐 또 해본다. 언제 죽을 지 모르니 열심히 살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 속 송강호 대사.


영화 초반 아이들 뛰어놀고 사람들 모여 웅성대서 첫 피해자 현장 훼손되는 대목에서.


송: 근데 박기자가 안 보이네. 박기자, 휴가 갔나?


변희봉: 아니 이게 웬 일이냐?


송: 十새끼가 안 보이니까 속이 다 시원하네!


------------------

이제 굥은 감옥 가면 되니 한 고비 넘기는 했는데..


다음 대통령 1순위인 사람도 이래저래 말썽 많아서 걱정이네.


부디 잘 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주간경향 1621호 : 2025.03.30
위클리경향 편집부 지음 / 경향신문사(잡지) / 2025년 3월
평점 :
품절


표지기사는 굥이 탄핵돼도 분열과 후유증은 오래 갈 거라는 음울한 예상을 담았다. 내 생각에도 그럴 거 같다. 박송이 기자가 15쪽에 ‘의석수 108석, 전체 의회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거대 정당‘이라고 쓴 건 실수다. 108/300=36%니까 ‘40%이상‘은 틀렸다. 서중해,전성인,손호철 글도 읽을 만 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궁금한 게 둘인데


하나, 김연아의 2009-10씨즌 쇼트 프로그램 '007메들리' 에서 음악 셋이 나오는데 그 가운데 둘째 음악이 어느 영화에 나오는 무슨 곡인지 아시는 분? 첫 음악은 '썬더볼'에 나오는 'Searching for Vulcan'이고 마지막 음악은 누구나 다 아는 몬티 노만Monty Norman이 지은 모든 007영화에 개근한 '007주제곡'인데 가운데 음악을 모르겠네요. 지난 15해 동안 주위 사람들에게 물어보기도 하고 음악평론가나 라디오dj 언론사 음악담당기자들에게 이메일도 보내 봤는데 모르거나 대답 없거나 하더군요. 아시는 분 계세요?


둘, 프랑쓰 팝아티쓰트 또마 뵈유Thomas Vuille 대표작 Monsieur Chat(무슈샤/Mr.Cat)이 봉준호 감독 영화 '기생충'에 나오나요? 제가 2019년 개봉한 날 극장 가서 볼 때 조여정, 고 이선균 부부의 둘째 다송이 방에서 무슈샤 봤는데 나중에 tv로 볼 때는 없더라구요. 박소담이 가짜 미술치료사 제씨카인 척하며 다송이 가르치러 갈 때 봤거든요. 제가 개봉날 극장에서 헛것을 본 것인지 tv로 볼 때는 화면이 작아서 못 본 것인지 궁금해서요. 이것도 지난 6해 동안 주위 사람들에게 물어도 보고 영화블로거들한테 물어도 보고 언론사 영화담당기자들에게 이메일도 보내봤는데 모르거나 생까거나였어요. 아시는 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