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을 위하여 - 우리 인문학의 자긍심
강신주 지음 / 천년의상상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시를 읽는 것은 당연히 나와는 다른 생각과 감정을 가지고 있는 타인의 속내와 그 삶을 읽는 것-45쪽

시인은 단독적인 삶을 통해서 인간적 삶의 보편성을 보여주려고 한다.
... 자신만이 쓸 수 있는 제대로 된 시를 완성했을 때, 시인은 보편적인 시를 완성한 것이다.-117-118쪽

시인은 자신이 인문정신의 수행자라는 사실을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한다. ... 이것은 감성의 문제가 아니라 의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167쪽

김수영이 김수영일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상승에의 관성을 거부하고 하강에의 의지를 끈덕지게 관철시키는 것, 지배에의 욕구를 부정하고 공존에의 소망을 긍정하는 것-171쪽

개개인의 단독성이 인간의 자유를 가능하게 한다면, 예술적 창조는 자유가 없다면 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예술의 자유가 없다면 인간의 자유를 실현할 곳도 없다고 말할 수 있다.-188쪽

예술은 자기 이해에 도달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것이고, 동시에 자기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191쪽

시는 자신만의 삶을 살아내려는 삶의 방식에서 나와야만 한다.-193쪽

(카프카의 말 재인용) 책은 우리 내면에 얼어 있는 바다를 내려치는 도끼같은 것이어야 한다.-229쪽

우리의 삶과 언어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진 것이 바로 `시`다. 아니 정확히 말해 김수영이 꿈꾼 `진정한 시`다.-231쪽

시인은 자신만의 제스처로 자신의 삶을 살아내려고 한다. 이것이 시인이 자유롭게 자유에 대해 노래할 수 있는 이유다. 시는 이렇게 탄생한다.
... 섬세하지만 나약한 시인은 아무래도 순수시를 쓰기 쉽고, 반대로 강하지만 투박한 사람은 참여시를 쓰기 쉽다. 그러니 시를 쓰면서 전자의 경우는 점점 강인함을, 후자는 점점 섬세함을 얻어가고자 하면 된다. 이것이 김수영의 근본 입장이다.-337쪽

진정한 시는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절대성, 그러니까 단독성을 가져야만 한다. 오직 자신만의 제스처로 살아가는데 성공한 사람의 자기 표현이니까 말이다.
... 결국 시를 쓰기에 앞서 우리는 자신만의 삶을 살아내려고 노력해야만 한다.-3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