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이 아이를 바꾼다 - 긍정의 건축으로 다시 짓는 대한민국 교육
김경인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4년 2월
평점 :
교육, 교육. 정말 중요한 일이고, 현재를 넘어서 미래로 나아가는 길인데, 이런 교육에 대한 논의가 무성함에도 아이들은 교육을 통해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미래를 책임질 사람들이 지금 행복하지 않은 상태, 그럼 미래는 행복해질까? 그런 생각이 드는 요즘인데, 그나마도 대안학교다 혁신학교다 하여 아이들이 행복한 학교가 많아지고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대안학교야 원래 취지가 공교육의 반대편에 서서 어떤 교육철학을 지니고 이루어진다고 하니 논외로 한다면 공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혁신학교는 나름대로 성과를 거둬가고 있기도 하다. 적어도 아이들이 학교에서 뛰쳐나가려고 하지는 않으니 말이다.
혁신학교의 성공을 학력에 두고 판단을 한다면 그것은 제대로 된 판단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마찬가지로 혁신학교가 성공했다고 해서 혁신학교 주변의 집값들이 덩달아 오른다는 기사는 혁신학교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기사들이나 판단은 교육의 성패를 학력에만 두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학생들의 행복은 들어있지 않다. 우습지 않은가? 교육은 현재를 희생해서 미래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행복을 미래에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행복을 오로지 학력이라는 잣대로 재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여기에 혁신학교들이 이상하게도 수업혁신이다, 생활혁신이다 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무언가 빠져 있다는 느낌을 받았었다.
무엇이 빠져 있었을까 하다가 이 책을 읽는 순간 "아!"하고 말았다. 그래, 바로 이것이구나, 이것이 지금 우리 교육혁신에 빠져 있는 거구나.
그것은 바로 아이들이 생활하는 학교라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었다. 우리는 학교라는 공간을 그냥 주어진 것으로만 알고 그 공간 속에서 학생과 교사들의 관계에만 신경을 썼다. 사실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는 막연히 알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책은 수업이든 생활지도든 이런 쪽으로 접근하지 않는다. 학교라는 공간으로 접근을 한다.
아이들이 대부분 지내야 하는 공간인 학교가 왜 가장 낙후된 시설만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가. 도대체 적어도 12년을 지내야 하는 공간이 6년, 3년, 3년 이렇게 변화가 되어도 공간의 변화는 없는가.
우리나라 초,중,고 학교의 모습을 떠올려 보라. 차이가 느껴지는가. 어느 도시에 가도 학교는 아, 저것이 학교구나 하고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획일적이다.
거기다 학교 내부를 살펴보면 도무지 학생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 없다. 여기에 거의 모두가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삭막하기는 이루 말할 데가 없을 정도다.
미래를 살아갈 사람들이 지내는 공간으로서 학교는 과거의 유물에 속할 뿐이다. 미래의 사람을 과거에 얽매어 놓고 거기서 미래를 상상하라고 한다. 가능한가? 이 가능하지 않음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고 오직 교과내용이든지, 교사와 학생 사이의 관게라든지 하는 것에만 신경을 쓴다.
다행이 몇 년 전부터 학교라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 생겨왔고, 또 학교라는 공간을 바꾸려는 움직임도 있어왔다. 이 책은 그것에 대한 기록이다.
학교라는 공간이 바뀌었을 때 어떻게 교육이 바뀌는지를 실제 경험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 공간으로 바꿨을 때 학생들의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무엇보다도 전문가들이 참여하지만 학교 공간을 바꾸는 일에 학생과 교사와 학부모의 참여를 필수적으로 한다는 점이 마음에 든다.
결국 학교에서 가장 오랫동안 있는 사람은 학생과 교사 아니던가. 그러면 이들이 가장 편안하고 좋게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어야 하지 않겠는가 이런 생각에서, 또 자신의 공간을 자신들이 바꾸어간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이렇게 학생과 교사, 학부모의 참여하에서 학교라는 공간을 고쳐 간다고 한다.
어떤 학교는 화장실을, 어떤 학교는 복도를, 도서관을, 쉼터를... 각자 학교의 사정에 맞게 꼭 필요한 부분들을 전문가들과 협조하여 고쳐간 기록이 이 책인데...
이런 과정을 읽어가면서 혁신학교가 한 가지 놓친 것이 바로 이런 학교라는 공간의 개조였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몇몇 학교에서는 벽화그리기를 통해 환경을 바꾸려는 모습도 보였으나,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고 행복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의 창출로는 나아가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그런 점을 깨닫게 하고, 공간 변화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하게 해준 책인데...
"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
이것이 이들이 한 일의 주제다. 여기서 문화란 학교라는 공간이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붙였을테고... 어떤 학교에서는 쉼터이자 갤러리이자 카페가 되는 공간을 만들어내기도 했으니...
정말로 학교에 문화가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언제든 학생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교사들과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학부모가 언제든 와서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이런 소망들이 학교라는 공간에 담겨 실현되었으면 좋겠다.
그냥 단순한 꿈이 아니라, 충분히 실현가능한 일임을 "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가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 책의 후기에서 말하고 있듯이 지원예산이 대폭줄어 이제는 학교예산으로 해야만 할 수밖에 없다고 하는데, 학교라는 공간이 이토록 중요한데,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아니 우리나라 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정부에서는 학교 공간의 변화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해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든다.
무엇이 우선인가 생각해 보라. 학생들에게 투자하는 것이 가장 우선 아닌가. 학생들이 행복하고 즐겁게 학교에서 지낼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바로 우리 어른들의 책임이고, 나라 정책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의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다.
읽으면서 즐거워지는 책인데... 예산 지원이 대폭 삭감되었다는 후기에 가서 마음이 좀 무거워졌다. 이 무거워진 마음이 정책의 변화로 가벼워졌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