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옛 그림에서 정치를 걷다 - 조선 시대의 옛 그림,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허균 지음 / 깊은나무 / 2015년 12월
평점 :
서양 중세의 그림을 보려면 서양의 그리스-로마 신화를 알아야 한다. 물론 알지 못해도 그림을 볼 수는 있지만 그 그림에 나타난 의미, 상징 등을 알아보려면 신화를 알아야만 할 때가 더 많다. 그만큼 서양 사람들에게 그리스-로마 신화는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그림을 보려면 우리나라 사상과 문화를 알아야 한다. 그 문화와 사상을 알지 못하고는 그림을 잘 이해할 수 없다.
그림에 드러난 표현들이 그냥 사물이 아니라 당시 사회의 사상과 문화를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그림을 제대로 읽어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옛그림은 본다기보다는 읽어야 한다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 그림에 나타난 상징들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파악해 내는 것, 그것이 바로 옛그림 읽기다.
오죽하면 옛그림에는 그림뿐만이 아니라 글이 함께 했겠는가. 그림을 통해서 무언가를 말하고자 했던 것이고, 그림을 통해서 무언가를 서로 통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런 그림들에서 우리나라 정치를 읽을 수 있게 해준다. 그림에 나타난 정치의 모습, 정치를 좁은 의미로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삶 자체가 정치일테니 말이다.
여러 그림이 나오는데 이 책의 첫그림으로 안견의 '몽유도원도'가 나온다. 그림은 안견이 그렸지만, 이 그림의 주인공은 안평대군이다. 그리고 이 그림은 조선시대 내내 사대부에게는 소장하고 싶은 그림이 될 수 없었다.
이상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은 사대부들이 품은 생각이지만 이 그림의 주인공인 안평대군은 수양대군에 의해 숙청된 인물. 즉 정치적으로 이 그림은 안평대군과 연계되어 환영받지 못한 그림이 된 것이다.
이렇게 그림을 놓고 당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통해 정치를 읽어내게 하고 있다. 또 하나의 그림은 김정희의 '세한도'와 정약용의 '매화쌍조도'
둘 다 유배라는 극한 상황에서 나온 그림. 즉 이들은 그림을 통해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했다고 하는 면에서, 이 그림들에서는 당시 정치 상황을 읽어내고, 그 상황 속에서 작가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그는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를 읽어내야 하는 것이다. 아마도 유배라는 상황이 없었다면 나오지 않았을 그림들이리라.
이렇게 정치를 읽어내게 하는 설명들이 나오는데, 2부는 궁궐에서 통용된 그림들이니 당연히 정치적이고, 3부에서 시대의 고민을 담았다는 주제로 그림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대표적인 그림이 낚시하는 그림인 '조어도'이다. 낚시를 한량이나 하는 것으로 치부하지만 아니다. 낚시는 바로 물고기를 낚는 것이 아니라 세월을 낚는 것이다. 세월을 낚는다는 것, 그것은 양반들이 벼슬에 나아가고 물러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벼슬에 나아가서 자신의 뜻을 펼치는 것과 물러나서 자신의 뜻을 펼치는 것, 그 상황에 맞는 처신을 해야 함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바로 '조어도'라는 것이다.
그러니 양반들은 이 그림을 보면서 그 당시 상황에서 자신은 어떤 처신을 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했으리라. 단순한 낚시 그림에 당시 상황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고민이 담겨 있는 것이다.
이렇듯 옛그림은 읽어야 한다. 그림 속에 나타나 있는 사상, 문화들을 바탕으로 작가가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를 읽어내면 현재,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를 알 수 있게 된다.
옛그림을 통해서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그 상황 속의 나를 생각하게까지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옛그림 읽기의 매력이 아닐까 한다.
옛그림 읽기 중에서 특히 정치에 중점을 두고 옛그림 읽기를 보여준 책.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실감하게 해준 책이기도 하다.
덧글
사실 관계 바로잡기.
이 책 62쪽에 정약용을 설명하면서, '... 정재원과 윤선도의 손녀인 해남 윤씨 사이에서 4남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고 되어 있는데, 윤선도의 손녀가 아니라 윤두서의 손녀다. 윤두서는 윤선도의 증손자이고, 그러니까 정약용의 어머니 해남 윤씨는 윤선도의 5대손인 셈이다.
여기에 아버지 정재원과 어머니 해남 윤씨 사이에 4남 2녀라는 말도 이상하다. 다른 책에 의하면 정재원은 결혼을 세 번 하는데, 두번째 부인이 바로 해남 윤씨인 것이다. 그리고 해남 윤씨와의 사이에는 3남 1녀를 낳았다고 되어 있다.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1. 35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