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션들 보르헤스 전집 2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 민음사 / 199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번을 펼쳤다가 조금 읽다가 다시 내려놓은 책인지 모른다.

 

도대체 무슨 소설이 이래? 하다가, 이건 소설도 아니다, 소설에 무슨 주가 더 많냐 하다가, 그만두자 하다가 그래도 보르헤스인데, 자꾸 인용이 되는 작가인데 한 권쯤은 아니 한 편쯤은 읽어야 하지 않나 하다가.

 

몇 년을 묵혀두었다가 다시 펼쳐 들고 읽어도 역시 모르겠다. 환상적 사실주의라고 하는데 마치 사실인 것처럼 진술을 하고 있지만 사실과 허구를 교묘하게 섞여 놓은 것이 보르헤스의 소설이라고 하는데 기본적인 지식이 없으니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부터 허구인지 알 수가 없다.

 

환상과 사실을 구분하기 힘드니... 참.

 

이 책에는 많은 단편들이 묶여 있는데, 이 단편집의 이름이 [픽션들]이다. 픽션이란 허구라는 뜻이니 이 소설들에서 나오는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들이 아무리 역사적 사실이라고 해도 그것을 곧이 곧대로 믿으면 안 된다.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1부에는 역사적 사실을 알아야 그것들이 어떻게 교묘하게 비틀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소설들이 대부분이고, 2부는 그래도 나름대로 사건이 있는 소설들이 제법 있다.

 

그렇다고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인물과 인물의 갈등이 잘 드러나 있다기보다는, 인물과 인물의 갈등이 있더라도 그것이 묘하게 표현되고 있어서 안개 속을 헤매듯 흐릿한 이미지들을 떠올릴 수 있을 뿐이다.

 

그나마 그런 갈등이 잘 드러나 있는 소설이 '죽음과 나침반' 정도 또는 '칼의 형상' 정도 된다고 할 수 있겠다.

 

나는 1부의 소설을 읽다가 혹시 몇백억 년이 지나서 지금의 역사가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를 살아가는 존재들이 이 소설을 발견한다면, 이것을 소설로 볼까 역사로 볼까 하는 생각을 했다.

 

이들은 이 소설을 중심으로 역사를 재구성하려고 하지 않을까? 그렇게 재구성한 역사를 마치 정통한 역사인 양 가르치고 배우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그만큼 모르는 상태에서 읽으면 역사인지 허구인지 헷갈리기 때문이다. 1부에 실린 소설 제목 몇 개를 보자.

 

'틀뢴, 우크발, 오르비스 떼르띠우스', '바빌로니아의 복권', '바벨의 도서관'

 

하나도 모르는 상태에서 이 소설을 읽게 되면 무슨 고고학적 사실을 추구하는 연구서 정도로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우리는 이것들이 분명 허구라는 것을 알고 있다. 소설이니까. 소설이라고 알고 읽기 때문이다.

 

그다지 마음에는 와닿지 않지만 그래도 인내심을 가지고 다 읽었다는 점, 읽어가다 보니 자연스레 속도가 붙고 흥미도 생긴다는 점. 무엇이라고 딱 정리를 하지는 못하겠지만 그리 못 읽을 소설도 아니라는 점.

 

특히 '기억의 천재 푸네스'에서는 사실을 기억한다는 것과 그것을 가지고 사고를 한다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하는 점, 우리가 세세한 점을 기억한다고 하더라도 어떤 통찰에 이르기 위해서는 기억만으로는 안 된다는 점.

 

사실들을 꿰는 일반화, 개념화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 소설을 통해서 작가가 직접 주장하고 있고, 이는 역사를 공부할 때 역사적 사실들을 암기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역사적 사실들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어떤 것을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게 해주기도 했고...

 

역시 소설을 읽을 때 명심해야 할 것들은 지엽적인 사건, 사실들 하나하나가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하고.

 

'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논고'에서는 겉으로 드러난 면만을 보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배신자와 영웅이 같은 인물일 수도 있다는 점, 영웅에게서 어쩌면 우리를 배신하는 배신자의 모습을 볼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수도 있었다.

 

그래도 역시 보르헤스의 소설은 어렵다. 다시 읽어도 어려울 것이다. 그만큼 서양의 문학과 역사, 지리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어느 부분이 역사적 사실을 비틀었는지를 알고 읽으면 보르헤스의 소설이 재미있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비록 '기억의 천재 푸네스'처럼 모든 것을 기억하지는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유럽의 문화, 문학, 역사, 지리를 안다면 이 소설들 속에 파편처럼 흩어져 있는 많은 요소들이 한 줄로 꿰어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한다.

 

아직은 그렇지 못하기에 그의 소설은 어렵다. 재미를 느끼기도 힘들다. 그러나 주를 무시하고 그냥 본문만 소설이지 하면서 읽으면 그리 못 읽을 소설도 아니다. 이해나 해석은 뒤로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