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일곱 살에 애를 낳았다. 여자도 남자도 고등학생이었을 때, 그러나 그들은 애를 포기하지 않았다. 어쩌면 포기하지 못했을지도 모르지만.

 

그리고 이 소설의 주인공이 열일곱 살이 되었다. 물리적인 나이는 열일곱. 그러나 육체적인 나이는 팔십.

 

조로증이다. 일찍 온몸의 세포들이 늙어가 남들보다 일생을 길고도 짧게 살게 된다.

 

열일곱이 된 내가 열일곱에 자신을 난 부모들을 보면서, 그 부모들이 늙었을 때 모습이 지금 자신의 모습이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서서히 죽어간다. 이렇게 죽어가는 젊지만 늙은 아들을 바라보는 부모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마치 열일곱에 애를 가졌을 때 포기하지 못했던 것처럼, 다시 열일곱이 된 아이가 자신들을 떠나려 해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이번에는 '못'이 아니라 '안'이다. 의지다. 그럼에도 아이는 떠나간다. 그리고 다른 아이가 오려 한다.

 

아이는 열일곱의 인생에서 한창 여름을 글로 남겨놓았다. 부모는 여름도 없이 가을로 갔고, 그들은 아이의 죽음으로 곧 겨울로 접어들텐데, 아이는 자신이 글을 써서 남김으로써 부모에게 부모의 열일곱, 그 여름을 돌려주고 있다.

 

그렇게 돌려 받은 여름이 이 소설의 끝이다.

 

여러 이야기가 중첩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읽어가는 맛을 느낄 수 있다. 한 번 손에 잡으면 죽 읽고 싶어진다. 그런데, 나는 무슨 심술이 났는지 한 번에 읽지 않았다. 조금씩 조금씩 내용을 반추하면서 읽었다.

 

그렇게 한 번에 읽기보다 조금씩 되새김질 하면서 읽으니 더 재밌다. 아니 더 울림이 있다.

 

열일곱, 나는 인생의 여름을 어떻게 보냈던가. 인생의 여름을 맞이하고도 여름을 즐기지도 못한 이 소설의 주인공 '아름'. 그리고 이런 아름이로 인해 자신들의 가을을 겨울로 만들어야 했던 부모, 대수와 미라.

 

죽음을 생각할 수 없는 나이에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아름이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아마도 우리는 자신이 그 계절의 한복판에 있을 때는 계절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조금 거리를 두어서야 그 계절의 맛을 알게 되는 것, 아름이로 인해 인생의 아름다움을, 인생이라는 그 여름의 무성함을, 그 다양함을 알게 되니 말이다.

 

여름일 나이에 겨울을 맞은 아름이를 통해, 그의 아름다운 삶을 통해, 내 인생이 다시 두근두근 거리기 시작한다.

 

그렇다. 우리의 인생은 까마득하게 잊고 있지만 처음 세상에 나왔을 때 그 경이, 사랑하는 사람의 심장에서 들리는 소리, 내 심장에서 들리는 소리, 그런 두근두근 하는 설렘으로 이루어지는지도 모른다.

 

그 설렘을 이 소설이 다시 찾아주었다.

 

우리에게는 모두 각자의 인생이 여름이라고... 모두 두근거리는 인생이라고. 지금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이 바로 여름이라고... 무성하고, 깊고 다양한, 생명이 살아 넘치는 그런 여름이라고. 

 

영화로도 만들어졌으니 영화와 소설을 비교하는 것도 의미 있을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