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에서 고른 두 번째 시집. 아니, 요즘에 고른 시집으로는 세 번째다. 헌책방에서 시집을 고르는 재미가 쏠쏠하다.

 

대형서점에 가면 시집을 전시해 놓은 서가가 계속 줄고 있는 현실에서.. 좋은 시집을 헌책방에서 만난다는 것은 축복이다. 그러한 축복을 받기 위해 가끔은 헌책방에 갈 일이다.

 

이번 시집은 풍자시집이다. 예전에는 시인으로 더 많이 알려졌지만, 요즘은 "고양이 학교"의 저자로 더 잘 알려진 김진경의 시집.

 

아마도 90년대 초반 우리나라 현실을 비판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리라.

 

이런 풍자시집은 잘못하면 때가 지나 시대와 맞지 않게 되고, 또 풍자를 이해하지 못해 어리둥절해질 수도 있다.

 

이 시집도 마찬가지다.

 

무지렁이(이런 표현이 맞는지... 무지렁이라고 말해지는 사람들은 사실, 자기의 일을 묵묵히 하는 사람들이고, 또 이들은 자연과 인간이 어떻게 하면 조화롭게 사는지,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조화를 이루며 살 수 있는지를 몸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이다) 농민의 입을 빌려 당시 지배층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는데...

 

상황을 모르는 사람은 이 시를 곧이곧대로 해석해서 내용을 잘못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아니면 불행이라고 해야할지, 이 시집에서 풍자하고 있는 내용이 지금에도 유효하다는 사실.

 

세월이 흘러 민주화가 되었다는 지금에도 이 시집이 유효하다는 사실은 서글픔을 넘어선 어떤 감정을 느끼게 한다.

 

세상에, 아직도 이렇다니...

 

뉴스에 보니 송전탑 건설 반대로 농민들이, 그것도 나이 드신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나서고 있는 현실과 미국이라는 거대 제국에 아직도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라든지... 참...

 

하여 남에게 빌붙어 잘 살려고 하지 말고, 자기 힘으로 살아가야 한다는 뜻을 이 시집의 제목으로 삼고 있으니... 명심할 일이다.

 

이 시집을 풍자시집이라고 알게 해주는 시가 있다. 그 시는 '확인'이다.

 

확인

 

우리가 노예라면

"노예이다"에서 시작하자.

우리의 땅이 식민지라면

"식민지이다"에서 시작하자.

다른 나라 군대가

우리의 땅을 짓밟고 있다면

"짓밟고 있다"에서 시작하자.

이렇게 시작되지 않는 민주는

진열대에 놓여 있는 미국산 담배이름이다.

 

김진경, 닭벼슬이 소똥구녕에게, 실천문학사, 1991.  71쪽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자리에서 시작하자는 이 시는, 그래서 다른 시들이 풍자적인 의미를 담고 있음을 파악하게 해준다.

 

이런 풍자시집... 그 땐 그랬지 하고 끝나는 세상이 되었으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