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의 포도밭 - 읽기에 관한 대담하고 근원적인 통찰
이반 일리치 지음, 정영목 옮김 / 현암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기의 변화에 대한 서술이라고 이 책을 정리할 수 있겠다. 독서의 역사와 비슷하지만, 일리치는 그런 통사적인 고찰을 하지 않고, 후고라는 사람의 책을 가지고 읽기에 대한 생각을 펼쳐 간다.

 

책에서 텍스트로의 변화... 그것은 소리내어 읽기에서 속으로 읽기로의 변화만이 아니라 삶 자체의 변화와도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읽기의 변화는 시대의 변화이고, 사람들의 변화라는 말이 되는데, 지금 우리는 책에서 텍스트로, 그리고 다시 전자문자로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책을 읽던 시대에는 책은 글자로 치환되지 않는다. 책 자체가 존재다. 사람들과 함께 하는 존재. 그래서 책을 읽는 행위는 함께 하는 행위이고, 그것은 실천과 동떨어질 수 없는 일이었다.

 

입으로 소리내어 읽어야 했기에, 읽는 행위는 곧 듣는 행위와 함께 했고, 이때 읽을 때는 글자 하나하나를 읽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암송한 내용을 밖으로 펼쳐내는 행위였다. 그러니 읽기는 곧 수사(그냥 수도사라고 하자. 중세에는 수도사는 사람들의 삶을 규정하는 존재였으니)들의 읽기였다.

 

수사들의 읽기, 중세의 삶을 규정하는 행위, 그런 행위에서 책을 구성하고 있던 글자인 라틴어는 그야말로 개별 언어로 번역이 될 수 없는 언어였다. 그 언어는 자체로 존재했고, 그 언어들은 수사들의 입을 통해 말해져야 했고, 다른 사람들에게 들려야 했다.

 

이런 읽기가 1200년대에 들어서서는 바뀌게 된다. 즉, 책이라는 존재가 텍스트라는 존재로 변모하는 것이다. 텍스트는 눈으로 보기 편하게 바뀌게 된다. 굳이 소리내어 읽을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눈으로 보아도 된다. 또 함께 할 필요가 없다.

 

하여 이 때부터 라틴어는 절대적인 자리에서 내려오게 된다. 라틴어를 구성하고 있던 알파벳이 각 나라의 언어가 되고, 그 언어들로 표기가 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자신들의 의미를 획득한 언어들, 각자에게 읽힐 수 있다. 굳이 소리낼 필요가 없게 된 것. 이것이 책에서 텍스트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때의 읽기는 학자들의 읽기라고 할 수 있다. 학자들의 읽기는 삶과 꼭 일치될 필요가 없다. 자기만의 읽기가 가능해지는 것이고, 자기만의 해석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읽기와 삶이 함께 가던 시대에서 삶과 읽기가 분리된 시대가 된다. 그렇게 시대는 흘러 이제는 읽기라는 말도 조금 어색해지는 '보기'라는 말이 더 친숙한 시대가 되었다.

 

그만큼 우리들 삶도 변했고.

 

일리치가 이 책을 통해 단순히 읽기의 변화를 우리에게 알려주려고 했을까? 그건 아니라고 본다. 그는 1200년대 이전의 사람들이 알파벳을 독자적인 글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절대적인 그 무엇이라고 보고 생활했듯이, 지금 우리가 어쩌면 텍스트에 갇혀 변화를 깨닫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 아닐까.

 

그는 병원이 병을 만들고, 학교가 교육을 망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었듯이, 우리가 지금 당연하다고 여기고 있는 것들이 어쩌면 당연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한 번 생각해보라고, 이렇게 읽기의 변화를 통해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

 

그런 점에서 이 책의 내용을 세세하게 마치 이 책에서 후고의 글을 분석하듯이 할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 시대를 지배하고 있는 관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지배적인 관념에 가려져 있지만 새로운 시대를 예비하는 생각들이 무엇인지 고민하면서 이 책을 읽어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