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중에 농민이 경찰의 폭력에 희생당하는 나라, 농자천하지대본이라고 하면서도 농민을 천하의 근본이 아닌, 천하의 종으로 아는 나라, 농사를 지어도 먹고 살기 힘들어지는 나라, 농사를 지면 지을수록 이상하게 빚만 늘어나는 나라.

 

그런 나라를 희망이 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을까? 과연 우리는 먹지 않고 살 수 있을까? 까짓거, 세계 20위 안에 드는 무역 대국인 우리나라니, 식량 수입하면 그뿐이라고?

 

식량 자급율이 30%가 채 안되는 나라에서 수입으로 농산물을 충당한다는 발상은 자연스런 일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식량의 가격이 오른다면? 그냥 오르는 정도가 아니라, 예전에 석유 파동이 일듯이 급격하게 가격이 오른다면?

 

우리는 엄청난 식량 파동을 겪게 될 것이다. 석유 파동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재난이 될텐데... 과연 그에 대한 대비는 되어 있는가? 식량은 자급되어야 할 기본요소이고, 우리의 생명에 없어서는 안될 요소인데...

 

우리나라 농민들 노령화는 차치하더라도 점점 농사짓는 사람이 없어져 가고 있다. 농토도 줄고 있는데... 특히 논이 급격하게 줄고 있다. 벼를 재배하지 않는 논에 보조금을 주는 이상한 제도 탓도 있겠지만, 쌀값이 몇십년 동안 거의 오르지 않았다는 데도 원인이 있다.

 

물가는 엄청 상승했는데, 쌀값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으면 실질적으로 농산물 가격은 많이 떨어진 것이다. 즉, 똑같은 양을 생산해도 농민들에게 가는 돈은 계속 줄고 있는 셈이다.

 

생활이 아닌 생계를 걱정해야 할 판이 된 농업 현실. 그러니 누가 농사를 짓겠다고 하겠는가?

 

녹색평론 147호는 이런 농업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우리를 살리는 농업을 이제는 우리가 살려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생협운동이든 한살림 운동이든 참으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상태. 특히 농민들은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있을 지경인데... 농사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이 이 지구에서 계속 생존해 가기 위해서도 농사는 필수적이니, 사양 직업이라는 생각 말고, 어떻게 해야 농업을 살릴지 우리 모두가 고민해야 한다.

 

이렇게 농업에 대한 화두를 이번 녹색평론 147호가 던져주고 있다. 한 달 뒤 다가올 총선, 농업을 살릴 수 있는 정책을 펼 수 있는 정당, 그런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사람을 대표로 뽑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그래서 이제는 농민이 존중받고 우대받는 사회, 그런 사회가 우리가 사는 사회였으면 좋겠다. 농민에게 월급을 (기본소득) 주는 방법도 생각해 볼 필요도 있고.

 

농민이 살아야 농업이 살고, 농업이 살아야 우리가 산다. 그러니 우리 이제 농민을 살릴 수 있는 방법도 고민해 보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민(愚民)ngs01 2016-03-13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농수산물의 유통체계를 바꾸지 않는다면 지금의 악순환은 계속 되리라 생각됩니다. 생산자와 소비자를 효율적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못하는 농협과 수협 결국 농민들과 소비자사이의
수많은 유통단계에서 그들만 배를 불려주는 구조적인 한계가 문제입니다. 농협이 과연 농민을 위한 기관인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지금 우리는 거대해진 기득권 권력층에 의해 다수의 국민들이 착취당하는 구조는 아닌지 말입니다.

kinye91 2016-03-13 13:10   좋아요 0 | URL
농업에 대한 전체적인 개혁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해요.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가 긴밀히 연결될 수 있는 농업개혁이 있어야 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농협에 관한 문제의식에 저도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