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야자키 하야오 ㅣ 살림지식총서 194
김윤아 지음 / 살림 / 2005년 7월
평점 :
"스튜어트 홀은 '문화정체성'은 하나의 본질이 아니라 '입장 취하기'라고 했다. 과거와 소통하는 현재는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고 변화하는 것이다. 결국 나의 문화정체성은 그의 작품들에 대해 작은 한 권의 책으로 '입장 취하기'를 한 것이다. (87쪽)
이러한 입장 취하기로 그는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서 파시즘의 흔적이 느껴진다고 한다. 그것도 하야오의 작품 중에서 후기에 해당하는 "원령공주", "센과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분석하면서.
이러한 입장 취하기에서 그의 관점을 설득력있게 전달하기 위해 작품의 내용을 분석하고 있는데, 작품의 내용이라기보다는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일본의 파시즘과 연결짓고 있다.
가령 "원령공주"에서 사슴신이 죽어갈 때 함께 죽어가는 숲의 정령들을 일제시대의 가미가제 특공대에 빗댄다든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일본의 신화를 작품에 끌어들여 그들에게 예전의 향수를 일으킨다든지, 신화는 민족을 단결시키는 역할을 해서 파시즘에서 주로 활용했다는 이야기까지 곁들여서 하고 있으며,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는 전쟁을 미화하고 있지 않나 하는 이야기까지 하고 있다.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데, 사람들 누구도 긴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또한 전쟁 상대가 누구인지 나와 있지도 않다는 이야기도 하고 있고.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는 얼굴이 다들 똑같다는, 이는 서구지향의 일본을 의미한다고 하는데...
읽으면서 이렇게 해석을 하는 경우도 있구나 하는 생각과 최근에 미야자키 하야오가 다시 만들었다는 "바람이 분다"에 관한 논쟁이 겹쳐서 떠올랐다.
2차세계대전 때 쓰인 비행기를 만든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만든 영화가 "바람이 분다"라고 하니, 파시즘을 찬양하는 것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고 해도 적어도 전쟁범죄에 쓰인 비행기를 만든 사람을 주인공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는 것은 아무리 좋게 해석을 해도 파시즘적 요소가 작품에 스며들어 있지 않나 하는 우려가 요즘 논란거리가 되고 있는데...
어쩌면 이 책을 쓴 사람은 거봐, 그렇지. 그럴 줄 알았어 할지도 모르겠는데...
지금까지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을 보면 "원령공주"는 일본 군국주의, 특히 천황제를 미화했다고 하기보다는 자연과 인간의 대결 속에서 자연이 인간에 의해 정복당하고, 폐허가 되지만, 그 폐허는 결국 인간에게도 해를 입힌다는, 그래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고(마지막에 산과 아시타카의 대화을 보면 그렇게 해석이 된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자본주의의 탐욕을 비판하고 있다고, 즉 경제성장만을 추구했던, 경제동물 일본의 모습을 오히려 작품을 통하여 비판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는 "가족"의 의미를 추구하고 있다고 해야 하는데...
이 책의 작가가 "입장 취하기"를 하고 있듯이 나역시 "입장 취하기"를 하고 있으며, 이런 입장 취하기들은 결국 같은 영화라도 그 영화에서 자신이 보고 싶은 것을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이렇게 사람에 따라 다르게 볼 것이 있다는 사실 자체가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의 위대함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그가 거장이라는 소리를 듣는 이유이기도 하겠고.
작품의 몇몇 이미지들로 파시즘적 요소를 파악해내기 보다는 그가 진정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일까 하는 주제에 집중하여 보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신화는 파시즘에서도 주요하게 쓰이지만, 모든 민족에게 자신들의 존재의의를 알려주는 역할도 하고 있으며, 우리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신화를 자랑스레 여기고 그것을 작품에 담은 작가를 좋아하지 않는가. 그런 생각이라면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적인 요소는 일본적인 애니메이션을 만들려는 그의 노력으로 보아야지, 파시즘에 대한 향수로 해석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것은 바로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대한 나의 "입장 취하기"이겠지만.
이 책을 읽은 한 가지 소득은 이렇게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작품들, 좀더 꼼꼼하게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는 것. 그리고 다양한 관점들에 대해서도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그런 해석들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