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이렇게 산만해졌을까 - 복잡한 세상, 넘쳐나는 기기 속에서 나를 잃지 않는 법
알렉스 수정 김 방 지음, 이경남 옮김 / 시공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메일 무호흡증이라고 들어 보았는지. 수면무호흡증은 들어보았어도, 이메일 무호흡증은 처음 듣는 말이었는데, 잠잘 때 숨을 쉬지 않는 경우가 있듯이 이메일의 홍수 속에서 그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숨을 무의시적으로 쉬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경우가 있는 정도가 아니라, 점점 더 빈도수가 많아지고 있다고 하는데... 그만큼 우리는 잠만큼이나 이메일과 같은 전자기기, 즉 디지털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함께 하는 시간은 많아지는데, 의식적으로 이용하는 시간은 적어지니, 자연스레 무호흡증이 생길 수 있고, 이 무호흡증이 당장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장기적으로 몸에 좋을 리가 없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지 않을까.

 

그럼에도 이것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문제가 있는데, 이메일 무호흡증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스위치 태스킹을 멀티 태스킹으로 착각을 하고 지내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고 한다.

 

한꺼번에 여러 일을 한다고 착각하고 있지만, 사실은 그 일들을 순서대로 할 뿐이고, 체계적이지 않은 그 일들을 처리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그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

 

이것이 바로 디지털 주의 결핍 상태, 즉 디지털로 인한 주의 산만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산만함을 다방면의 일을 동시에 처리함으로 착각하고 지내는 일, 그것이 디지털 시대의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한다.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해 보자. 우리나라는 이메일 무호흡증이라기 보다는 카톡 무호흡증이라고 해야 하고, 컴퓨터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스마트폰에 의한 주의력 결핍 상태가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의 일상을 관찰해 보라. 아이들은 한 순간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떼지 않는다. 또 언제든지 스마트폰이 울린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이 책에 나와 있는 현상을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더 심하게 겪고 있는 것이다.

 

물론 늦게 스마트폰을 만나게 된 어른들도 마찬가지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사람들을 관찰해 보면 모두들 손에 이 작은 기기를 들고 몰두하고 있다. 여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 기기가 잠시라도 없으면 불안해 한다.

 

그렇다고 일의 능률, 학생들의 학습 집중력이 높아졌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학습 효과를 이루는 것 같지만, 그것은 착가에 불과하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이 책은 그 점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렇다고 디지털 시대를 벗어나야 한다고, 거부해야 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이미 그럴 수는 없다.

 

이런 디지털 기기는 이미 우리 몸의 일부가 되었고, 우리 몸은 이런 기기들로 인해서 확장이 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얽힘'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 얽힘을 인정하고, 여기에서부터 시작하자고 한다.

 

어떻게? 우선 "관조"

 

디지털 기기를 다루고 있는 나를 관찰하는 연습부터 하자는 것이다. 이를 거리두기라고도 할 수 있는데, 명상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이런 명상과 같이 디지털 기기를 다루는 나를 생각하고, 인식하면서 기기를 다루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한다.

 

명상에서 호흡을 하면서 호흡이 내 몸에 어떻게 들어오고, 어떻게 나가는지를 의식하면서 하듯이 디지털 기기를 다루면서 내가 지금 왜, 어떻게 이 기기를 다루고 있는지를 생각하면서 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기기에 매달릴 때보다 훨씬 더 디지털 기기를 제대로 잘 다룰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더불어 하나 더 디지털 안식일을 갖자는 것이다. 러다이트운동처럼 기기를 거부하고 파괴할 수는 없으니, 이를 이용하되 일정한 시간을 두고 디지털 기기를 닫아두는 생활을 하자는 것이다.

 

일주일에 한 번이라도 디지털 안식일을 갖는다면 디지털에 대해 더 의식적인 사용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좋은 말이다. 디지털에 몰입을 하더라도 그렇게 몰입하는 자신을 바라보는 관조가 필요하고, 디지털 세계에서 잠시 벗어나 자신의 세계를 갖는, 오프라인에서 자신의 생활을 하는 그런 디지털 안식일을 갖는 것, 그것이 바로 디지털로 인한 산만함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한다.

 

여기에 자연 속을 산책하는 일... 오프라인의 결정체. 그런 일들. 우리 아이들에게 온라인 상의 세계만이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세계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경험하게 하는 일. 그것을 어른들이 먼저 실천하는 일.

 

디지털 홍수 시대에서 나를 잃지 않는 법이다.

 

적어도 디지털 기기를 만지면서 왜 만지는지, 어떻게 만지는지를 생각하는 관조의 습관을 갖고, 또 일주일에 한 번만이라도 디지털에서 멀어져 실생활에서 직접 온몸을 사용하는 그런 디지털 안식일을 갖는 생활을 하자.

 

그것이 나를 찾는 길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