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96호"를 읽다.

 

두 달에 한 번 오는 잡지. 교육에 대한 잡지라고 하는데, 이 때 말하는 교육이란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이야기니, 이 책은 학생이나 청소년들만이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필요한 책이다.

 

오히려 무언가에 대해서 치열하게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책이니, 사실은 청소년이나 어른이나 고민없이 그때 그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별로 의미있게 다가올 책이 아니다.

 

문제를 제기한다는 것은 해결책이 있다는 말은 문제제기를 한다는 것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이고, 고민을 한다는 것은 해결책을 마련하려고 고민한다는 얘기다.

 

그러니 어떤 문제를 인식한 사람들에게 이 책은 해결책을 직접적으로 제시해주지는 않더라도 해결책의 단초를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는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호 특집은 "어른이 되는 길"이다.

 

정말, 참으로, 시의적절하게 특집을 잡았다는 생각이 든다.

 

과연 지금 우리나라에 "어른"이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른이란 시간이 흘러 특정한 나이가 되어서 상태가아니다. 단지 물리적인 시간으로 어른이 된다면 누가 "어른이 되는 것"에 대해서 고민을 하겠는가.

 

그러나 세계 각처에서 "통과의례"가 있었듯이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물리적인 시간의 경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무언가 한 단계를 넘어서는 상태, 그 때 비로소 어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통과의례"가 있었던 것 아니겠는가.

 

따라서 "어른"은 그냥 되는 것이 아니다. 치열한 고민을 거쳐서 그 고민을 넘어설 때 그 때 온전한 어른이 되는 것이다.

 

우리 말에서 어른은 "얼우다"라는 말에서 나왔다는 말이 있다. 얼우다라는 말은 관계를 맺다는 말이고, 이 때 관계를 쉽게 말하면 결혼을 하다 또는 남녀 관계를 맺다라는 말이니, 이 말은 어른이란 나를 책임지는 단계를 넘어서 또 다른 '나'를 책임지는 단계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다.

 

'어른이 된다는 것' 얼마나 힘든 일인가. 대부분 사람들이 자신들의 몸 하나도 책임지기 힘든데, 자신들과 더불어 다른 사람들까지도 책임져야 하니 말이다. 그런 사람이 진정한 '어른'이다.

 

그리고 그런 어른들이 사회에서 제 몫을 하게 된다.

 

다시 한 번 질문한다. 과연 우리나라에는 "어른"이 있는가?

 

이런 어른들을 우리는 "원로(元老)"라고 부르고, 무슨 일이 있으면 그들에게 조언을 구한다. 그들에게 의존한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물리적인 시간 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인간적, 관계적 시간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어른다운 어른이 없을 때 우리는 힘들어진다. 따라서 우리는 "어른"이 되어야 한다. 진정으로 "어른"이 되어야만 한다. 그래야만 우리 사회가 제대로 이루어진다.   

 

"어른"에 대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 이번 민들레 96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파엘 2014-12-28 09: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잡지가 있었군요. 읽어봐야겠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