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0
하인리히 뵐 지음, 김연수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력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다. 그것도 언론이 가하는 폭력에 대해서. 언론이 한 사람을 어떻게 파멸에 이르게 하며, 그 사람으로 하여금 또다른 폭력을 휘두르게 하는지에 대해서.

 

그래서 도대체 어떤 폭력이 더 폭력적인지를 생각하게 하는... 신체적으로 상처가 나야지만 폭력인가 하는, 그런 폭력보다 더 무서운 폭력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소설의 처음 부분을 세 단계로 구성했다고 한다. 작가인 하인리히 뵐의 '10년 후' 후기에 의하면 그것은 의도적이라고 한다.

 

제목과 작은 제목과 모토로 구성했다고 하는데, 제목은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이고, 작은 제목이 '혹은 폭력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다. 그리고 모토는 '이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이나 사건은 자유로이 꾸며 낸 것이다. 저널리즘의 실제 묘사 중에 <빌트> 지와의 유사점이 있다고 해도 그것은 의도한 바도, 우연의 산물도 아닌, 그저 불가피한 일일 뿐이다.'라고 되어 있다.

 

소설의 내용이 시작되기 전부터 독자들이 생각을 할 수 있게 작가가 어떤 장치를 해놓았다고 볼 수 있는데, 작가가 직접 꾸며낸 이야기이며, 유사한 점이 있다고 하는 것은, 소설에 현실이 잘 반영이 되었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무엇이 현실일까? 현실 속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다룬다. 살인은 폭력이다. 이런 폭력은 기본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

 

소설 속 주인공은 카타리나도 살인에 대한 벌을 받기를 부정하지 않는다. 잘못했음을 인정한다. 그런데, 카타리나가 저지른 폭력은 개인적인 폭력이다. 궁지에 몰린 사람이 최후의 수단으로 행사하는 폭력.

 

폭력은 어떻게 발생했는가? 이것을 추적해야 한다. 평범한 가정관리사인 여인이 살인을 저지르게 되기까지 무슨 일이 있었는가?

 

평범한 가정관리사라는 말, 철저하게 자신의 생활을 문제 없이 잘 유지하고 있었던 이혼한 여성이 어느 날 마음에 드는 남자를 만난다. 그런데 그 남자가 경찰의 수배를 받고 있는 사람이고, 이 여성 또한 경찰의 감시망에 들게 된다.

 

그가 도망친 이후, 카타리나는 온갖 소문에 시달린다. 소문? 소문이라고 할 것도 없다. 조작된 사실이라고 해야 한다. 그것도 언론이 조작해서 내보내는.

 

조작된 사실, 이것도 엄연한 폭력이다. 그렇게 인식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지, 신체적인 폭력보다 더한 폭력일 수가 있다. 그것도 개인을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시키는 언론의 조작된 사실 보도는 개인적인 폭력이라고 하기보다는 집단적인 폭력 또는 폭력을 유발하는 폭력이라고 할 수 있다.

 

악의적으로, 선정적으로 한 개인의 명예는 생각지도 않고 자신들 신문이 팔리기를 바라면서, 또는 자신들 신문의 관점을 사람들이 따르기를 바라면서 기사를 왜곡해서 내보내는 기자에게 카타리나는 괴롭힘을 당할 수밖에 없다.

 

알려지지 않은 사실, 알려질 수 없는 사실은 무시한 채, 언론은 흥미 위주로 사건을 만들어간다. 그런 기자를 살해하고 자수한 여성, 그가 카타리나다.

 

언론에 의해 사생활이 폭로되고 파렴치한 사람이 되며,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주변 사람들도 어려움에 처하게 되는 상황... 이렇게 심한 폭력이 있을까?

 

여기에 카타리나는 기자 살해라는 폭력을 저지른다. 어느 폭력이 더 잔인한가? 어느 폭력이 더 용서받지 못할 것인가?

 

소설에서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분명 카타리나의 폭력은 일어났다. 그러나 언론에 의한 폭력은 묻혀졌다. 언론은 '아님 말고' 식의 보도, 또는 '아님에도 긴 것'처럼 보도를 한다.

 

나중에 잘못이 밝혀지면 정정보도문을 내면 그만이다. 그 동안 고통을 겪은 사람들은 안중에도 없다.

 

이 소설에서도 마찬가지다. 언론은 여전히 건재하다. 감옥에 간 사람은 카타리나일 뿐이다. 이것이 소설 속만의 일인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황색언론이 얼마나 많은가, 최근에는 가짜뉴스라는 것까지 등장하고 있으니...

 

언론으로 인해 피해받은 사람이 많은 것도 현실이고.

 

개인적인 폭력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사실을 왜곡해서 그를 고립시키는 폭력, 어느 폭력이 더 문제가 있는지, 어느 폭력이 더 폭력적인지 고민하게 하는 소설이다.

 

개인의 폭력은 이유없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니 폭력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해서는 안 된다. 사회구조적인 문제까지 생각해야 한다.

 

지금, 우리에게도 이 소설은 생각할거리를 주고 있다. 지금 우리 역시 이런 언론의 폭력 속에 있지 않은가. 비록 나는 아니더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