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천야록 - 지식인의 눈으로 바라본 개화와 망국의 역사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12
황현 지음, 허경진 옮김 / 서해문집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와 짐승도 슬피 울고 강산도 찡그리네

무궁화 이 나라가 이젠 망해 버렸네.

가을 등불 아래 책 덮고 지난 역사 생각해 보니

인간 세상에 글 아는 사람 노릇 어렵기만 하구나.

 

(鳥獸哀鳴海嶽瀕 / 槿花世界己沈淪 / 秋燈掩券懷千古 / 難作人間識字人) 

 

첫구의 瀕자룰 대부분 嚬자로 쓰고 있던데, 이 책에서는 이 瀕자를 쓰고 있어서 잘 모르겠다. 뜻을 보면 이 嚬자가 맞을 듯한데... 457쪽.)

 

이게 남 얘긴가? 먼 과거의 이야기인가?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전 한 지식인이 죽기 전에 쓴 시인데, 이 시가 지금도 우리 가슴에 남아 있는 까닭은?

 

이 나라가 이 지경이 되도록 소위 식자(識字)라고 하는 사람들이 어떤 책임을 지고 있는가? 마치 자신들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듯이 지내고 있으니.

 

소위 글자를 안다고 하는 사람, 배운 사람, 지식인의 책무란 무엇인가? 사회가 이 지경이 되지 않도록 감시하고 견제하고 말해야 하는 사람들 아닌가. 그것이 글을 아는 사람의 힘듦 아니던가.

 

그런데 지금 우리는 상대를 비판하는 지식인은 많이 보아도 이 지경까지 이른 책임을 지겠다는, 또는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지식인의 책무를 다하지 않았음을 부끄러워하는 선언을 한 지식인을 보지 못했다.

 

지식인들이 지식팔이로 전락한 것은 아닌지, 그들에게 글을 아느 것에 대한 책무를 다시금 일깨워줘야 하는 것은 아닌지, 그런 생각을 하는 날들이다.

 

이 지점에서 황현의 매천야록은 절절하게 다가온다. 시골에 내려가 살고 있던 선비, 나라에서 그다지 혜택을 받았다고 할 수 없는 선비가 그럼에도 자신이 선비로 글을 읽고 지낼 수 있었던 것에 대해서 책임감을 느끼고 나라가 망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막지도 못한 자신에 대한 책임을 진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한 지식팔이들이 얼마나 많았던가.

 

책임은커녕 나라의 혼란을, 나라의 망해감을 자신의 영달을 위해서 이용한 지식팔이들이 얼마나 많았던지. 그들이 지금까지 호의호식하면서 살고 있으면서 역사에 책임을 추궁당하지 않고 있으니.

 

그러나 그 와중에도 지식인의 책임을 다하려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런 사람들은 꼭 있다. 황현도 마찬가지다. 그는 고종1년부터 대한제국이 망하는 날까지의 역사를 기록해 놓기로 한다.

 

후대에 남겨야 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기록으로 남아 기억 속에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억한다는 것, 그것은 과거를 현재로 불러와 미래를 살아가는 방법을 얻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작업 하나하나는 지식인의 책무를 이행한 것이 된다.

 

그리고 합방이 된 후, 그는 자신의 글 아는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위에 언급한 절명시는 그 중의 일부다.

 

시골에 내려가 신문이나 지인들로부터 들은 이야기들을 정리한 책인데, 사실관계가 다른 것도 있긴 하지만 당시의 상황을 잘 알 수 있는 책이다.

 

정말 지금 이런 모습이 과거에도 있었음을 읽게 되고 씁쓸한 마음을 지니게 되는데, 구한말이라고 하는 시대를 치열하게 살아간 한 지식인의 모습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다.

 

여기에 그가 기록한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를 성찰하여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방대한 내용을 편역자가 중요한 사항으로 발췌하여 정리해 놓은 책이기 때문에 읽기도 편하고, 역사적 사실을 간략하게 잘 알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