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 깊이 읽기 - 동양의 정치적 상상력
위중 지음, 이은호 옮김 / 글항아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람과 풀'

 

이것이 이 책의 원래 제목이라고 한다. 바람은 군주이고, 풀은 백성이다.

 

또다른 제목은 '동양의 정치적 상상력'이다. 그만큼 이 책은 '상서'를 읽으면서 정치를 생각한 책이다.

 

상서는 서경의 다른 이름이라고 하니까, 결국 서경을 통해서 동양의 정치적 사고의 원형을 탐구하는 책이다.

 

상서 50편을 읽으면서 각 편의 내용을 곰곰이 생각하고, 그것을 정치와 연결시킨 독후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정치의 관점으로 읽은 상서라고 하면 된다.

 

그런데 문제는 이 책에 상서의 원문이 없다는 사실이다. 글쓴이가 독후감의 형식으로 쓴 글이기에 상서를 읽지 않았으면 그냥 글쓴이의 주장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

 

이것은 글쓴이가 주장하고 있는 글읽기와 모순된다. 따라서 이 책을 읽을 때는 서경을 함께 펼쳐놓고 읽는 것이 좋다.

 

서경이 한문으로 되어 있어 읽기가 곤란하다면(대부분의 사람은 읽을 수가 없다. 과거 경전의 한문은 참 어렵다. 그리고 우리는 한문 교육에서 너무나 멀리 떨어져 왔다. 옛날 우리나라 책들을 한문으로 읽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나역시 한문으로 된 책은 읽지 못한다. 해석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글자 그대로의 해석도 힘든데, 그 글 속에 숨어 있는 의미를 찾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런 현실이 슬프다) 한글로 풀이해 놓은 책을 펼쳐 놓고 읽으면 된다.

 

적어도 원문을 알아야 그 원문에 대한 해설을 읽으며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갈 수 있지 않을까.

 

그럼에도 이 책은 그냥 죽 읽어도 된다. 상서의 순서대로 자신의 감상을 펼치고 있기에 상서가 역사 순으로 편집되어 있어 이 책만을 읽고 이렇게 상서의 의미를 받아들일 수 있구나 해도 된다.

 

옛날 동양 사람들은 정치에 대해서 이렇게 생각했구나 하면 된다.

 

하늘을 대신해 세상을 다스리는 군주에서, 군주의 힘을 어느 정도 빌린 방백으로, 그러한 방백의 힘을 다시 빌린 제후로 가는 과정이 상서의 정치 권력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제후의 힘이 강성해진 시대가 바로 춘추전국시대이고, 이 상서는 춘추전국시대가 막 시작될 무렵 끝나게 된다.

 

그러므로 상서의 정치적 상상력은 하늘로 대표되는 진리를 체현하고 있는 인물이 어떻게 세상을 다스리는가 하는 문제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하늘의 명을 받은 사람은 성공해서, 그를 도울 현명한 사람과 함께 세상을 다스리지만, 현명한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오직 저만을 믿어 제 멋대로 행하는사람은 하늘의 명을 거스르는 것이 되므로, 하늘이 다른 사람에게 천명을 주어 그를 멸망시킨다는 내용.

 

한 사람의 성인이 세상을 다스릴 때의 행복한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면 갈수록 세상은 혼탁해지는 모습이 상서에 나타나 있다. 이는 이미 세상은 성인 한 명으로는 다스려지지 않는다는 내용의 반증이 아닐까 싶다.

 

나라가 교체되지만 갈수록 성인의 힘은 미약해지고, 그래서 현인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갈수록 이러한 현인도 줄어든다.

 

이를 다르게 말하면 현인을 알아볼 줄 아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었다고 봐야할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세상은 혼란으로 치닫고, 이것이 춘추시대를 거쳐 전국시대에 이르게 된다.

 

상고시대에는 법이라는 제도보다는 사람의 덕이 더 중심이 되었다고 한다면 천명이 작아지는 후세 시대에서는 덕보다는 법과 같은 제도가 더 중심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자나 맹자와 같은 성인들도, 또 노자, 장자, 묵자와 같은 사람들도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없게 되지 않았을까.

 

이제는 추상적인 도(道)나 덕보다는 눈에 보이는 제도가 더 중시되는 사회가 되었으니, 이러한 고전을 읽으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제도에 도나 덕을 담으려는 노력을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직까지도 사람을 중시하는 사회가 동양 사회이니, 이것은 이러한 고전의 정치적 상상력이 우리에게 남아 있다는 얘기라고 할 수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아직도 사람, 사람 하는 그 모습이 우리 동양의 오래 된 전통이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해준 책이 바로 이 책이다. 고전을 읽는 방법을 알려준 책이기도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