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워야 사람이다 - 고전으로부터 배운다 한국국학진흥원 교양총서 오래된 질문을 다시 던지다 4
윤천근 지음,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 글항아리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동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부끄러움에 관한 책을.

윤동주는 부끄러움의 시인이라고 할 만하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서시'만 보더라도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로 시작하고 있다.

이런 부끄러움이 무엇인지, 왜 사람에게 중요한지를 윤동주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광수와 비교를 하면서 말이다.

 

부끄러움을 다른 말로 하면 성찰이다.

성찰이 바로 우리를 사람답게 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치열한 자기 성찰, 이것이 바로 부끄러움의 다른 모습이다.

성찰하지 못하는 사람은 부끄러움을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기 성찰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바로 자기 자신을 남의 자리에 놓아야 한다. 남의 자리에 놓인 자신을 엄정하게 평가하는 모습, 이것이 바로 자기 성찰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찰을 통해 부끄러움이 나온다.

부끄러움을 알면 고치게 된다

 

속된 말로 싸가지 없는 사람이라는 말이 있다. 싸가지를 사가지로 적어놓고 보면, 사람이 갖추어야 할 요소 4가지를 갖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4가지는 무엇일까? 유교에서 말하는 인의예지(仁義禮智)일 수도 있다. 인간이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소 아니던가.

또 4가지를 예의와 염치로 볼 수도 있다. 결국 인의예지나 예의와 염치가 없는 사람은 사람 축에 들지 못하고 비난을 받는 존재일 수밖에 없다.

 

이만큼 우리에게 중요한 요소가 바로 부끄러움이다. 그러한 부끄러움은 성실과 끈기를 지녀야지만 유지될 수 있다. 부끄러움을 지니고 산다는 일, 그것이 결코 쉽지 않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끄러움에 관한 옛사람들의 글을 모아놓았다. 단지 공자와 맹자의 글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도 골랐으며, 또한 중국의 유명한 학자인 정호, 정이, 주자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학자인 김시습, 이황, 조식, 이이의 글에서도 골랐다.

 

중국과 우리나라를 아울러 부끄러움에 관한 글을 모아 그것에 대한 해설을 덧붙임으로써 부끄러움에 대한 성찰을 하게 만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히 부끄러움에 관한 '고문진보'라 할 수 있다.

 

부끄러움, 사람됨의 기초일텐데... 가끔 보면 부끄러움을 잃은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그것도 사회지도층이라는 사람들에게서. 그런데도 그들은 당당하다. 아마도 이 책을 읽으면 자신의 부끄러움을 인식하지 못하는 그런 모습은 사람의 모습이 아니라 짐승의 모습임을 알 수 있을텐데...

 

글을 읽기는 쉬워도 행하기는 어렵다고 했는데... 글조차 읽기 힘들어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현실.

우리, 사람됨의 기준으로 '부끄러움'을 두자. 저 사람은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인가? 아닌가를 평가의 기준으로 두면 조금 더 나은 사람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남을 보는 기준만이 아니라, 나를 보는 기준으로도 '부끄러움'을 두자. 나는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인가. 과연 나는 자기 성찰을 하고 있는 사람인가?

 

부끄러움에 관한 '고문진보'

방대한 고전을 다 읽기 힘들 때 부끄러움에 관해서, 성찰에 관해서 알고 싶다면 이 책을 펼칠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