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의 품격 - 말과 사람과 품격에 대한 생각들
이기주 지음 / 황소북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격 떨어지는 사람과 대화를 하다보면 짜증이 치밀어 오른다. 그만큼 나 자신도 격이 떨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대화란 보통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할 수 없고(자신이 속으로 자신과 주고받는 말도 대화로 볼 수 있다고 바흐친은 주장하고 있으니... 그야말로 일반적으로), 둘이 주고받는 말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오고가는 말 속에서 어떤 품격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이다.
품격이 낮은 말로 대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자신이 쓰는 말 역시 품격이 떨어진다는 것이니, 자신을 비추어보고 싶으면 물이 아니라 사람에 비추어보라고 한 말이 있듯이, 주고받는 말에는 일방적으로 품격이 낮은 말만 쓰는 사람은 없는 것이다. 서로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 품격 낮은 대화가 이루어질 때는 상대에 대한 짜증이 아니라 나에 대해 짜증이 나는 것이다. 나 역시 이 정도로 품격이 낮은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써온 말 중에 격이 높은 말이 얼마나 있었을까 생각해 보면 아찔해진다. 그냥 내뱉은 말들이 더 많지 않았을까. 그냥 마음 속에서 생겨난 말들을 거르지 않고 밖으로 표출한 말들이 더 많지 않았을까.
남에게 상처주는 말들을 많이 했다는 생각. 이 책의 한 부분인 '지적'이라는 제목을 지닌 글에서 남을 지적할 때 손가락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엄지를 빼고 나면 네 손가락 중에 지적질을 할 때 한 손가락 주로 검지 손가락은 상대를 향하고 있지만, 나머지 세 손가락은 자신을 향하고 있다는 글.
그만큼 자신을 세 번 정도 되돌아 본 다음에 남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그 정도는 되어야 말에 품격이 실릴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였는데...
사람에게도 품격이 있어서 그를 '인품'이라고 하듯이 저자는 말에도 품격이 있다고, 즉 '언품'이라는 게 있다고 한다.
언품을 높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현란한 말하기 기술을 익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상대방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듣기부터 시작하는 일이다. 그렇다. 모든 말하기는 결국 듣기다. 듣기가 잘 되어야 말하기를 할 수 있다.
듣기, 이는 상대를 내 마음 속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찬찬히 상대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 마음의 문을 여는 것, 그것이 바로 듣기다.
말의 품격은 그래서 듣기, 경청으로부터 시작한다. 잘 듣기가 곧 잘 말하기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공적인 장소에서 듣기보다는 제 말만 하는 사람을 많이 보아왔고, 도대체 말도 안 되는, 격 떨어지는 말들을 뱉어내는 사람들을 많이 보아왔다.
그만큼 말이 품격을 잃은 시대이기도 한데, 말이 품격을 잃었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가 어지럽다는 것이다. 공자가 왜 이름을 바로잡겠다고 말 했겠는가.
이름을 바로잡겠다는 말, 그 말과 행동이 일치하도록 하겠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말만 앞세우는 그런 사회가 아니라는 말이다.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회,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지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 사회, 자신의 말보다는 남의 말을 들을 수 있는 귀를 가진 사람이 많은 사회, 그런 사회는 품격이 높은 사회다.
'말의 품격' 이 책은 그런 품격있는 사회를 지향하고 있다. 사회지도층이라고 자부하는, 그런 사람들에게, 말을 막해서 사방에서 비판을 받는 그런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다. 제발, 품격있는 말 좀 쓰시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