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랑
잠이 오지 않는 밤,
우는 대신 노래를 지어 부르다
음악가가 되었다.
신기한 일이다.

실키

주로 흑백 작업을 하며, 만화,
일러스트레이션, 애니메이션, 점토를 만든다.
현재 프랑스에 머물며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여행보다 짐을 싸는데 즐거웠다.

당시 나는 유니클로에서 파는 남성 셔츠에,
검은색 바지, 그리고 운동화 차림으로 다녔다.

그는 우리가 차가운 커피를마시는 것도 이해하지 못했다.

기타 코드를 모르니까 코드를적어가면서 작업할 수가 없었고,
내가 나중에 뭘 쳤는지 기억하려면비디오가 꼭 필요했다.

일을 시켜주는 사람도 없고,
신분은 그저 휴학생이고,
할 수 있는 일이 딱히 없었다.

살아 있을 때 인사 한마디,
말 한마디도 나눠보지 못한그 사람이 나를 좋아했었다는 것.

해미는 ‘소목장세미‘라는가구브랜드 사장님이며
‘SEESEA‘라는 이름의디제이로 활동한다.

살아서, 살아 있어서, 잘했다.

잠이 오지 않는 밤, 우는 대신노래를 지어 부르다 음악가가 되었다.
신기한 일이다.

첼로나 바이올린 같은 클래식 악기는 처음에 살 때 되게 또 비싼가 보더라고요. 집안의 대들보를 뽑아서 사는 악기니까. 근데 기타는 사실 진짜 많이 주울 수 있어요. 사람들이 길에다 기타를 케이스까지 같이 버려요. 건반도 버려요. 그래서 저는 학생 때 줍기스트로서 버려진 악기들을 열어서 만져보고괜찮으면 가져오곤 했어요.
09

음악들 들어보면 여성 뮤지션에 비해 남성 뮤지션분들의 표현에서 x발 같은욕도 좀 더 편하게 나오는 것 같긴 해요.

"살아 있으면 2024년에 실키가 만화를 그려줄 거야."

먹고사는 것에 급급해 잊기 쉬운 산다는 것의 의미, 나아가 삶 자체를 들여다보게 만드는 <신의 놀이>는 실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앨범의 형태를 띠고 있지 않다. 앨범은 「신의 놀이」라는 책을 구매하면 파일을 다운로드해 들을 수 있었다.

김윤하@romanflare


대중음악평론가.
들어오는 일 마다하지 않고 가는 일 붙잡으며짧지 않은 영욕의 세월을 보냈다.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는 곳에서 아름답게 빛나는 소리에스포트라이트를 비추고픈 오랜 청취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맞춤법 - 맞춤법 절대강자 김남미 교수의 말글의 달인
김남미 지음 / 태학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김남미 교수이다.

내 학창시절 입시에 중요한 성패를 가르는
과목은 국,영,수였다.
국어는 현대문학, 고전문학, 한문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학생들은 국어는 읽을 수
있다며 과목의 중요 비중 순서를 영,수,국
으로 두었다.
학력고사에서 수능으로 바뀐 지금도 대부분 학생들은 국어를 영어나 수학에 비해 덜 중요시 한다...

이 책은 어렵고 복잡한 표준어, 맞춤법을
일상적인 언어로 맞춤법 원리를 발견하고
스스로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한다.



얼마전 우연히 라디오를 듣다가 나태주시인
의 딸 서울대 교수인 나민애교수의 말을
듣게 되었다. 국어가 어렵다며 매일 공부한다는 말을 말이다....
국어를 가르치는 나민애교수님도 매일 국어
공부를 하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9년 국어국문학과의 어느 강의실에서 교수가 말했다.
"맞춤법은 죽은 언어다." 맞춤법을 좋아하던 어린 대학생은 충격에 빠졌다. 맞춤법이 죽었다니! 그러면 그간의 맞춤법에 대

그 말은 맞춤법의 죽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하는말의 살아 있음을 강조한 것이었다. 내 언어가 가진 문법 원리,

첫째, 원리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관계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사고할 상황에 놓여야만 한다.

‘귀하지 않다‘에서 온 ‘귀찮다‘

‘ㄹ‘ 발음 빠져도 머릿속엔 ‘닭‘뿐

•닭이[달기], 닭을[달글], 닭은 [달근]

‘웃프다‘가 어긴 규칙

‘의사‘는 [의사], ‘회사‘는 [히사]

솜이불[솜니불], 밤윷[밤뉼], 콩엿[콩년], 담요[담뇨], 색연필[생년필], 직행열차[지캥녈차], 늑막염[능망념], 남존여비 [남존녀비], 신여성[신녀성], 내복약[내봉냑]

형태에 속지 말자동사의 기본형을 몰라서 틀리는 말

없애도 말이 되는 ‘요‘, 뺄 수 없는 ‘오‘

•집에서 공부해.(ㅇ)집에서 공부해요. (0)

웃음 ‘면‘ 밝은 얼굴이 눈에 띈다‘

•나태와 안일(ㅇ)을 반성해야 한다.
•나태와 안이(?)를 반성해야 한다.

① 윗사람↔ 아랫사람→ 윗사람(ㅇ)② 윗어른(x)↔ 아랫어른(x)→ 웃어른(0)③ 윗돈(x)↔ 아랫돈(x)→ 웃돈(ㅇ)

과일 장수가 왔다.()•과일 장사가 왔다. (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퍼팬의 시대 - 팬·기술·플랫폼이 만들어내는 콘텐츠 이코노미 2.0
한정훈 지음 / 페가수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한정훈이다...

2020년대 이후 국경에 구애받지 않는 글로벌 팬덤과 VR.AR.MR,AI 빅데이터등
첨단 엔터테크가 결합하여 ‘슈퍼팬‘이라는
새로운 집단이 등장했다.
이들은 아티스트나 콘텐츠와 최소 5개 이상의 접점을 갖고 지속적으로 상호작용
하며 재정적.정서적 투자를 아끼지 않는
팬덤의 핵심 집단이다.
상품의 소비자일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와
브랜드의 세계관에 몰입하고 자발적으로
콘텐츠를 만든다.
커뮤니티를 운영하며 위기 속에서도 함께하는 충성도 높은 존재들이다.

BTS와 위버스, 디즈니와 마블, 나이키 앱과
러닝커뮤니티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바야흐로 팬덤의 시대인 것 같다.
연예인은 물론 정치꾼까지 말이다.
어떤 조직이든지 배가 선장을? 잘 만나야
하듯이... 그러나 조직?이라고 할 수 있나?
선한 영향력을 주는 팬덤이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윤정구 시인의 이번 시집 「씀바귀와 쑥부쟁이』는 시대의식을 역사성과 함께 견인하면서 사회적이고 문화적 현상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는 시인의 시대적 체험과 기억, 그리고 언어에 합의된 인식이 시편을 형성한다. 말하자면 "겨울 잣나무와 소나무 아래"(「세한 편지) 소나무만큼 오래된 "둥근 창을 열고 있는 집 한 채‘를 바라보게한다. 그의 기억에는 ‘쪽 곧은 쪽파를 기르던 과거의 ‘흰 고무신의홍제동 어르신"을 떠올리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마모된 시간‘을 되살리면서 역사의 ‘바퀴자국이 새겨진 한치 새싹처럼 피어나고 있다.

전쟁으로 세상이 뒤집어지자 흰 고무신 신고사람들이 빽빽이 들어찬 운동장 교단에 올라백성들이 깨어 있어야 지배자가 변한다는카랑카랑한 목소리의 한바탕 연설로써동네 사람들을 놀라게 하더니,

무용총 안에서 호랑이 탈춤을 춘다세상에 처음 내보이는 이인무다산도 물결치며 장단을 맞춘다천년 세월이 꿈결처럼 까마득하다

상강


예쁘고 갸륵하다

곧 무서리 내리고
잣눈 내려 쌓인다는데

아침 하늘 오르며
허공에 피우는 나팔꽃

몇 발 더 내디디면
두 손에 만져질 듯

곱다, 벽옥빛 명주 하늘

개발새발 큰 붓으로 태연하게 써 내리는
무겁약 어린 행자의 참새 발자국 글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