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광수 시선
마광수 지음 / 페이퍼로드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논란의 중심에 있던 사람이다. 학자로서가 아니라 소설가로서 그는 외설스런 작품을 썼다는 이유로 구속되기도 했다.
작품의 외설성을 판단하는 것이 판사, 검사라는 것도 우스운 일이지만 그는 자신의 작품으로 대학교수직에서 해직되기도 하니, 참으로 파란만장한 삶을 산 사람이다.
우연히 헌책방에 들렀을 때 어떤 사람이 "즐거운 사라"가 있느냐가 했고, 책방 주인은 귀한 책이라고 헌책이었음에도 그다지 싸지 않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아무리 제도권에서 막아도 책이 읽히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그의 소설들이 재판정에서 판단하는 사람들의 정서와 일반 사람들의 정서가 다름을 알 수 있는 대목이었는데...
그런 그가 삶을 스스로 마감했다. 이 세상과의 불화를 스스로의 손으로 끝냈다. 대학을 정년 퇴직하자마자 스스로 삶을 끝낸 사람. 다른 세상에서는 글로 인해 억압을 받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는 마음이 먼저 들었다.
그가 살아있을 때 낸 마지막 시집이다. 그의 시집에서 여러 시들을 본인이 골라 실었다고 한다. 한글로만 '시선'이라고 되어 있어, 시선집인지, 마광수가 바라보는 시선인지 헷갈렸는데, 출판사 소개들에 작가가 고른 시선집이라고 되어 있다.
몇 편을 찾아보니 다른 시집에 실려 있던 시들이 실려 있다. 그런데 참 친절하지 못하다. "시선"이란 제목으로 책을 냈고 8부로 나누어 시집을 냈는데, 그 시들이 어느 시집에 실려 있던 시들인지 아예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언제 발표된 시인지, 어느 시집에 실린 시인지, 이 시집의 순서가 시대순인지조차 알 수가 없다.
시선집을 내면 좀 이런 점을 고려해서 냈으면 좋겠다. 적어도 한 작가의 작품 활동을 결산하는 시집 아닌가. 그런 시집에 출처를 밝혀주면 다른 시집들을 찾아 읽어볼 마음도 생기도 더 좋지 않은가.
시집 곳곳에서 죽음의 냄새, 사회와의 불화가 넘쳐난다. 그를 구속까지 몰고간 성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은 물론이지만, 성욕이 넘치는 것은 죽음과도 상통하니, 어쩌면 이 시집을 내면서 그는 자신의 죽음을 예고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가령 이 시집에 실려 있는 '자살자를 위하여'라는 시를 보면 그는 자살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자살자를 비웃지 마라 / 그의 용기 없음을 비웃지 마라 / 그는 가장 용기 있는 자 / 그는 가장 자비로운 자 / 스스로의 생명을 스스로 책임 맡은 자 / 가장 비겁하지 않은 자 / 가장 양심이 살아 있는 자' (자살자를 위하여. 3연. 120-121쪽)
여기에서 그는 여차하면 자신의 생명을 자신의 손으로 끊을 마음이 있음을 비치고 있다. 그렇게 세상이 자신을 받아들여 주지 않으면 자신이 세상을 버리겠다는 의미, 그것은 양심이 살아 있고, 비겁하지 않는 행동이라고, 스스로 생명을 책임 맡은 것이라고 하고 있다.
얼마나 세상과 불화했으면,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세상의 통념에 반대되는 생각을 지니게 되었을까? 그만큼 그는 이 세상과 화해하기가 힘들었는지도 모른다.
'한국에서 살기'라는 시를 이를 잘 알 수 있다. 청년들만 '헬조선'이 아니었던 거다.
'한국에서 살기는 너무나 힘들어 / 뭘 해도 안 되고 뭘 안 해도 안 돼 / 되는 것도 없고 안 되는 것도 없어' (한국에서 살기. 1연. 73쪽)
학자로서도 작가로서도 그는 신산한 삶을 살았다. 자신의 욕망을 가감없이 드러내는 것이 잘못이라고 하는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이보다 더한 짓들을 하면서도 그것을 글로 표현하면, 문학으로 표현하면 안 된다고 하는 사회에서 그는 견디기 힘들었으리라.
얼마나 사회에서 비난에 시달렸으면 '내가 죽은 뒤에는'이라는 시를 썼겠는가.
'내가 죽은 뒤에는 / 내가 [윤동주 연구]로 박사가 되었지만 / 윤동주처럼 훌륭한 시인으로 기억되긴 어렵겠고 // 아예 잊혀져 버리고 말든지 / 아니면 조롱섞인 비아냥 받으며 / 변태, 색마, 미친 말 등으로 기억될 것이다 // 하지만 칭송을 받든 욕을 얻어먹든 / 죽어 없어진 나에게 무슨 상관이 있으랴 / 그러 나는 윤회하지 않고 꺼져버리기를 바랄뿐' (내가 죽은 뒤에는. 전문. 85쪽)
어떻게 기억이 될까? 세계적으로 변태라고 이름난 사드 후작도 자신의 작품을 남겼고, 요즘에도 읽히고 있지 않은가.
마광수의 작품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세대를 앞서 나왔기에 외설 판정을 받고 그의 문학생활을 힘들게 했지만, 작품은 작품으로 읽혀야 하는데, 여기에 사회적인 잣대, 윤리적 잣대를 들이대었으니 그가 견디기 힘든 것도 이해할 수 있다.
이 시선집에 실린 시들은 어려운 시가 하나도 없다. 그냥 직설적으로 이야기한다. 천상병의 후기 시가 천진난만한 사람의 시선으로 쓰였다면, 그래서 그의 시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다면, 마광수의 시들은 우리들이 지니고 있는 욕망을 거침없이 드러낸다.
윤리, 도덕으로 가린 욕망들을 그는 가차없이 드러낸다. 직설적으로 표현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런 욕망을 발현하고 싶어하면서도, 실제로는 발현하고 있으면서도 마광수의 작품을 불편해 하는지도 모른다.
어두컴컴한 곳에서 은밀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 남들 모르게 비밀스럽게 행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그런 성적인 일들을 그는 공개적으로 백주대낮에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윤리는 인륜이고, 본성은 천륜이라는 허균의 말이 갑자기 생각났다. 마광수는 이런 천륜, 자신에게 주어진 본성을 문학으로 드러냈을 뿐일 것이다.
그것이 인정을 받지 못해서 그렇지. 하지만 지금은 조금 다르다. 우리는 문학을 문학으로 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지 않았는가. 그렇기 때문에, 마광수의 이런 "시선"이란 시집도 아무렇지도 않게 출간되어 읽히고 있지 않은가.
이 시집에서 압권은 '내가 쓸 자서전에는'이다. 그가 살아온 삶들이 이 시에 실려 있다.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 감정이 잘 담겨 있다. 마음이 쓸쓸해지는 시다. 이 전문은 찾아서 읽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니, 여기서 인용은 하지 않겠지만...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저 세상에서는 이렇게 문학을 윤리, 도덕, 사회적 제도의 잣대로 재는 일이 없기를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