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이방인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30
알베르 카뮈 지음, 방곤 옮김 / 범우사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잊고 있었던 작가다. 카뮈는. 적어도 다시 그의 마지막 작품, 완성이 되지 않은, 유고로만 남았지만 나중에 발간이 된 "최초의 인간"을 읽기 전까지는.

 

어린 시절, 세계 명작에서 이름을 보고 문고판으로 읽었던 페스트, 이방인의 작가. 어렴풋이 남아 있던 그 소설들의 줄거리.

 

그냥 줄거리만 남았다. 그게 다다. 오히려 카뮈는 소설가로서보다는 사상가로서 내게 다가왔다.

 

'시지프의 신화', '반항적 인간'

 

우리는 끊임없이 결론을 알면서도 나아갈 수밖에 없을 때가 있다. 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싸움에 나설 때, 그럴 때 인간은 시지프의 전철을 밟게 된다. 다시 내려와 무거운 돌을 또다시 굴려야 할 것을 알면서도 그 돌을 언덕 위로 굴려가는 지난한 노력을 하는 인간.

 

그런 인간은 반항적 인간일 수밖에 없고, 무언가 변화를 추구하는 인간의 숙명이기도 하고, 자신의 선택이기도 하다.

 

따라서 반항적 인간인 시지프 (시지프스 또는 시시포스라고도 한다)는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인간, 즉 자유를 획득하려는 인간이다. 자신의 의지로 행하는 인간. 그런 인간이 바로 카뮈가 말하는 인간이고, 그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인간이다.

 

그런 인간들과 그의 소설을 구별했었는데... 세계 명작을 다시 읽으면서, 또 요즘 우리나라 상황 속에서 그가 쓴 "페스트"가 생각났다.

 

페스트로 인해 시가 폐쇄되고 죽음이 넘쳐나는 곳에서 포기하지 않고 움직이는 인간들, 그런 반항적 인간들의 모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우리 역시 지금 페스트로 시가 폐쇄된 오랑시와 같은 처지 아닌가. 물론 우리는 물리적인 폐쇄하고는 거리가 멀다. 우리는 세계 각국으로 여행도 다니며 경제, 정치 교류도 하고 있다.

 

그러나 단 하나의 이념에는 닫혀 있다. 그 이념은 우리에게 페스트 균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것은 우리를 격리시키고 단절시키고 죽음에 이르게까지 한다. 그런 이념, 그것이 바로 카뮈의 페스트가 생각나게 한 것이다.

 

아무런 희망이 없다고 죽음 속에서 그냥 손을 놓고 지내는 인간들, 그것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잃은 인간이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는 죽음에 이를 수도 있지만 그 죽음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이 나온다. 나중에 이 소설의 필자이자 서술자로 밝혀지는 베르나르 리외 의사와 더불어 지원대를 조직해 일을 해나가는 타루, 이방인이지만 결국 오랑시에 남기로 하는 기자 랑베르, 시청의 임시직원이면서 함께 봉사를 하는 그랑.

 

결코 포기하지 않는 그런 사람들의 활동으로 어느 날 갑자기 페스트는 사라지고 만다. 갑자기라는 말이 맞다. 시작 부분에서 쥐들이 갑자기 죽는 것으로 페스트가 등장했다가, 쥐들이 갑자기 나타나는 것으로 페스트는 사라진다.

 

이들이 무한한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페스트는 이들의 노력으로 없어지지는 않는다. 그것은 환경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것이다. 그럼에도 이들은 굴복하지 않았다는 경험으로 다시 이런 재난에 대처해 나갈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 자신이 해결하지 않았더라도 그 일에 대처하는 자세이어야 할 것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념의 균들. 이것이 우리의 힘으로 처리하기 힘들지 몰라도 우리가 포기하고 있지 않는다면 이 소설에서 페스트가 물러갔듯이 언젠간 물러가게 되리라.

 

그리고 우리는 이념의 페스트 균으로 인해 겪었던 불신과 고통, 죽음들을 하나의 경험으로, 체험으로 기억하게 되리라.

 

아니, 기억하게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리외라는 의사가 이 소설을 쓴 이유이기도 하다. 카뮈가 굳이 이 소설의 끝부분에서 그것을 밝혀 놓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그는 이렇게 쓰고 있다.

 

... 리외는 이야기를 쓰기로 결심했다. 이러쿵저러쿵 떠들어대는 사람들 틈에 끼지 않기 위해서, 페스트에 휩쓸려간 사람들에게 유리한 증언을 하기 위해서, 그들에게 가해진 부정의와 폭행의 최소한 추억만이라도 남겨놓기 위해서, 그리고 재난 속에서 배운 것, 즉 인간에게는 경멸당할 것들보다는 더 많은 찬양받을 것들이 있다는 것을 있는 그대로 말해두기 위해서 말이다.

  그러나 그래도 그는 이 기록이 결정적인 승리의 기록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276쪽)

 

이렇게... 비록 승리의 기록이 아닐지라도 '아직도 수행해 나가야 할 것에 대한 증언이 될 수 있을 따름' (276쪽)이라는 자세로 남겼다고 한다.

 

현실에 주저앉는 인간이 아니라, 그 현실에서도 묵묵히 무언가를 하는 인간, 그런 인간에 대해 이야기를 했던 카뮈.

 

페스트라는 극한 상황에서도 인간은 인간으로서의 행동을 한다는 것을 소설을 통해서 보여준 그의 작품.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다시 읽으니 더 많은 것들이, 적어도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어려운 환경에서 인간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생각할 수 있게 해주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