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예쁜 것 - 그리운 작가의 마지막 산문집
박완서 지음 / 마음산책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제목의 글자가 참 예쁘다. 한 글자 한 글자 놓고 보면 잘 썼다는 생각이 들지 않고 웬지 아이들 글자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 글자들이 모여 하나의 제목을 이루고 있으니, 예쁘다는 생각이 든다. 이 산문집의 제목을 이루는 아이의 작은 발과 같다. 죽어가는 사람 옆에 있는 작은 생명력, 그 생명력이 발하는 예쁨, 그것은 마음 속에서부터 아이고, 예쁜 것이라는 감탄을 자아내게 되리라.

 

작은 제목이 '그리운 작가의 마지막 산문집'이다. 이런 제목과 어울리게 표지의 글자가 박완서 선생을 떠올리게 한다. 무언가 예쁨을 연상하게 하는. 

 

몇 년 사이로 내가 젊은 시절 읽었던 작가들이 세상을 떠나고 있다. 이 세상을 떠나 다른 세상으로 가고 있는데, 이 산문집에는 그들과의 교류도 나와 있다.

 

박경리 선생, 화가 김점선, 김수환 추기경, 법정 스님, 장영희 교수 등등.

이들과의 추억, 그리고 이들을 기리는 마음이 잘 드러나 있는 글들. 읽기에 편하기도 하고, 박완서선생과 그들을 함께 생각하게도 하고.

 

이 산문집의 1부에 박완서 선생의 개인적인 삶이 드러나 있다. 개성에서 지내다 서울와서 지내게 된 일, 그리고 자신이 소설가가 되게 된 이유 등.

 

그래서 박완서 선생의 소설 중에서 "엄마의 말뚝"과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읽은 사람이라면 그래 그래 하면서 읽을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런 부분이 박완서 선생의 소설과 어느 정도 겹치고 있다면, 다른 글들은 박완서 선생의 인간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정갈하다. 이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그런 느낌.

 

글들이 이 산문집에 나와 있는 말처럼 글자들이 사막의 모래처럼 따로따로 놀지 않고, 글들이 모여 하나를 이루고 있다. 마치 온갖 나무와 풀들이 모여 동산을 이루듯이 박완서 선생의 글들이 하나하나 따로따로 놀지 않고 이들이 바로 박완서 선생을 이루고 있다.

 

이 산문집에서 박완서 선생은 박경리 선생을 대가라고 부르고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글을 썼지만, 이제는 박완서 선생도 박경리 선생 못지 않은 대가라고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읽기에 힘들지도 않고, 마치 박완서 선생이 앞에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이 우리는 그의 목소리를 듣는 듯이 읽을 수가 있다.

 

읽으면서 마음이 편안해진다. 그리고 따뜻해진다. 작은 것 하나에도 마음을 줄줄 알았던 박완서 선생의 모습이 이 산문집에서 절절하게 느껴지니.. 자연 읽으면서 마음이 따뜻해질밖에.

 

삭막한 시대, 따뜻한 글이 그리워질 때 가끔 펼쳐보고 싶은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