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에 전망이 없다고 여겨졌을 때, 이대로는 안 된다고 나온 교육잡지가 바로 "민들레"였다.

 

공교육이 무너져가고 있을 때, 학교 붕괴, 교실 붕괴라는 말이 나왔을 때, 집단괴롭힘 및 왕따로 과연 이게 교육일까 할 때, 이런 방법으로 교육을 해보자고 한 잡지가 "민들레"였는데...

 

벌써 100호를 눈 앞에 두고 있다. 

 

교육에 관해서 10년 넘게 이야기를 해왔으면 이제는 할 이야기를 거의 다 했을 법도 한데, "민들레"를 읽을 때마다 새로운 것은 교육은 그때그때 또 새롭게 다가오는 화수분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번 호는 "농사"를 특집으로 다루고 있다. 

 

"농사"의 농자도 모르는 사람이 많은 현실이고, 음식이 자신의 입에 들어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과정과 힘들 과정을 거치는지 알려고 하지 않는 현실에서 농사는 케케묵은 이야기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교육은 늘 오래 된 것에서 시작하고, 오래된 것에서 미래를 발견한다.

 

"농사" 역시 마찬가지다. 농사는 우리가 없앨 수 없는 일이다. 이것이 없으면 우리는 생존할 수가 없다. 살아갈 필수요소가 바로 농사다.

 

공기와 같이 필수적임에도 공기와 같이 외면당하고 있는 것이 농사고, 정부의 정책 우선 순위에서 늘 뒤로 밀리는 것이 농업정책이다.

 

하다못해 핸드폰을 팔아서 쌀을 사오면 되지 않느냐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농업에 대해서 무지한 것이 이나라 정치권력의 모습이다.

 

이런 사회분위기는 그대로 학생들에게 전해진다. 이런 것은 가르칠 필요도 없다. 학생들 스스로 본능적으로 사회에서 무엇을 존중하는지 알기 때문이다.

 

그러니 농사는 힘들뿐이고,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 되어 버린다. 자기 생명을 유지시켜주는데 상관없다고... 이러니 음식물 쓰레기가 사회문제가 되곤 하지.

 

그 귀한 음식을 남겨도 아무런 죄책감을 갖지 않는 사회, 오히려 수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풍요의 상징이 된 사회는 그다지 좋은 사회는 아니다.

 

음식을 귀하게 여기는 방법,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자신이 그 음식을 구해보는 일이다. 씨앗부터 땅고르기, 돌보기, 수확하기, 요리하기, 먹기까지의 과정을 경험해보는 것이다. 이런 경험을 해보면 음식을 함부로 대할 수가 없다.

 

음식은 다른 또 하나의 생명임을, 그 생명을 내가 먹고 있음을 알게 되기에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자연스레 해결된다.

 

또 음식이 자신의 입에 들어오기까지의 그 긴 과정을 통해 조급함을 버리고 기다림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이런 과정이 자연스레 교육이 된다. 무어라고 교과과정에 적혀 있지 않더라도 말이다. 이 점을 이번 "민들레"에서 강조하고 있다.

 

적어도 농사를 통해서 생명의 존귀함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을테니 말이다. 단, 강요는 안된다. 자발적으로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 점을 이번 호 대안학교에서 농사교육을 받은 학생의 글(조영서, 농사 예찬?)이 잘 보여주고 있다.  

 

이래저래 생각할 것이 많은 이번 민들레 98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돼지 2015-04-19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잡지도 있었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ㅜㅜ

kinye91 2015-04-19 1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달에 나오는 격월간지인데, 교육 분야뿐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게 해주는 글들이 많은 책이에요.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어 좋습니다. 나온 지가 벌써 15년도 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