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길상사에 다녀오다.

한성대입구 역에서 내려 5번 출구로 나가 한참을 걷다 보면 길상사가 나온다. 아직은 단풍이 들지 않았지만, 성북동에 자리잡은 안온한 자태를 뽐내는 곳이다.

 

법정 스님이 주지로 계시던 곳이기도 하고, 시인 백석과 관련이 있기도 한 곳.

 

아니, 시인 백석이라고 하기보다는, 백석을 사랑했던 한 여인과 관련이 된 곳.

 

길상화, 김영한(이름이 김진향이라고도 하고, 자야라고도 한다). 백석을 사랑했던 여인. 그리고 백석을 잊지 못했던 여인.

 

백석이 우리나라에서 한 동안 잊혀진 시인이었기에 그에 대한 그리움을 내비치지 못하다가, 백석이 해금된 이후에야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된 여인.

 

백석의 시 중에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의 나타샤라고 말했던 여인.

(어떤 책에서는 나타샤가 서로 나라고 하는 여인들이 셋이나 된다는 내용도 있다. 그러나 "내 사랑 백석"이란 책에서 자야는 나타샤가 자신임이 분명하다고 한다. 이 책에는 백석과 만난 자야의 이야기가 소상하게 실려 있다)

 

조선시대 마지막 기생이라고 해야 하나? 요즘 말로 하면 종합예술인 정도 될텐데, 자신이 번 돈으로 만든 '대원각'이란 음식점(사실 술집이라고 요정이라고 해야 옳을 듯)을 법정 스님에게 맡아달라고 전부 기증을 했다는 여인.

 

그래서 절 이름이 길상화에서 따와 길상사가 되었다는.

 

길상사에 가면 법정 스님의 마음을 느낄 수도 있고, 자야와 백석을 생각할 수도 있다. 우리가 백석을 생각할 수 있는 곳, 그곳이 이곳말고 또 어이 있으랴. 백석은 고향이 북쪽이니 말이다.

 

법정 스님과 백석을 모두 생각할 수있었던 곳. 길상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