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입은 치유자
헨리 나우웬 지음, 최원준 옮김 / 두란노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상처가 많은 시대다. 그런 상처를 그냥 놔두면 곪아서 터지게 된다.

 

이런 상처 많은 시대, 우리는 각자 자신의 상처를 바로 바라보아야 한다.

 

자신의 상처를 바로보지 않고서는 치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상처를 바로보고, 그 상처를 인정하고, 껴안고, 상처로 인해 자신이 여기에 있음을 인식한다면 좀더 나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상처입은 치유자"

 

이 책은 사역자라는 말을 많이 한다. 다른 말로 하면 기독교인들이 읽을 책이라는 얘기다.

 

다른 사람을 위해 헌신하겠다고 결심한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이 책을 읽는다면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겠다.

 

단지 사역자만 그럴까?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가장 상처 많이 받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고 했는데...

 

사역자라고 말하는 목회자들도 다른 사람의 상처를 치유하지만, 이들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 바로 교사들 아니던가.

 

종교를 떠나서 인간을 만나고, 인간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교사는 목회자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자주 접하는 아이들은 상처를 입은 아이들이기 일쑤고.. 그런 아이들과 함께 하는 교사들은 자신들의 상처로 다른 이들의 상처를 치유해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교사는 상처로부터 도피하면 안된다. 상처를 회피해서도 안된다. 오직 자신의 상처를 바로보고, 그 상처를 통해서 더 나은 자기로 나아가야 한다.

 

이러면 다른 사람의 상처도 볼 수 있다. 그 상처도 치유할 수 있다. 

 

난 이 책을 그렇게 읽었다.

 

짧은 책이지만, 또 교회의 목소리가 너무도 많이 들리지만, 사람이 사람을 만난다면, 또한 누군가에게 영향을 준다면 이 책에서 말하는 상처입은 치유자가 상처를 치유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함은 명백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이 상처 많은 시대. 상처 입지 않은 사람에게서 힐링을 구할 것이 아니라, 상처 입은 사람에게서 치유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이 말하는 바이고, 또 이 책은 적어도 남을 치유하겠다는 사람은 상처를 회피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명심하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