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냥한 폭력의 시대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작가의 생각이 들어 있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는 바로 폭력의 시대다. 그런데 그 폭력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모두를 일상을 살아가고 있을 뿐이다. 일상을 살아가는데, 바로 그 일상이 다른 존재들에게 폭력으로 나타날 수가 있다.

 

홀로코스트를 저지른 자들도 집에서는 다정한 사람, 상냥한 사람이었다고 하듯이, 우리가 겪고 있는 폭력 역시 두려움과 공포로, 일상에서 벗어난 테러와 같은 형태로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일상으로 다가온다.

 

그러므로 지금 시대는 '상냥한 폭력의 시대'다. 서로 어울리지 않는 단어들이 모여 지금 이 시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렇게 작가는 우리 시대의 모습을 우리 앞에 보여주고 있다. 작가의 말을 보자.

 

동시대인의 보폭으로 걷겠다는 마음만은 변한 적이 없다.

이제는 친절하고 상냥한 표정으로 상처를 주고받는 사람들의 시대인 것만 같다.

예의 바른 악수를 위해 손을 잡았다 놓으면 손바닥이 칼날에 쓱 베여 있다. 상처의 모양을 물끄러미 들여다보다가 누구든 자신의 칼을 생각하게 된다.

그런 시대에 살아가는, 나와 빼닮은 그들을 이해하려 노력할 수밖에 없다. 쓸 수밖에 없다. 소설로 세계를 배웠으므로, 나의 도구는 오직 그뿐이다. 248-249쪽

 

그럼, 작가는 이런 세계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총 7편의 소설이 한 제목으로 묶여 있는데, 각 소설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우리 일상에서 벗어나 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서로를 보듬어주는 관계를 맺고 있지 못하다.

 

이들이 맺는 관계는 지극히 형식적이고 일상적이다. 그냥 살아가는 도중에 만나는 관계일 뿐이다.

 

첫소설인 '미스조와 거북이와 나'에 나오는 주인공은 가족과 떨어져 죽음을 앞둔 노인들이 모여 사는 곳에서 근무한다. 이미 가족관계에서 떨어져 나온 사람들, 그리고 주인공 역시 가족과 떨어져 있다. 미스조라는 아버지의 옛애인과 만나지만 형식적인 만남일 뿐이다. 이런 형식성은 바로 주인공과 함께 있는 샥샥이라는 고양이 인형에게서 잘 드러난다.

 

굳이 그에게는 생명이 있는 고양이는 필요없는 것이다. 그냥 자신의 감정을 일방적으로 투사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니 그가 근무하는 곳에서도 감정의 교류는 없다. 감정의 교류는 낯설다. 미스조가 남긴 거북이를 통해 주인공은 그것을 깨닫는다.

 

샥샥과 나 사이에, 바위와 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줄은 처음부터 없었는지도 모른다. 그래도 우리는 살아갈 것이고 천천히 소멸해갈 것이다. 샥샥은 샥샥의 속도로, 나는 나의 속도로, 바위는 바위의 속도로. (33쪽)

 

이 얼마나 상냥한 폭력의 시대란 말인가. 사람들과 또다른 존재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줄은 없다는 말은. 그냥 자기 식대로 살다 소멸해 간다는 말은. 이는 나를 만들어가는 타자를 인정하지 않는 그런 발언이 아니던가. 그런 모습 아니던가. 우리는 지금 같은 공간, 같은 시대를 살고는 있지만, 모두 각자의 삶을 살고 있을 뿐이라는.

 

다른 소설들도 마찬가지다.

 

고등학생이 애를 낳고, 그 아이가 죽음의 순간에 처해 있음에도 '아무것도 아닌 것'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소설이나,

 

돈많은 노인을 죽인 대가로 많은 돈을 받으려 했던 사람들 이야기, 그러나 실제로 죽였는지 또 돈의 출처는 어떤지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살아가는 '우리 안의 천사',

 

뚱뚱한 몸으로 돼지라는 별명을 지닌, 일본인과 한국인을 부모로 둔 아이가 북한 국적의 아이와 만나고 헤어지는 장면을 보여주는, 그러나 그들 역시 어긋날 뿐인 '영영, 여름',

 

나이든 여교사를 등장시켜 어긋나는, 무언가 자꾸 빗나가는 관계를 보여주는 '밤의 대관람차'

 

우여곡절 끝에 집을 장만하지만 그 집을 얻기까지 미끌어지는 관계를 보여주는 부부와 그 집에 얽힌 사연을 보여주는 '서랍 속의 집'

 

영어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와 지식인 엄마, 그리고 영어 유치원 보조 안나의 만남과 헤어짐을 보여주는 '안나'라는 소설.

 

이 모든 소설들에서 서로를 보듬어주는 관계는 나타나지 않는다. 함께 살아가되 다르게 살아갈 뿐이고, 이들은 자신의 모든 것을, 진심을 상대에게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들의 만남에서는 어떤 칼들이 숨겨져 있다.

 

웃음이라는, 일상이라는 관계 속에 위장된 칼들, 그 칼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폭력으로, 상처로 다가오게 된다.

 

그런 관계들을 소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고 보면 된다. 갈수록 우리는 관계맺기를 포기하고 이런 '상냥한 폭력'으로 들어갈지도 모른다.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나'란, 절대적 개인이 아닌,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존재라는 것을 이 소설을 통해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