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문학과지성 시인선 442
나희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희덕의 시에서 자연을 느끼곤 했다. "뿌리에게",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에서 전체적인 느낌은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 그런 세상에 대한 갈구였다.

 

마음이 차분해지고, 편안해졌다. 그런 세상을 시에서 경험할 수 있었으므로.

 

그런데 이번 시집은 불편했다. 마음을 자꾸 불편하게 했다. 죽음의 이미지가 너무도 강하게 다가왔다. 누군가의 죽음이 시인에게 충격을 주었나 보다. 

 

이 시집의 2부는 그런 죽음들이 넘쳐나고 있다. 죽음들이라고 하지만 한 죽음이 다른 죽음들과 연결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어차피 우리는 죽음을 거부할 순 없는데, 죽음과 삶의 세계는 함께 하되 따로 존재하고, 서로가 서로를 볼 수 없으니... 2부에서 느껴지는 '타나토스(Thanatos)'의 분위기... 어두운 분위기... 암울.

 

이렇게 어두운 느낌을 주는 시들이 많음에도 그것을 넘어서는 무엇이 있지 않을까 했다. 무엇이 있어야 한다. 시가 어둠에 주저앉아만 있으면 시의 장례식을 치러주어야 하리라.

 

하여 다시 제목이 된 시를 살피기로 했다. 시인이 붙였든, 출판사에서 붙였든 가장 호소력이 있는 제목을 선택했을테니, 제목이 된 시를 읽고 또 읽고... 그 시에서 주는 느낌을 받아들이려 한다.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말들이 돌아오고 있다

물방울을 흩뿌리며 모래알을 일으키며

바다 저편에서 세계 저편에서

 

흰 갈기와 검은 발굽이

시간을 등을 후려치는 채찍처럼

밀려오고 부서지고 밀려오고 부서지고 밀려오고

 

나는 물거품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이 해변에 이르러서야

히히히히힝, 내 안에서 말 한 마리 풀려나온다

 

말의 눈동자,

나를 잠시 바라보더니 파도 속으로 사라진다

 

가라, 가서 돌아오지 마라

이 비좁은 몸으로는

 

지금은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수만의 말들이 돌아와 한 마리 말이 되어 사라지는 시간

흰 물거품으로 허공에 흩어지는 시간

 

나희덕,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문학과지성사, 2015년 초판 7쇄. 18-19쪽

 

말과 말. 이 시에서 표현하고 있는 말은 '갈기와 발굽'이라는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말(馬)이다. 그런데, 이런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의 말이 아니다. 파도다. 이건 분명 파도다. 파도가 밀려오고 밀려가고 하는 모습을 말이라고 표현하고 있단 생각이 든다.  

 

그럼, 말을 굳이 말(馬)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그냥 한자어가 시집에 표기가 되어 있지 않으니 이번엔 이를 말(言)로 생각하기로 한다.

 

말(言)로 생각하기로 하니, 두려워진다. 사라질 말. 그렇게 세상을 향해 포효를 하지만 물거품이 되어 사라질 말이다. 여기에서도 타나토스의 냄새가 물씬 풍긴다.

 

이런... 그런데... 단순한 죽음이 아니다. 재생이다. 부활이다. 새로움을 잉태한 죽음이다.

 

그래서 사라져야만 한다. 무언가를 이룬 다음에는 말(言)은 존재해서는 안된다. 다른 존재의 가슴에 박혀 제 할 일을 마쳐야 한다. 그게 말이다.

 

이런 말이 제 구실을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말이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말들이어야 한다. 말들이 뭉쳐서 솟아올라 거대한 힘으로 세상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비좁은 몸으로는' '돌아오지 마라'고 했듯이, 나에게서 나간 말은 다른 말들과 하나가 되어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 나아가서, 나아가서 '흰 물거품으로 허공에 흩어지'더라도 그렇게 나아가야 한다.

 

그런 말들이 돌아와야 한다. 우리에게로. 우리는 지금 얼마나 많은 말들을 그냥 내보내고, 자기들의 좁은 몸에만 가두고 있는가. 버려야 할 말들을 간직하고, 정작 간직해야 할 말들은 허공에 뱉어내지 않았던가.

 

우리의 전존재를 걸고 진실된 말을 해서, 그 말들이 세상을 충만하게 하려고 하지는 않았는가. 그 점을 생각해 봐야 하지 않나.

 

지금은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진실한 말들이, 충일한 말들이... 우리의 가슴을 채우고, 우리를 나아가게 해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말들이 돌아와야 하는 시간, 그런 시간이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