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주는 학교 우리 교육의 희망과 대안을 찾아 2
커스틴 올슨 지음, 노승영 옮김 / 한울림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겨울방학 중.예전 같으면 학생들이 남는 시간을 주체하지 못해 몸을 비비꼬면서 무엇을 할까 고민을 할 때인데...집에서 몇 발짝만 나가면 학원가가 있고, 학생들은 오전에서 오후 또 밤까지

이 학원 거리에서 쏟어져 나온다.

 

방학맞이 특강이란다. 학교에 다닐 때보다도 더 많은 시간을 학원에서 시간을 보내야 하는 아이들이 많다. 그렇지 않으면 뒤떨어진다고 생각을 하고, 그런 관념이 널리 퍼져 있기도 하다. 이런 모습에 학교는 책임이 없을까?

 

오히려 아이들이 학원에 목매달고 있는 이 현실은 학교에서 받은 상처로 인해서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학원에서 배우고, 학교에서 잔다고는 해도 아직도 학교가 삶에서 중심이고, 학원은 학교를 보조하는 곳이라는 인식에는 변함이 없다면, 이런 학원 문화에 대한 책임에서 학교가 벗어날 수는 없지 않을까.

 

즉, 학교에서 받은 상처를, 특히 학습면에서 받은 상처를, 학원을 통해서 치유하려고 하지 않나 하지만, 학교에서 학습으로 상처를 받은 학생은 학원에서는 오히려 그 상처를 치유하지 못하고 강화하고 만다. 학교보다도 더 심하게 우열반으로 나누어 학생들을 편가르는 쪽이 학원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학교는 역시 학생들에게 상처를 준 가장 큰 원인이 된다. 그렇기에 학원이 성업을 이루고 있겠지. 만약 학교가 학습만을 강조하지 않았다면, 그것으로 학생들을 평가하지 않았다면, 그것으로 학생들을 줄세우고 편가르지 않았다면 이렇게 학원이, 그것도 보충학습 학원이(말이 보충학습이지 사실은 선행학습 학원이다. 아이들은 미리 한 학기, 한 학년, 심하게는 두세 학년 분을 미리 배운다.) 이렇게 성행하지는 않았으리라.

 

이런 상처를 사람들은 쉽사리 외면한다. 상처는 있는데, 없는 척한다. 또는 별 것 아닌 척 한다. 분명히 별거인데 말이다. 그래서 상처를 직시하지 못하기에 치유를 하지 못한다. 상처는 세대를 통해서 계속 덧나고 있다.  곪아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말았다.

 

세계 최장의 공부시간을 자랑하면서 세계에서 우수한 학업능력을 뽐내고 있지만, 학업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밑바닥에 속하는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은, 미국의 학교 교육 실상을 그려내고 있는 이 책보다도 심하다.  

 

이 책에서도 상당히 심하다는, 이런 교육이 앞으로 몇 십 년만 지속되면, 아니 몇 년만 지속되어도 아이들이 견디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보다 더 심한 우리나라 교육은?

 

하여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학교가 상처를 주는 것,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 인정해야 한다. 그래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제일 먼저 학생들, 자신의 처지를 판단해야 한다. 남의 눈이 아닌 자신의 눈으로. 그 다음 부모들. 자신들이 겪었던 학교 생활을 철저하게 다시 검증해봐야 한다. 반추해봐야 한다. 그리고 그런 학교 생활이 자신의 인생에 어떻게 다가왔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그러한 판단이 선 다음에 아이륻 보아야 한다. 그러면 해야 할 일이 보인다.

 

학생과 학부모가 이렇게 변해도 최종적인 열쇠는 교사가 쥐고 있다. 아무리 사방에서 교사를 쥐고 흔들어도 학생들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존재는 교사다. 학교의 구조가 학생들에게 상처를 주는 구조라 하여도, 이 상처를 치유할 수 있게 해주는 존재도 역시 교사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교의 구조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고려해야 한다.

 

그런 방법에 대해서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언제까지 외면만 할 거냐고. 이제는 학교를 제대로 보자고, 그리고 그 상태에서 앞으로 나아가자고... 그래, 이 책의 마지막에 나온 말처럼, '변화는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

 

학생은 학생으로서, 학부모는 학부모로서(우리나라 어떤 광고에서는 학부모와 부모를 대조하면서 학부모가 되겠느냐 부모가 되겠느냐 하지만, 학부모가 제대로 교육에 대해서 바라본다면 학부모와 부모는 분리되지 않는다), 또 교사는 교사로서 할 수 있는 일을 한다면... 변화는 이미 시작된 것이다. 그렇게 해야 한다.

 

이 책이 상처주는 학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결국 이 상처가 삶에서 아름다운 무늬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마지막 부분에서 강조하고 있다. 그러한 교사의 자세, 모습에 대해서 쓴 시들이다. 교사들, 다들 이런 교사가 되고 싶어한다. 이 시에 나온 선생이 아니라, '선생님'이 되고 싶어한다.

 

어릴 때 내 꿈은

 

어릴 때 내 꿈은 선생님이 되는 거였어요

나뭇잎 냄새 나는 계집애들과

먹머루 빛 눈 가진 초롱초롱한 사내 녀석들에게

시도 가르치고 살아가는 이야기도 들려주며

창 밖의 햇살이 언제나 교실 안에도 가득한

그런 학교의 선생님이 되는 거였어요

플라타나스 아래 앉아 시들지 않는 아이들의 얘기도 들으며

하모니카 소리에 봉숭아꽃 한 잎씩 열리는

그런 시골학교 선생님이 되는 거였어요

 

나는 자라서 내 꿈대로 선생이 되었어요

그러나 하루종일 아이들에게 침묵과 순종을 강요하는

그런 선생이 되고 싶지는 않았어요

밤 늦게까지 아이들을 묶어놓고 험한 얼굴로 소리치며

재미없는 시험문제만 풀어주는

선생이 되려던 것은 아니엇어요

옳지 않은 줄 알면서도 그럴 듯하게 아이들을 속여넘기는

그런 선생이 되고자 했던 것은 정말 아니었어요

아이들이 저렇게 목숨을 끊으며 거부하는데

때묻지 않은 아이들의 편이 되지 못하고

억압하고 짓누르는 자의 편에 선 선생이 되리라곤 생각지 못했어요

 

아직도 내 꿈은 아이들의 좋은 선생님이 되는 거예요

물을 건너지 못하는 아이들 징검다리 되고 싶어요

길을 묻는 아이들 지팡이 되고 싶어요

헐벗은 아이들 언 살을 싸안는 옷 한 자락 되고 싶어요

푸른 보리처럼 아이들이 쑥쑥 자라는 동안

가슴에 거름을 얹고 따뜻하게 썩어가는 봄흙이 되고 싶어요

 

해직교사 신작시집, 몸은 비록 떠나지만, 실천문학사, 1989년. 9-10쪽,

도종환, '어릴 때 내 꿈은' 전문

 

그래서 이런 선생님은 아이들을 하나로 보지 않고, 하나하나로 본다. 그런 아이들에게는 자신만의 삶이 있기 때문이다. 그걸 바라보는 선생님, 이 책에서 말하는 상처주는 학교에서 치유자로서 존재하는 선생님일 것이다.

 

개학 첫날

 

여름방학 끝낙 다시 출근했더니

등꽃이 먼저 반겨주더군

다른 놈들은 이미 서너 달 전에 피었다 졌고

휘감아 올라간 넝쿨마다

기다란 씨앗주머니들 주렁주렁 매달렸는데

어쩌자고 뒤늦게 몇 놈

수줍게 고개 내밀고 있더군

 

늦된 게 부끄러운 줄 알기는 아는 모양

무성한 이파리 틈새에 숨어 있는

보랏빛 꽃송이를 보고 있자니

꼭 그런 놈들이 떠오르더군

 

수업시간 내내 졸다가 끝날 무렵

엉뚱한 질문이나 해 대는 놈

남들 다 해오는 숙제

미루고 미루다 막판에 내는 놈

몇 박자씩 꼭 늦는 놈

 

하지만 그런 놈들도 꽃은 꽃 아니냐

남들보다 서너 걸음 뒤졌지만

언젠가 한번은 꽃 피는 인생 아니냐

 

개학 첫날부터

그런 생각이 들더군

선생 노릇 다시 돌아보게 되더군

( 박일환, 푸른 삼각뿔, 내일을여는책, 2001년. 94-95쪽. '개학 첫날' 전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