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집을 고른 이유는 오직 하나.
제목에 카프카가 들어 있기 때문.
카프카에 관심이 있었을 때 검색어를 카프카로 놓고 검색을 해보면 많은 책들이 뜨는데, 시집 제목에 카프카가 들어간 시집이 두 권이 있었다.
언젠간 읽어야지 하면서 사게 된 시집인데...
"카프카의 집"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고, 카프카 작품 중에서 "성"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성"이라는 카프카의 소설은 결코 성에 도달하지 못하고 성의 주변을 맴돌 수밖에 없는 사람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이루는 절대의 세계에, 진리의 세계에 도달하지 못하고, 늘 안개에 쌓여 그렇게 헤매면서 어디론가 가기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진리의 세계가 분명 존재한다고, 눈에 보인다고 생각하고 가는데, 가도가도 그 곳은 저 멀리에만 있고, 그곳은 또 뿌연 안개에 쌓여 있어 실체를 의심하게도 하는데...
그래도 그곳은 눈에 보이니 없다고 할 수도 없고, 하여 우리는 갈 수밖에 없는데...
진리의 세계를 향한 여정, 가야만 하는, 그러나 갈 수 없는 그런 세계에 대한 탐구, 그것이 카프카 소설이었다면, 이 시집에서는 그런 세계에 대한 시적인 추구가 이루어지고 있어야 하지 않나.
제목이 된 시 '카프카의 집'을 본다.
카프카의 집
어느 낯선 세계, 공기조차도 고향 공기의
어떤 요소도 갖지 않은, 낯섦으로 질식할 듯
한 곳, 미친 유혹들 속에서, 그저 계속 갈 뿐
- <城>에서
저녁 어둠이 안개에 젖을 때
만종 종소리는 낮은 곳으로 잦아들고
한사코 사물을 밀어내치려 해
집의 낯익은 현관 문고리를 잡고서도
여기가 어디던가,
묻게 한다.
불그스레한 가등 불빛 아래
포도 돌바닥이 번들거릴지라도
끝내 고독했던 사람은
여전히 그늘진 모퉁이에서 서성대며
그의 집에 붙은 포스터의
얼굴 또한 춥고 그로테스크하다.
다만 헤매다닐 뿐.
(굴뚝에서 한가롭게 풀려나는 연기
나무 끝에 오도마니 올라앉은 둥지
가족의 웃음 소리)
그 성은 멀고 머어
이방인의 집은
비어 있다.
밤이 더 싶어선 안 된다. 프라하여.
불안은 언제나
한걸음 앞서 스멀거리지만
보헤미아 처녀여
귀가를 서두르지 말라
머리카락카락 물 미립자 방울 맺히기 전엔.
신중신, 카프카의 집, 문학과지성사. 1998년 초판. 66-67쪽
상당히 몽환적이다. 무언가 도달했음에도 도달하지 않았음을, 가야 하지만 갈 수 없음을 이 시에서 느낄 수 있다. 마치 카프카의 "성"에서 느껴지는 분위기가 이 시에서 고스란히 느껴진다.
그럼에도 가야한다. 그것이 바로 진리의 세계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다. 우리는 늘 어디론가 가야만 한다. 가지 않으면 우리는 제대로 된 삶을 살 수 없다.
이렇게 카프카를 느끼기도 했지만, 또 하나 시집에서 반가운 제목을 만났다. '풀잎'
이 시에서 김수영의 '풀'을 느낀 건 나만의 착각일까. 진리의 세계에 사람은 혼자 갈 수가 없음을, 함께 가야만 함을, 어쩌면 이 '풀잎'이라는 시를 통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풀잎
풀잎이 한들바람에 흔들린다
천둥 뇌우 속에서 한결 명징해진다
혼자이면서 여럿으로
씨를 여물게 해 흩뿌리고
풋풋한 목숨 면면히 이어간다
풀잎은 죽음 곁에서 새 움이 돋아나고
꿈꾸지 않으면서
꽃을 피운다
흔들려 바람을 부르고
흔들리지 않으므로 나비의 요람이 된다
풀잎이 숲을 만들고
강바닥이 마르는 걸 막아준다
새벽에는 이슬에 젖어
태어난 아이가 힘찬 울음을 터뜨리도록
노래한다 한 소절마다의 엽록소로
풀잎은 항구하게 원시의 힘
농경의 고단한 쟁기질과
타오르는 풀무의 불길.
마침내 민초(民草)가 주인임을 터득시키는
민주주의의 지반이 된다.
신중신. 카프카의 집. 문학과지성사. 1998년 초판. 80-81쪽
자, 내가 원하는, 가야만 하는 세계는 어디인가. 그곳으로 나만이 아니라, 함께 갈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이 '풀잎'들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