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식탁 - 독성물질은 어떻게 우리의 일용할 양식이 되었나
마리 모니크 로뱅 지음, 권지현 옮김 / 판미동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탁'은 우리가 살기 위해 차리는 밥상이다. 이런 식탁에 무시무시한 수식어가 붙어 제목이 되었다.

 

"죽음의 식탁"

 

그 식탁에 앉으면 죽음에 가까워진다는 말로 들린다. 그렇다면 그 식탁은 무엇일까? 바로 농약으로 오염된 작물이 올라오는 식탁... 이렇게 생각하면 간단하겠지만...

 

사실, 우리가 농약으로 오염된 식탁에 앉는 경우는 별로 없다. 정말로 몰라서 앉게 되거나, 아니면 굶주려 죽을 위기에 처해 있을 때 농약에 오염되어 있음을 알고도 먹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식탁에 차려진 음식들이 죽음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믿을 수 있다고 여기는 정부기관에서 최대허용치를 정해놓고, 그 허용치 범위내에 들어있는 화학요소들은 안전하다고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식품의약안전청'쯤 되는 정부 기관이 이 음식은 먹어도 된다고 하는데, 어느 누가 먹지 않겠는가.

 

그런데 그런 기준은 어디에서 오는가? 또 그 기준에 따르면 과연 안전한가?

 

이 점을 세밀하게 따져서 추적한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이 책의 결론을 말하면 기준은 기업에서 온다와 그 기준을 따라도 절대로(!) 안전하지 않다이다.

 

그러면 우선 기업은 왜 안전하지 않은 기준을 제시하는가? 그것은 이윤 때문이다. 기업의 목적은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업에게서 인간의 삶이나 인간의 건강을 목표로 하기를 바라는 것이 우습다.

 

이런 기업에 근거를 제공해주는 과학자들이 있다. 이들은 기업에서 막대한 연구자금을 받으며 기업의 이익에 부합하는 연구결과를 만들어낸다.

 

이것보다 더 안 좋은 점은 이 과학자들은 다른 과학자들이 그 기업 제품의 위험성을 이야기하면, 반대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 결과를 어떻게든 만들어내 제시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기업의 임원들이 정계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정부의 규제기관의 책임자나 수장으로 일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의 작은 제목인 '독성물질은 어떻게 우리의 일용할 양식이 되었나'에 대한 답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과 그 기업에 봉사하는 과학자들, 그리고 이들과 결탁되어 있는 관료들에 의해 우리의 식탁에 오르고, 우리의 일용할 양식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결탁이 우리의 식탁을 '죽음의 식탁'으로 만들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일일최대허용량이라는 허구다.

 

일일최대허용량은 하루에 그 이하로 섭취했을 경우에는 인체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를 비판하는 증거들이 이 책에 많이 나와 있다.

 

사람마다 다른데... 그의 기질이나 건강상태, 신체조건, 또 유지해온 식생활 등등이 모두 다른데, 이들을 일괄로 처리해서 일일최대허용량을 정한다는 것도 우습고, 독성이 과연 어느 정도 양이 차야지만 독으로 작용하느냐 하는 문제도 있고.

 

이 책에서 이를 비판하고 있는 내용이 바로 0+0+0=기형 60%다. 전혀 무해하다고 알려진 화학요소들이 여럿이 결합하면 인체에 해로운 결과가 나올 확률이 60%나 된다는 사실... 이를 확장하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아주 조금씩, 공식기관의 발표대로 일일최대허용치보다 적은 양을 섭취하더라도 인체에는 해로운 확률이 60%이상이라는 얘기가 된다.

 

그야말로 죽음의 식탁이 된다. 이런 죽음의 식탁은 특히 어린이들에게 치명적임을 잘 보여주고 있고.

 

이런 죽음의 식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일... 농약 사용 금지를 전면화하는 것... 그리고 유기농 제품을 먹어야 하는 것. 각종 화학제품들의 생산을 줄이고, 사용을 하지 않는 것.

 

이렇듯 이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무서워지는 책이다. 도대체 무얼 먹어야 할지, 아니 먹지 않아도 내 주변에서 내가 만지고 호흡하는 것들 중에 내가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내 몸에 들어와 나를 서서히 죽여가고 있는 것들이 있음을, 그것도 모자라 다음 세대에까지 죽음을 물려주고 있음을 알게 하니 말이다.

 

이렇게 '죽음의 식탁'에 대해 알게 되면 생활습관을 고쳐야 한다. 자신의 생활습관을 돌아보고 고치고, 또 사회 환경을 바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적어도 내 건강이므로, 과학자들이 제대로 된 연구를 하고, 자신의 연구결과에 책임을 지는 윤리적 자세를 지니도록 압력을 넣을 수도 있어야 한다.

 

당연히 공적 기관이 규제기관에서는 제대로 규제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기업이 단지 이윤만이 아닌, 사람들의 건강을 먼저 생각하도록 감시의 눈을 감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런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을 쓴 목적이리라. 너무도 구체적인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대로 가다간 나뿐만이 아니라 내 후손들까지도 고통에 시달리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하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