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2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굳이 더 말할 것이 없다. 그냥 읽어보면 된다.

 

우리 그림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얼마나 소중한지.

 

작가가 우리 그림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그림을 읽기 위해서 얼마나 공부를 했는지.

 

얼마나 자료를 찾아 다녔는지.

 

얼마나 우리 그림의 아름다움에 감탄했는지.

 

그냥 읽어보기만 하면 그 마음이 오롯이 우리에게 전해져 온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오주석이 살아있는 줄 알았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옛그림에 대해서 이야기해주고 있는 줄 알았다.

 

우리 그름이 얼마나 아룸다운지를 이야기해서 많은 사람들이 우리 그림을 좀더 친숙하게 여기게 되고, 그림을 사랑해서 문화 정신이 높아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말았다.

 

그런데 이 책이 그의 유고작이다. 이런 우리 그림을 그렇게 사랑했던 사람이 옛 그림 속으로 가고 말았다.

 

아쉬운 마음이 든다. 그래서 이 책이 더 소중하게 다가온다. 더 이상은 그의 설명을 들을 수가 없으니 말이다.

 

이번에 다룬 작품은 6편이다.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김홍도의 마상청앵도, 정선의 금강전도, 정약용의 매화쌍조도, 민영익의 노근묵란도, 작가를 알 수 없는 이채 초상

 

그림의 수준으로 따지면 정약용의 그림을 제외하고 감탄을 금할 수가 없다. 김홍도의 호랑이 그림을 보고 호랑이를 이토록 자세하고 표현하고 있음에 놀라고, 호랑이의 위엄이 그림에서 느껴져 놀라고...

 

정선의 그림에서는 주역의 원리를 발견하고, 그를 설명하는 작가의 노력에 놀라고, 왜 금강산 금강산 하는지 그 그림을 보면서 놀라고...

 

민영익의 노근묵란도를 보면서 설명 없이 보았을 때 뭐야, 뭔 그림이 이리 난삽해 했다가, 설명을 읽으면서 나라 잃은 슬픔이 이렇게 그림으로 표현되었음을 알게 되었을 때, 그림이 단지 자신의 표현력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신을 드러냄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고...

 

정약용의 그림에서는 전문적인 화가는 아니지만 작가가 왜 이 그림을 넣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이야기를 읽게 되어 그림이 옛사람들에게는 기예가 아니라 생활이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고...

 

이채의 초상화에서는 정말이지 놀라울 정도의 표현력에 감탄하고, 지금 사진보다도 더 섬세한 표현, 단지 외양이 아니라 정신의 세계까지도 초상 그림에 드러나게 하는 그런 화가 정신, 선비 정신에 놀랄 따름이었다.

 

이런 설명을 더 이상 들을 수가 없게 되었다니... 안타깝다.

 

그러나 우리 옛 그림 읽기에 오주석이 선구자의 자리에 섰으니, 그의 자리를 이어받는 후학들이 많음도 사실이다.

 

다른 사람들이 오주석의 자리에서 그와 함께 우리 그림들 읽기를 하고 있고, 우리에게 알려주고도 있으니... 그 점에서 위안을 삼을 수도 있겠지.

 

옛그림에 대한 좋은 읽기였다. 머리에도 마음에도 콕콕 박히는 그런 읽기였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는 조금 우리 그림을 읽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오만한 생각도 드는, 그런 읽기. 그런 읽기를 알려준 책. 

 

덧글

 

소소한 오타. 그래도 바로잡아야 할. 163쪽.

 

지금 다산의 동암 바로 옆에 있는 천일각 정자 자리는 원래 빈터였는데, 선생은 이곳에서 강진만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형 약종을 그리워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라고 되어 있는데...

 

정약용이 바다를 보며 그리워한 형은 흑산도에 유배되어 있던 정약전일 것이다. 그러니 형 약종을 -> 형 약전을 고쳐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르미원주 2015-06-23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얼마전 1권을 읽고 이제 2권을 집어들어 보고 있어요. 감탄을 하면서요. 독후감 잘 봤어요

kinye91 2015-06-23 11:41   좋아요 0 | URL
저도 오주석 선생의 그림 읽기에 정말 감탄하면서 읽었습니다. 오주석 선생 덕분에 우리 그림에 대해서 관심이 놓아졌다고나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